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과 활성화 방안 = Utilization and activation pla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67375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 ‘지역 소재 등록문화재 활용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추진’을 배경으로 등록문화재 활용이 강조됨에 따라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 현황과 ...

      본 연구는 ‘등록문화재 제도의 도입’, ‘지역 소재 등록문화재 활용 활성화’, ‘도시재생사업추진’을 배경으로 등록문화재 활용이 강조됨에 따라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 현황과 한계를 고찰하고 등록문화재 활용의 효과를 높이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제2장에서는 등록문화재의 개념과 제도에 대한 이해, 그리고 등록문화재 현황과 활용 유형에 대해 살펴보았다. 등록문화재는 『문화재보호법』시행규칙 제34조에 따라 ‘근현대시기에 형성된 지정문화재가 아닌 것 중 문화재로서의 가치에 비추어 보존 및 활용을 위한 조치가 특히 필요한 것’이라 정의한다. 또한 그 범주는‘근대문화유산’에 둘러싸인 ‘근대문화재’에 속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2001년 3월에 개정되어 같은 해 7월에 시행하였으며 근대문화유산에 대한 재조명과 가치 부여의 필요성, 그리고 급격한 도시환경의 변화에 빠르게 멸실·훼손되어가는 현실에 종래의 지정 제도만으로 불충분하여 소유자의 자발적인 보존 의지를 근간으로 유연한 보호조치를 위해 도입된 제도이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도입 이후 몇 차례의 부분 개정 과정이 있었으며 그 변화 양상은 ‘등록 대상의 다양화’, ‘공간적·시간적 단위의 확장’ 그리고 ‘운영·관리의 지역화’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 제도는 활용에 강점을 두고 있으나 보존에 있어 취약성을 보이기도 하며 이를 극복하기 위하여 등록절차와 등록조건, 현상변경 규정 등에 대한 제도적 보완과 등록문화재 제도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2019년 기준 전국의 국가등록문화재는 843건이며 전체 지정·등록된 문화재의 약 15%에 해당한다. 등록문화재는 용도별로 동산, 업무시설, 종교시설, 공공용시설, 교육시설, 인물기념시설 등으로 구분되며 이중 건조물 문화재가 절반 이상으로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지역으로는 서울이 212건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난다. 등록문화재의 활용 유형은 ‘계속형’, ‘전용형’, ‘부활형’, ‘관람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공개를 통한 공적 활용과 활용의 적극성이 가장 강한 유형은 ‘전용형’ 활용이다.
      제3장에서는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현황과 유형에 따른 활용을 살펴보았으며 특히 ‘전용형’에 해당하는 활용 사례의 분석을 통해 등록문화재 활용의 문제점과 한계를 알아보았다. 현재 광주광역시 소재 등록문화재는 광주 전라남도청 구 본관을 포함한 20건이며 활용은 계속형과 전용형이 가장 많다. 전용형 활용 사례에 해당하는 4건의 사례를 문화재의 단일적 현황과 도시 맥락적 현황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단일적·점적으로의 활용 집중’, ‘고유성·진정성을 담은 다양한 콘텐츠개발의 부족’, ‘지역사회와의 연계와 체계적 홍보 부족’이라는 한계점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분석을 통해 시사점을 도출하고 광주광역시의 지역적 맥락을 고려하여 활용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등록문화재 활용 사례는 활용방법에 따라 전시공간활용, 복합문화공간활용, 문화탐방코스 활용으로 분류하여 살펴보았으며 그 시사점은 ‘진정성과 장소성을 고려한 콘텐츠 기획을 통한 문화적 가치와 의미 강화’, ‘지역활성화를 위한 맥락적·입체적 활용’, ‘복합적 기능 수행과 열린 공간 활용을 통한 다양한 문화 향유 욕구 충족’으로 도출할 수 있었다. 이어서 등록문화재 활용 방향을 ‘문화관광’과 ‘도시재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존과 활용의 균형 잡힌 활용’, ‘다양한 의견 수용’, ‘협력을 통한 공존’, ‘공공성·개방성 추구’, ‘지역사회의 유대관계 형성’이라는 활용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의 활용 전략은 SWOT분석을 통해 포괄적으로 다루었으며 등록문화재 활성화 방안으로 ‘문화재의 감정 기록과 공유’, ‘문화재 정보전달의 의무와 통합시스템 구축’, ‘의미를 고려한 다양한 콘텐츠 기획’, ‘지역연계 콘텐츠 기획’을 구체적 프로그램안과 사례를 통해 제안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status and limitation of Gwanju cit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ways to increase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

      This research is conducted to examine the application status and limitation of Gwanju city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ways to increase the application efficiency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s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s emphasized with the basis of "Implement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policy," "Vitalizing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local areas," and "Promotion of urban regeneration projects."
      Chapter 2 looked at the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and the system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the status and application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is defined under Article 34 of the Enforcement Regulation of the Cultural Property Protection Act as "a cultural property which is not a designated cultural property created in the modern period but requires actions for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in light of its value as a cultural property." Moreover, the category belongs to the "Modern Cultural Heritage" within "Modern Cultural Heritage."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was revised in March 2001 and was implemented in July of the same year. This system was introduced for flexible protective measures based on the owner's voluntary preservative will due to insufficient current system where cultural properties are lost and damaged by the rapid change of the urban environment and re-examination and valuing of modern cultural heritages. The enrollment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undergone several partial revisions since its introduction, and its changes include "diversification of registration targets," "expansion of spatial and temporal units," and "localization of operations and management."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has strengths in its application, but it also shows vulnerabilities in preservation. To overcome this, it is necessary to systematically supplement the registration procedure, registration conditions, and regulations to change the status and actively promote the publicity of the registered cultural property system. As of 2019, there are 843 national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nationwide, accounting for about 15% of all designated and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re divided into gardens, business facilities, religious facilities, public facilities, educational facilities, and people's memorial facilities by use. More than half of the cultural properties are building cultural properties, and Seoul is the largest with 212 cases. The types of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can be categorized into "continuing type," "specific use type," "re-used type," and "viewing type," and the type with the most potent positive public use by application through public use is "specific use type."
      Chapter 3 examined the current status and types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In particular, the problems and limitation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application cases corresponding to the 'specific use type". Currently, there are 20 registered cultural assets in Gwangju, including the former main building of the Gwangju Jeollanam-do Provincial Govern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ur cases corresponding to the exclusive use ca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single status of cultural assets and the contextual situation of the city, "the concentration of single type application," "the lack of various contents development with uniqueness and authenticity," and the limitations of "lack of linkage with the community and systematic public relations" were confirmed.
      Chapter 4 derives implications through case studies on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and seeks to promote the application in consideration of Gwangju Metropolitan City's regional context. First of all, examples of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were classified into the use of exhibition spaces, the use of multiple cultural spaces, and the use of cultural exploration courses. The implications were "strengthening cultural values ​​and meaning through content planning considering authenticity and placeness," It could be derived from "contextual and stereoscopic use for regional revitalization," and "satisfying various cultural needs through performing complex functions and using open spaces." Subsequently, the directions for the application of registered cultural assets were divided into "cultural tourism" and "urban regeneration," and based on "balanced use of preservation and utilization," "accepting diverse opinions," "coexistence through cooperation," "publicity and openness." It was able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use of "pursuit" and "formation of community ties." The strategies for utilizing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in Gwangju were comprehensively covered through SWOT analysis. As a way to activate registered cultural properties, "recording and sharing of emotions of cultural properties," "requirement of information and establishment of an integrated system for cultural property," and "planning of various contents considering meaning," " Local-linked content planning" was proposed through specific program proposals and example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목 차
      • <국문초록>
      • Ⅰ. 서론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 2. 선행연구 검토
      • 3. 연구대상 및 방법
      • Ⅱ. 등록문화재의 이해와 활용
      • 1. 등록문화재 정의와 제도
      • 2. 등록문화재 현황
      • 3. 등록문화재 활용 유형
      • Ⅲ.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 현황과 한계
      • 1.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유형과 현황
      • 2.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유형별 활용 사례분석
      • 3. 광주광역시 등록문화재 활용의 문제점과 한계
      • Ⅳ. 활용을 통한 활성화 방안
      • 1. 등록문화재의 활용 사례분석과 시사점
      • 가. 전시공간 활용
      • 나. 복합문화공간 활용
      • 다. 문화탐방코스 활용
      • 라. 활용 사례 시사점
      • 2. 등록문화재 활용발전 방안
      • 가. 등록문화재 활용 방향과 전략
      • 나. 등록문화재 활성화 방안
      • Ⅴ.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