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9311042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13-21(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업무 역량과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이 안전의식 수준에 미치는 영향과 그 관계에서 조직지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입니다. 주요 연구 결과, 첫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에 대한 인식 수준과 안전작업 역량은 모두 안전의식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습니다. 둘째,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교육과 안전의식 간의 관계에서 조직적 지원의 매개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건설현장 근로자의 안전의식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외부의 조직적 지원보다 현재 실시되고 있는 안전교육의 효과성, 즉 안전교육 대상자가 체감하는 교육의 질적 개선이 우선시되어야 현장의 안전의식 향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밝혔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safety work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effect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safety work competence and perception of safety education on their level of safety awareness,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As a result of the main research, first, it was analyzed that the level of awareness of safety education and the safety work competence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were all factors that lead to improved safety awareness. Second, there was no moder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suppo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ty education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on safety awareness. Through this, this study revealed that in order to improve the safety awareness of construction site workers, the effectiveness of safety education currently being conducted, that is,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education perceived by safety education subjects, must be prioritized over external organizational support to lead to an improvement in safety awareness in the field.
대구시 대규모 택지개발조성사업지구에서 나타나는 지역별 특성에 관한 선행연구
근린생활시설의 대지 요인에 따른 공간별 중요도-만족도 분석 - 거주 후 평가(POE) 기반 데이터 주도 디자인을 위한 지침의 활용에 초점을 두고 -
빅데이터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한 도시재생 사업의 효과 분석 - 목원동 선도지역을 사례로 -
제주형 도심항공교통(J-UAM) 버티포트(Vertiport) 입지요인 분석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