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지역 및 아파트시장 특성이 인구순이동에 미치는 영향 분석 =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gional and Apartment Market Characteristics on Net Migr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51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net movement of population in Korea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market. The spatial scope is 85 cities nationwide and the temporal scope is 2022.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opulation net mo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elderly population ratio, financial independence, apartment market characteristics, apartment sales turnover rate, apartment auction price rate, and apartment subscription competition rate as dummy variables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ables affecting the net movement of the population include significant results such as apartment sales volume, apartment subscription competition rate, apartment sales price increase rate, total fertility rate,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areas with a population of 300,000 or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apartment market that can affect the net movement of the populati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net movement of population in Korea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market. The spatial scope is 85 cities nationwide and the temporal scope is 2022. The anal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impact on the net movement of population in Korea by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haracteristics of the apartment market. The spatial scope is 85 cities nationwide and the temporal scope is 2022. The analysis method used wa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population net movement as a dependent variable, and the total fertility rate, elderly population ratio, financial independence, apartment market characteristics, apartment sales turnover rate, apartment auction price rate, and apartment subscription competition rate as dummy variables were used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The results indicated that variables affecting the net movement of the population include significant results such as apartment sales volume, apartment subscription competition rate, apartment sales price increase rate, total fertility rate, financial independence, and the metropolitan area and areas with a population of 300,000 or mo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in more detail the characteristics of the region and the apartment market that can affect the net movement of the popu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진호,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 이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1 (31): 159-178, 2008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태인 경매정보"

      4 김현아,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75-103, 2008

      5 오상호 ; 서정렬, "지역 및 주택 시장 특성이 인구 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국토정보공사 49 (49): 123-144, 2019

      6 민성희, "지역 간 인구이동 특성 분석 및 정책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20

      7 안아림 ; 임보영 ; 마강래, "지방 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 비교에 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7 (37): 21-38, 2019

      8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3차(2016~2020)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수정)" 보건복지부 2019

      9 이헌창,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별 인구분포와 변화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0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2017~2067년" 통계청 2019

      1 최진호, "한국 지역 간 인구이동의 선별성과 이동 이유: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국인구학회 31 (31): 159-178, 2008

      2 "통계청 국가통계포털"

      3 "태인 경매정보"

      4 김현아, "지역간 인구이동의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75-103, 2008

      5 오상호 ; 서정렬, "지역 및 주택 시장 특성이 인구 증가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국토정보공사 49 (49): 123-144, 2019

      6 민성희, "지역 간 인구이동 특성 분석 및 정책 방안 연구" 국토연구원 2020

      7 안아림 ; 임보영 ; 마강래, "지방 중소도시 유출·유입인구 특성 비교에 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 37 (37): 21-38, 2019

      8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 "제3차(2016~2020)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수정)" 보건복지부 2019

      9 이헌창, "저출산・고령화에 따른 지역별 인구분포와 변화요인 분석과 정책과제"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2

      10 통계청, "장래인구특별추계 : 2017~2067년" 통계청 2019

      11 이왕건, "인구 저성장 시대의 도시 관리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2005

      12 김리영 ; 양광식, "인구 유입과 유출을 결정하는 지역 특성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1-20, 2013

      13 박소현 ; 이금숙, "이동요인별 시·공간적 인구이동 특성을 고려한 인구분포 예측: 마르코프 연쇄 모형을 활용하여" 한국경제지리학회 22 (22): 351-365, 2019

      14 김재태 ; 이낙영 ; 오미애 ; 이상인, "우리나라 인구이동 및 인구중심의 변천에 관한 연구" 통계청 23 (23): 1-23, 2018

      15 이찬영, "연령대별 인구유출입 결정요인 분석" 한국산업경제학회 31 (31): 707-729, 2018

      16 강현주 ; 서정렬, "아파트 거래회전율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 주택시장 특성 분석 연구" 한국부동산학회 (75) : 63-76, 2018

      17 박부영, "수도권 주택시장과 청년층의 인구이동 특성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부동산융합대학원 2017

      18 최석현, "수도권 인구이동 요인과 고용구조 변화" 경기연구원 2016

      19 "부동산 114"

      20 "국토교통부"

      21 마상열, "경남 인구감소도시의 관리방안 연구" 경남발전연구원 2009

      22 Lewis, W. A., "Economic development with unlimited supplies of labour" 22 (22): 139-191, 1954

      23 Todaro, M. P., "City bias and rural neglect: the dilemma of urban development" Population Council 198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