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작업 유능감과 안전교육의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Ability to Work Safety and the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 Level of Safety Consciousnes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31104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안전작업 역량은 모두 안전의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둘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과 안전의식 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조직적 지원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안전교육의 효과성, 즉 안전교육 대상자가 체감하는 교육의 질적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현장의 안전의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안전작업 역량은 모두 안전의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둘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과 안전의식 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조직적 지원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안전교육의 효과성, 즉 안전교육 대상자가 체감하는 교육의 질적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현장의 안전의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safety work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main research,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work competence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were all factors that lead to improved safety awareness. Seco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on safety aware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eal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that i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perceived by safety education subjects, must be prioritized over external organizational support to lead to an improvement in safety awareness in the fiel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safety work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safety work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main research,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work competence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were all factors that lead to improved safety awareness. Seco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on safety aware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eal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that i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perceived by safety education subjects, must be prioritized over external organizational support to lead to an improvement in safety awareness in the fiel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