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빅데이터를 이용한 제주관광산업생산지수 개발 연구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Using Big Dat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92514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which can represent the production trend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was developed, and the constant index was calculated as of 2020 using big data.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was defined into 33 representative tourism industries and seven major categories for developing the index. A method of calculating tourism sales, current index, deflator, constant index, and weight using credit evaluation and credit card big dat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d CPI Items and Weights by Expenditure Category was designed.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slightly recovered in 2019 from the impact of the 2018 Jeju recession but decreased agai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rebounded in 2021, reflecting the production trend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This paper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developed a new method of using big data instead of survey data to calculate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A problem occurs when using sample survey data to estimate sales by industry. The sample must be replaced when companies are closed or refuse to comply with the survey. The limitations of the sample survey data can be supplemented by the advantage of using big data close to the population.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which can represent the production trend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was developed, and the constant index was calculated as of 2020 using big data.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Jeju tou...

      In this paper,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which can represent the production trend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was developed, and the constant index was calculated as of 2020 using big data.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was defined into 33 representative tourism industries and seven major categories for developing the index. A method of calculating tourism sales, current index, deflator, constant index, and weight using credit evaluation and credit card big data, regional Input-Output table, and CPI Items and Weights by Expenditure Category was designed.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slightly recovered in 2019 from the impact of the 2018 Jeju recession but decreased again due to the COVID-19 pandemic in 2020 and rebounded in 2021, reflecting the production trend of the Jeju tourism industry. This paper is significant because it has developed a new method of using big data instead of survey data to calculate the Jeju Tourism Industry Production Index. A problem occurs when using sample survey data to estimate sales by industry. The sample must be replaced when companies are closed or refuse to comply with the survey. The limitations of the sample survey data can be supplemented by the advantage of using big data close to the popul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연우 ; 홍수성 ; 강영준, "지역 관광수입 추계방법 표준화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표준인증안전학회 12 (12): 79-97, 2022

      2 진동영 ; 김의준, "주력산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지역개발연구소 53 (53): 149-174, 2021

      3 홍수성, "제주방문 관광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제주경제브리프" 한국은행 제주본부 2014

      4 제주대학교, "제주관광산업 통계구축" 제주관광공사 2022

      5 이소정 ; 조장희, "제주 관광산업 생산성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제언 - 진입과 퇴출을 중심으로 -" 산업경영연구소 44 (44): 369-391, 2021

      6 박수경 ; 강영준,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일별 소비 반응 분석: 제주지역 카드지출액 자료를 이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4 (24): 1733-1744, 2022

      7 김준호,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지역 간 경제수준 차이의 조절효과" 지역개발연구소 53 (53): 53-76, 2021

      8 이세중 ; 강태헌, "외부 충격이 제주도 관광관련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파급효과" 지역개발연구소 53 (53): 77-104, 2021

      9 통계청, "서비스업동향조사 통계정보보고서" 통계청 2023

      10 이은지 ; 이충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종로구를 사례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31-42, 2019

      1 이연우 ; 홍수성 ; 강영준, "지역 관광수입 추계방법 표준화 연구: 제주지역을 중심으로" 표준인증안전학회 12 (12): 79-97, 2022

      2 진동영 ; 김의준, "주력산업의 위기가 지역경제에 미치는 영향 – 전북지역을 중심으로 –" 지역개발연구소 53 (53): 149-174, 2021

      3 홍수성, "제주방문 관광객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제주경제브리프" 한국은행 제주본부 2014

      4 제주대학교, "제주관광산업 통계구축" 제주관광공사 2022

      5 이소정 ; 조장희, "제주 관광산업 생산성 분석을 통한 발전 방안 제언 - 진입과 퇴출을 중심으로 -" 산업경영연구소 44 (44): 369-391, 2021

      6 박수경 ; 강영준, "재난지원금 지급에 대한 일별 소비 반응 분석: 제주지역 카드지출액 자료를 이용" 한국자료분석학회 24 (24): 1733-1744, 2022

      7 김준호, "인바운드 국제관광과 경제성장의 관계에서 지역 간 경제수준 차이의 조절효과" 지역개발연구소 53 (53): 53-76, 2021

      8 이세중 ; 강태헌, "외부 충격이 제주도 관광관련 산업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과 파급효과" 지역개발연구소 53 (53): 77-104, 2021

      9 통계청, "서비스업동향조사 통계정보보고서" 통계청 2023

      10 이은지 ; 이충기, "빅데이터를 활용한 관광산업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종로구를 사례로" 한국호텔관광학회 21 (21): 31-42, 2019

      11 성보현 ; 최영석 ; 설영훈, "빅데이터를 활용한 COVID-19 전후 충청북도 경제적 손실추정: 관광객 신용카드 소비액을 중심으로" 한국마이스관광학회 23 (23): 147-165, 2023

      12 한국관광공사, "빅데이터 활용 관광사업 성과 시범분석"

      13 이동수, "관광위성계정(TSA)작성방안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2

      14 하동원, "관광산업의 이해와 발전방안" 산업연구원 63-67, 2017

      15 박근화, "관광산업 특수분류 설명서"

      16 권태일, "관광분야 빅데이터 활용체계 및 실증분석 연구" 한국문화관광정책연구원 2017

      17 김보람 ; 김세일 ; 고태호, "관광경제구조 분석을 위한 지역관광위성계정 작성에 관한 연구 - 제주관광위성계정을 중심으로 -" 한국지역경제학회 19 (19): 5-26, 2021

      18 United Nations, "Tourism Satellite Account: Recommended Methodological Framework 2008(TSA: RMF 2008)" United Nation 2008

      19 제주특별자치도, "2015년 기준 제주관광산업생산동향 분석 보고서" 제주특별자치도 201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