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평생교육 정책에 관한 비교연구 = Comparative Study on Lifelong Education Policy of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and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65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그동안 추진된 마을교육공동체와 마을학습공동체 정책사업을 비교, 분석하여 최근 확산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범주는 마을평생교...

      이 연구는 그동안 추진된 마을교육공동체와 마을학습공동체 정책사업을 비교, 분석하여 최근 확산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분석 범주는 마을평생교육 관련 정책의 기원과 목적, 정책의 주체와 변화 과정, 철학과 공동체 의식, 마을과 학교의 협력 거버넌스로 설정하였다. 마을학습공동체는 지역사회교육운동에서 시작되어 정부의 평생학습도시조성 사업으로 추진되었다. 평생학습도시 조성사업은 성인학습활동지원, 지역주민의 학습공간 확보, 평생학습마을 조성사업으로 전개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개혁운동으로 부터 출발하여 교육청의 혁신학교정책으로 전개되었다. 교사들의 자발적인 수업혁신, 교육과정혁신, 민주적 학교운영에 대한 요구가 정책적으로 수용되면서 혁신학교, 혁신교육지구 사업으로 발전되었다. 마을학습공동체는 특정한 대상에 제한된 교육에서 벗어나 모든 사람이 자신의 삶 전체를 통해서 학습에 참여할 기회를 가지는 교육적 권리에 대한 시민적 성취가 그 배경이 되었다. 마을교육공동체는 민주적 학교운영과 학교교육의 혁신을 이루고자하는 교육주체들의 신념에서 비롯되었다. 최근 교육청 주도의 교육공동체 사업과 지자체 주도의 학습공동체 사업이 마을교육공동체로 결합되는 형태가 확산되고 있다.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의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는 공유된 철학과 가치가 융합되고 교육주체 간의 실제적이고 효율적인 협력거버넌스에 체제 구축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더 나아가 일반자치와 교육자치의 기계적 협력 차원을 넘어 마을공동체와 학교공동체, 성인학습과 아동학습이 통합되어 화학적으로 융합된 교육공동체로 나아갈 때 확장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concept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ettle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hich is spreading recently. The categories...

      This study compares and analyzes the policies and concepts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to provide implications for the settle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which is spreading recently. The categories of analysis were set as the origin and the purpose of the policy, the subject and the process of the policy, the philosophy and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villages and schools. The village learning community started as a community education movement and became government policy,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The lifelong learning city project aims to support adult learning activities, to secure a learning space for residents, and to create a lifelong learning villag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olicy originated from the teacher s education reform movement. As the teachers demands for educational reform were accepted by the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developed innovative education district project. Recently, th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promoted by the education government and the community project promoted by local governments are being combined into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roject. For the settlement and development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policy, it is necessary to reexamine the cooperative method between the village and the school for the fusion of shared philosophies and values and to establish a system for practical and effective cooperative governance between educational entities. Furthermore, there is a need to move beyond the mechanical cooperation dimension of general autonomy and educational autonomy to an educational community in which village and school communities, adult learning and child learning are integrated and chemically fus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전개과정 Ⅳ.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의 비교 Ⅴ. 요약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 I. 서론 II. 연구방법 Ⅲ.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전개과정 Ⅳ. 마을학습공동체와 마을교육공동체 정책의 비교 Ⅴ. 요약 및 논의 Ⅵ.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서용선,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의 교육거버넌스: 시공간과 주체의 변화" 37-51, 2018

      2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

      3 최창의, "혁신교육지구사업 비교분석을 통한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4 박상현, "혁신교육지구 및 마을결합형학교의 종합 발전 방안"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6

      5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살림터 2012

      6 이지영, "혁신교욱 발전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내실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행복학습센터 운영가이드북"

      8 박선경,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생태적 특성" 교육종합연구원 11 (11): 293-314, 2013

      9 양병찬, "한국 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 한국평생교육학회 24 (24): 125-152, 2018

      10 양병찬, "학습도시의 평생학습네트워크 실천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85-214, 2013

      1 서용선, "혁신학교-혁신교육지구-마을교육공동체의 교육거버넌스: 시공간과 주체의 변화" 37-51, 2018

      2 경기도교육청, "혁신학교, 우리가 함께 만들어 갑니다"

      3 최창의, "혁신교육지구사업 비교분석을 통한 협력적 교육거버넌스 발전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4 박상현, "혁신교육지구 및 마을결합형학교의 종합 발전 방안" 서울시교육청교육연구정보원 2016

      5 서용선, "혁신교육 존 듀이에게 묻다" 살림터 2012

      6 이지영, "혁신교욱 발전을 위한 마을교육공동체 정책 내실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20

      7 국가평생교육진흥원, "행복학습센터 운영가이드북"

      8 박선경, "행군마을의 평생학습공동체 형성과정에서 나타난 학습 생태적 특성" 교육종합연구원 11 (11): 293-314, 2013

      9 양병찬, "한국 마을교육공동체 운동과 정책의 상호작용" 한국평생교육학회 24 (24): 125-152, 2018

      10 양병찬, "학습도시의 평생학습네트워크 실천 사례 분석" 한국평생교육학회 19 (19): 185-214, 2013

      11 양병찬, "학습도시에서의 주민 교육공동체 운동의 전개" 한국평생교육학회 13 (13): 173-201, 2007

      12 오혁진, "학습공동체의 다차원적 성격과 구현 원리에 관한 연구" 11 (11): 23-41, 2005

      13 양흥권, "학교평생교육 운영모형 개발을 위한 시론"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147-172, 2006

      14 김미향,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 ․협력에 기반한 마을교육공동체의 개념 탐색" 원격교육연구소 16 (16): 27-52, 2020

      15 Olsen, E. G., "학교와 지역사회" 현대사상사 1973

      16 Dewey, J., "학교와 사회" 교육과학사 2016

      17 김신일, "평생학습도시 조성을 위한 추진모형 연구" 10 (10): 1-30, 2004

      18 이규선, "평생학습 마을만들기 참여 실천 연구 : 시흥시 사례를 중심으로" 공주대학교 2017

      19 박상현, "코로나19 이후 마을교육공동체의 발전 방안 모색 : 생태주의적 관점을 중심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연구정보원 2021

      20 양병찬, "지자체 마을만들기 사업에서 ‘마을학교’의 평생교육적 의미 : 서울시 마을공동체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2 (2): 1-25, 2015

      21 한국교육개발원, "지역혁신의 성공적 실행을 위한 평생학습도시 매뉴얼"

      22 김종선, "지역평생학습공동체 남양주 학습등대의 실천적 해석 연구" 중앙대학교 2018

      23 한국교육개발원, "지역을 살리기 위한 평생학습마을/도시 만들기 : 관리자 매뉴얼"

      24 김종서, "지역사회학교의 이론과 실제" 교육과학사 1990

      25 김용련, "지역사회 기반 교육공동체 구축 원리에 대한 탐색적 접근:복잡성 과학, 사회적 자본, 교육거버넌스 원리 적용을 중심으로" 한국교육행정학회 33 (33): 259-287, 2015

      26 이희수, "지역교육공동체 구축을 위한 학교평생교육의 역할에 대한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교육정책연구소 2016

      27 오혁진, "지역공동체 평생교육의 개념과 성격에 관한 고찰" 한국평생교육학회 12 (12): 53-80, 2006

      28 하운봉,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예산 분석을 통한 실태조사 및 개선방안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8

      29 안연찬,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성과평가와 정책과제" 서울연구원 2019

      30 송순재, "새로운 사회를 여는 교육혁명" 살림터 2012

      31 백병부, "방과후 및 계절형 꿈의학교 활성화 방안"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32 박수현, "문화마을만들기에서의 공동체의식 형성요인 연구 - 성남시「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지역개발학회 25 (25): 207-230, 2013

      33 이지혜, "마을전체가 배움터이다: 학습공동체를 위한 다양한 실험들" 한국 YMCA 전국연맹 37-58, 2001

      34 김은경, "마을교육공동체 활동에 대한 교육 주체 참여형 성장 분석의 가능성 탐색 - J 혁신교육지구 사례를 중심으로 -" 한국평생교육학회 27 (27): 1-30, 2021

      35 서용선, "마을교육공동체 개념정립과 정책방향 수립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5

      36 양병찬, "농촌학교와 지역의 협력을 통한 지역교육공동체의 형성 -충남 홍동지역 '풀무교육공동체'사례를 중심으로-" 한국평생교육학회 14 (14): 129-151, 2008

      37 심수현, "구로혁신교육지구의 한계와 가능성에 대한 질적사례연구: 민․관․학 협력적 거버넌스에 주목하여" 한국교육인류학회 23 (23): 39-66, 2020

      38 정진화, "교사주도 학교개혁 운동의 등장" 한국교육사회학회 24 (24): 243-276, 2014

      39 백병부, "경기도 혁신교육지구 평가 연구" 경기도교육연구원 2014

      40 양병찬, "건강한 지역교육공동체 조성을 위한 지역사회학교 운영방안에 대한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연구소 2003

      41 김종선, "개념지도에 근거한 마을학교 정체성 연구" 한국평생교육학회 21 (21): 73-107, 2015

      42 Etizioni A., "The Routledge international handbook of lifelong learning" Routledge 153-162, 1996

      43 Dave, R. H., "Lifelong education and school curriculum"

      44 Merriam, S. B., "Learning in adulthood: A comprehensive guide" Jossey-Bass 1999

      45 Hugo, J. M., "Learning community history In Adult Learning in Community" 95 : 5-26, 2002

      46 Schutz, A., "John Dewey's Conundrum : Can Democratic Schools Empower" 103 (103): 267-302, 2001

      47 Leicester, M., "International handbook of lifelong learning" Kluwer Academic Publisher 109-118, 2001

      48 Peter, J., "Governance in the twenty-first Century: Revitalizing the Public Service" McGill-Queen's University Press 2000

      49 Pierre, J., "Debating Governance" Oxford University Press 2000

      50 Brookfield, S. D., "Adult learners, adult education and the community" Open University Press 1983

      51 Jarvis, P., "Adult education and lifelong learning: Theory and practice" Routledge Falmer 2004

      52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0 평생교육백서" 국가평생교육진흥원 2021

      53 서울특별시교육청, "2020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운영 계획" 2020

      54 경기도교육청, "2019년 혁신교육지구 시즌Ⅱ 운영 계획" 경기도교육청. 학교정책과 2019

      55 서울특별시교육청, "2019 서울형혁신교육지구 운영계획" 2019

      56 서울특별시교육청, "2018 서울형 혁신학교 운영 기본 계획" 서울특별시교육청 교육혁신과 2018

      57 서울특별시교육청, "2016년서울형혁신교육지구 지정 계획" 2016

      58 경기도교육청, "2016년 혁신교육지구 시즌Ⅱ 운영 계획" 경기도교육청. 학교정책과 2016

      59 강대중, "2016 평생학습마을 공동체 지원 사업 (Golden Triangle)유형 분석 연구" 경기도평생교육진흥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6-08-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al of Lifelong Education -> Journal of Lifelong Education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등재후보1차)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66 1.66 1.5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49 1.59 1.89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