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 세계적 팬데믹(pandemic)을 유발한 코로나19 위험・위기 상황에서 많은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습득할 뿐만 아니라 공유・확산의 주체가 될 것이...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 세계적 팬데믹(pandemic)을 유발한 코로나19 위험・위기 상황에서 많은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습득할 뿐만 아니라 공유・확산의 주체가 될 것이...
본 연구는 전 세계적 팬데믹(pandemic)을 유발한 코로나19 위험・위기 상황에서 많은 공중들이 소셜미디어를 활용하여 연관 정보를 검색하고 습득할 뿐만 아니라 공유・확산의 주체가 될 것이라는 행위자 네트워크 이론(actor network theory)을 기반으로,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주무 조직인 질병관리청이 개설한 ‘아프지마TV’ 유튜브 채널 내 동영상 콘텐츠에 대한 공유・확산 네트워크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위험・위기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국내 코로나19 1차 대유행 시점부터, 2~3차 유행, 그리고 현 진행 상황인 사회적 거리두기 완전 해제까지 네 가지 대응 주기로 분류하고, 정부의 대응 추이에 맞게 시계열적으로 접근하고자 하였다. 총 156건 유튜브 콘텐츠를 대상으로 정보 공유 정도를 평가하는 근접 중심 성과 확산 정도를 탐색하는 매개 중심성 분석을 통하여 주기별 네트워크 특성과 변화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각 시기별 네트워크상 공유・확산 정도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게 유사했으며 시간의 흐름에 따라 네트워크 밀도와 크기는 점차 감소했다. 이는 코로나19 대응을 위하여 질병관리청과 다른 주체(예: 기타 공공기관, 일반인 유튜버 등) 간 협력적이며 공동체적 커뮤니케이션이 미약했음에 기인했다. 코로나19 이슈는 완전히 소멸된 위험이슈가 아닌 지금도 진행형이며, 향후에도 신종 전염병의 도래가 반복될 수 있기에, 위험・위기관리 측면에서 정부의 효율적이며 전략적인 양방향 위험 커뮤니케이션 역할을 강조하는 논의를 제시하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주현,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네트워크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9 (19): 15-26, 2018
2 서일정 ; 조재희, "트위터에 나타난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하위집단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71-679, 2016
3 오미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376 : 1-12, 2020
4 정원준, "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탐색 연구: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응용한 정부와 일반인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 내 담론 분석" 한국PR학회 25 (25): 59-101, 2021
5 홍주현 ; 이미나, "코로나19 백신 관련 트위터 상의 이슈 확산 양상 분석: 이슈 현저성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613-621, 2021
6 이미나 ; 홍주현,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특성 및 이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163-171, 2021
7 정원준, "정부의 위기관리 전략 효과 및 소통 방안 연구 - 세월호 사고를 사례로 본 진정성 커뮤니케이션의 완충 역할(buffering effect)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32-58, 2016
8 김현정, "재난 위기 관련 정부 기관 소셜미디어의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7 (7): 60-98, 2014
9 홍주현,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 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38-147, 2018
10 박병언 ; 임규건,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Youtube)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19-36, 2015
1 홍주현, "트위터와 유튜브를 통해 확산된 생리대 발암물질 이슈에 대한네트워크 분석"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9 (19): 15-26, 2018
2 서일정 ; 조재희, "트위터에 나타난 국제 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하위집단 분석" 한국콘텐츠학회 16 (16): 671-679, 2016
3 오미애,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소셜 빅데이터 기반 주요 이슈 분석" 376 : 1-12, 2020
4 정원준, "코로나19 위험 커뮤니케이션 탐색 연구: 소셜 미디어 의존 이론을 응용한 정부와 일반인 유튜브 콘텐츠와 댓글 내 담론 분석" 한국PR학회 25 (25): 59-101, 2021
5 홍주현 ; 이미나, "코로나19 백신 관련 트위터 상의 이슈 확산 양상 분석: 이슈 현저성을 중심으로"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613-621, 2021
6 이미나 ; 홍주현, "코로나19 백신 관련 영상의 특성 및 이용자 반응에 대한 연구" 국제문화기술진흥원 7 (7): 163-171, 2021
7 정원준, "정부의 위기관리 전략 효과 및 소통 방안 연구 - 세월호 사고를 사례로 본 진정성 커뮤니케이션의 완충 역할(buffering effect)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8 (18): 32-58, 2016
8 김현정, "재난 위기 관련 정부 기관 소셜미디어의 위기 관리 커뮤니케이션 도구로서의 역할에 대한 연구" 한국광고PR실학회 7 (7): 60-98, 2014
9 홍주현,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 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18 (18): 138-147, 2018
10 박병언 ; 임규건, "일반영향요인과 댓글기반 콘텐츠 네트워크 분석을 통합한 유튜브(Youtube)상의 콘텐츠 확산 영향요인 연구"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21 (21): 19-36, 2015
11 채웅준, "인간과 사물의 동맹에 관하여: 브뤼노 라투르의 비인간주의적 존재론으로 ANT 를 해제하기"
12 최홍림 ; 최준혁, "이슈생성주기에 따른 미세먼지 위험 담론: 온라인 뉴스와 유튜브 빅데이터 비교 분석" 한국광고PR실학회 14 (14): 161-192, 2021
13 임연수, "유튜브를 활용한 폭력 예방 캠페인의 방향성 모색: 유튜브 영상 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124) : 65-100, 2020
14 홍주현 ; 설진아 ; 이종임, "유튜브 채널에서 코로나19 중국관련 허위정보 확산에 관한 연구: 확산 주체와 정보유형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1 (21): 652-666, 2021
15 임연수, "유튜브 매개 공공커뮤니케이션 모형과 방향성 모색: 기후변화 문제를 중심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3 (23): 137-174, 2021
16 송해룡, "위험 커뮤니케이션 : 미디어와 공론장"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12
17 김영욱 ; 이현승 ; 장유진 ; 이혜진, "언론은 미세먼지 위험을 어떻게 구성하는가?: 미세먼지 위험보도 프레임과 정보원 분석" 한국언론학회 59 (59): 121-156, 2015
18 정원준, "언론 기사와 댓글 속 미세먼지 위험 커뮤니케이션 담론 연구: 이슈 순환모형을 적용한 시계열분석으로" 한국광고홍보학회 23 (23): 140-183, 2021
19 뉴스1, "신규확진 641명, 지역발생 32일만에 500명대...사망자는 19명(상보)"
20 김정은, "소셜미디어 의존과 재난 상황에서의 연대: 코로나19 사태를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0
21 유병국 ; 김순홍, "소셜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마케팅 전략 : 트위터의 검색네트워크" 한국콘텐츠학회 13 (13): 396-407, 2013
22 곽기영, "소셜네트워크 분석" 도서출판 청람 2014
23 홍주현 ; 이미나, "소셜 미디어의 매체 환경적 특성이 이용자의 능동적 참여 및 메시지 확산 유형에 미치는 영향 : 메르스 사태에 대한 정부 대응 및 국민들의 반응을 중심으로" 한국인터넷정보학회 18 (18): 89-103, 2017
24 최상민 ; 강성배 ; 문태수,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의 인지된 즐거움과 지속적 사용의도에 관한 실증연구" 한국인터넷전자상거래학회 12 (12): 95-112, 2012
25 김현정 ; 김유경 ; 이승철, "소비자-브랜드 인게이지먼트가 브랜드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플랫폼 브랜드로서의 SNS 이용을 중심으로" 한국광고학회 30 (30): 85-113, 2019
26 이두희, "빅데이터를 활용한 K-POP의 확산구조에 대한 연구: 사회연결망을 중심으로" 2014
27 김한국, "국가적 재난 대응에 있어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5 (5): 147-153, 2011
28 Edwards, R. A., "The moderator as an emerging democratic intermediary : The role of the moderator in internet discussions about public issues" 7 : 3-20, 2002
29 Bonacich, P., "Some unique properties of eigenvector centrality" 29 (29): 555-564, 2007
30 Susarla, A., "Social networks and the diffusion of user-generated content : Evidence from YouTube" 23 (23): 23-41, 2012
31 Akrouf, S., "Social network analysis and information propagation : A case study using Flickr and YouTube networks" 2 (2): 134-167, 2013
32 Khan, M. L., "Social media engagement : What motivates user participation and consumption on YouTube" 66 : 236-247, 2017
33 Kim, Y. C., "SNS dependency and interpersonal storytelling : An extension of media system dependency theory" 19 (19): 1458-1475, 2017
34 Latour, B., "Reassembling the social: An introduction to actor-network theory" Oxford University Press 2005
35 European Centre for Disease Prevention and Control, "Rapid risk assessment: Outbreak of novel coronavirus disease 2019(COVID-19)_Increased transmission globally–fifth update"
36 정원준, "NetMiner를 활용한 빅데이터 소셜미디어 분석 기법과 활용" 학지사 2022
37 Watts, D. J., "Influentials, networks, and public opinion formation" 34 (34): 441-458, 2007
38 Yoganarasimhan, H., "Impact of social network structure on content propagation : A study using YouTube data" 10 (10): 111-150, 2012
39 Park, Y. S., "Does the rise of the Korean wave lead to cosmetics export" 2 (2): 13-20, 2015
40 Santos, R. L., "Characterizing the YouTube video-sharing community" Federal University of Minas Gerais (UFMG) 2007
41 Borgatti, S. P., "Analyzing social networks" Sage Publication 2013
42 Hansen, D., "Analyzing social media networks with NodeXL : Insights from a connected world" 27 (27): 405-408, 2011
43 Chatzopoulou, G., "A first step towards understanding popularity in youtube" 2010
44 DMC 미디어, "2020 소셜미디어 이용 행태 및 광고 접촉 태도 분석 보고서" 2020
45 나스미디어, "2020 NPR 인터넷 이용자 조사" 2021
대학구조개혁 정책 관련 언론 기사와 댓글에 나타난 담론 연구: 이슈 변환 단계 모형을 적용한 텍스트 마이닝 기법으로
LDA(Latent Dirichlet Allocation) 토픽 모델링을 활용한 숏폼(Short-Form) 광고 특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온라인 커뮤니티 ‘당근마켓’ 사용에서 기인한 오프라인 관계의 선행요인과 결과요인
메타버스 유저 인터페이스 모델과 종합적 사고경향의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