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열파의 지역별 분포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3~2005년 5~9월까지 60개 기상관측지점의 일최고기온과 수증기압, 상층의 바람 자료 등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76358735
2007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32-343(12쪽)
14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열파의 지역별 분포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3~2005년 5~9월까지 60개 기상관측지점의 일최고기온과 수증기압, 상층의 바람 자료 등을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열파의 지역별 분포를 파악하고 그 원인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1973~2005년 5~9월까지 60개 기상관측지점의 일최고기온과 수증기압, 상층의 바람 자료 등을 사용하여 일최고기온 상위 5% 이상인 날이 3일 이상 지속되는 현상을 열파로 정의하고, 열파일수의 분포와 그 원인을 분석하였다. 우리나라 열파일수는 충청 내륙 및 충청 서해안, 전라 내륙, 경상 내륙, 제주도 남부 지역에서 160일 이상으로 많고 동해안 중부와 제주도 북부 지역에서 110일 이하로 적다. 충청 내륙 및 충청 서해안과 전라 내륙 지역은 열파 발생 시 남서기류의 영향이 크므로 열파가 장기간 지속된다. 경상 내륙 지역은 남서기류에 소백산맥의 지형 효과가 결합되어 고온 건조해진 공기가 분지 지형 때문에 정체되고 지속적인 남서기류의 유입으로 인해 기온 편차가 큰 열파가 장기간 지속된다. 동해안 중부 지역은 태백산맥이 남서기류를 차단하기 때문에 열파일수가 적으나 일단 열파가 발생하면 푄 효과가 결합되어 기온 편차가 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heat waves and to understand its cause for 33 years(1973~2005) from 60 weather stations in Korea. Heat wave is defined as a period of 3 or more days with a daily maximum temperature exceeds the 95th perc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distribution of heat waves and to understand its cause for 33 years(1973~2005) from 60 weather stations in Korea. Heat wave is defined as a period of 3 or more days with a daily maximum temperature exceeds the 95th percentile. In the inland of Chungcheong region, the Chungcheong western costal region, the inland of Jeolla region, the inland of Gyeongsang region and the southern region of Jeju island, heat wave days appeared more than 160 days. In the middle region of eastern costal and the northern region of Jeju island, heat wave days were less than 110 days. In regions that were heavily influenced by southwesterly winds during the occurrence of heat waves, such as the inland of Chungcheong region, the Chungcheong western costal region, the inland of Jeolla region and the inland of Gyeongsang region, heat waves continued for the longer term.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프로그램 마련: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피해 가능성 조사 및피해 저감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환경부 2003
2 "한반도 기후 100년 변화와 미래 전망" 2004
3 "한국의 극한 기온 및 강수 사상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39 (39): 711-721, 2004
4 "지형과 지표특성이 여름철 대구지역의 국지순환과 기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37 (37): 487-512, 2001
5 "우리나라 동·서 해안의 기온 차이에 관한 연구" 39 (39): 43-57, 2003
6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서 나타나는“유사푄”현상에 관한 연구" 32 : 593-600, 1996
7 "남한의 체감 무더위의 기후학" 37 (37): 385-402, 2002
8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혹서현상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2004
9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적응대책 마련: 이상고온으로 인한 초과사망률 역학연구를 중심으로" 환경부 2005
10 "“영서지방의 푄현상" 266-280, 1994
1 "한반도 기후변화 영향평가 및 적응프로그램 마련: 기후변화로 인한 건강피해 가능성 조사 및피해 저감정책 방향에 관한 연구" 환경부 2003
2 "한반도 기후 100년 변화와 미래 전망" 2004
3 "한국의 극한 기온 및 강수 사상의 변화 경향에 관한 연구" 39 (39): 711-721, 2004
4 "지형과 지표특성이 여름철 대구지역의 국지순환과 기온변화에 미치는 영향" 37 (37): 487-512, 2001
5 "우리나라 동·서 해안의 기온 차이에 관한 연구" 39 (39): 43-57, 2003
6 "늦봄 또는 초여름에 영동지방에서 나타나는“유사푄”현상에 관한 연구" 32 : 593-600, 1996
7 "남한의 체감 무더위의 기후학" 37 (37): 385-402, 2002
8 "기후변화로 인한 여름철 혹서현상이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 2004
9 "기후변화가 건강에 미치는 영향 및 적응대책 마련: 이상고온으로 인한 초과사망률 역학연구를 중심으로" 환경부 2005
10 "“영서지방의 푄현상" 266-280, 1994
11 "Trends in twentieth-century temperature extremes across the United States" 15 : 3188-3205, 2002
12 "Temporal fluctuations in heat waves at Prague-Klementinum, the Czech Republic, from 1901-97, and their relationships to atmospheric circulation" 22 : 33-50, 2002
13 "Observed coherent changes in climatic extremes during the second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19 : 193-212, 2002
14 "More intense, more frequent, and longer lasting heat waves in the 21st Century" 305 : 994-997, 2004
15 "Impact of hot temperatures on death in London: a time series approach" 56 : 357-372, 2002
16 "Heat waves in the south Moravian region during the period 1961-1995" 44 : 57-72, 2000
17 "Heat waves in the Mediterranean: a local feature or a larger-scale effect?" 26 : 1477-1487, 2006
18 "Heat wave hazards: an overview of heat wave impacts in Canada" 28 : 463-485, 2003
19 "Heat Waves: Risks and Responses" 2004
20 "Frequency analysis and temporal pattern of occurrences of southern Quebec heatwaves" 25 : 485-504, 2005
21 "Assessment of climate extremes in the Eastern Mediterranean" 89 : 69-85, 2005
22 "A GCM simulation of heat waves, dry spells, and their relationships to circulation" 46 : 29-60, 2000
23 "2004년 밀양의 이상더위의 특징과 종관적 원인" 16 (16): 187-201, 2006
24 "1987년과 1994년에 일어난 한반도 하계 이상고온의 특징" 34 : 47-64, 1998
A1B 시나리오 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아열대 기후구 전망
한반도의 지반운동 (Ⅰ) : DEM 분석을 통한 지반운동의 공간적 분포 규명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 |
2017-01-01 | 평가 |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2014-01-03 | 학술지명변경 | 외국어명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 Society -> Journal of the Korean Geographical Society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0-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14 | 1.14 | 1.2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17 | 1.13 | 1.701 | 0.5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