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게슈탈트 집단치료가 가출청소년의 자기개념,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여자 가출청소년을 중심으로 = The Effect of Gestalt Group Psychotherapy on Self-concept, Depression, Anxiety of Run out Adolesc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172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group therapy for run out Adolescence, thus, it could help to develop a better group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un out Adolescence, nine boys and thirteen girls, who stay at a shelter located in Seou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include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 the Gestalt group therapy six times throughout a week. Sungshin self-concept examination questionnaire invented by Jung-Kyu Kim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sonal trust. CDI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such as depressive emotion, behavior barrier, the loss of interests, self abuse, and natural symptom and STAI is used for the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stalt group therapy show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n general including emotional stability and personal trust, and especially, the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maintains. Secondly,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effective on decreasing the level of self-abuse, the effect on self-abuse maintains. Finally, the Gestalt group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effect maintains. Therefore,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over emotional stability, the anxiety level and self-abuse, especially right after the therapy, although the effectiveness could fade depending on the personal situation as time goes by.
      번역하기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group therapy for run out Adolescence, thus, it could help to develop a better group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un out Adolescence, nine boys and thirteen girls, ...

      This study is designed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the Gestalt group therapy for run out Adolescence, thus, it could help to develop a better group therapy program.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run out Adolescence, nine boys and thirteen girls, who stay at a shelter located in Seoul. According to the gender,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Each group includes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d the experimental groups receive the Gestalt group therapy six times throughout a week. Sungshin self-concept examination questionnaire invented by Jung-Kyu Kim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self-esteem, emotional stability, personal relationship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personal trust. CDI i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such as depressive emotion, behavior barrier, the loss of interests, self abuse, and natural symptom and STAI is used for the anxiety leve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Gestalt group therapy shows a positive effect on self-esteem in general including emotional stability and personal trust, and especially, the effect on emotional stability maintains. Secondly,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effective on decreasing the level of self-abuse, the effect on self-abuse maintains. Finally, the Gestalt group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decreasing the level of anxiety, and the effect maintains. Therefore, the Gestalt group therapy is positively effective over emotional stability, the anxiety level and self-abuse, especially right after the therapy, although the effectiveness could fade depending on the personal situation as time goes b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적인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19명의 남녀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게슈탈트 이론을 바탕으로 통합예술치료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감정 표현 및 수용 촉진, 집단원 간 지지의 활용 등 지지-표현적 요소,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형성 등 대인관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적 갈등을 완화하며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고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시내 한 지역구에 위치한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 5월 2주간 총 2개의 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4시간씩, 총 6회기로 진행되었다. 자기개념, 우울, 불안 질문지를 남녀 쉼터 각각에서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에게 배부하고 무선 할당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여자 쉼터의 경우 실험 집단 7명, 통제 집단 6명이었으며 남자 쉼터의 경우 실험 집단 4명, 통제집단 2명으로 2개의 실험집단과 2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치료 직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주 뒤에 추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전반적인 자기개념과 그 하위척도인 정서안정성, 대인신뢰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고, 추수 검사에서 정서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우울의 하위척도인 자기 비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치료가 종결된 2주 후에도 지속적인 효과가 유지되었다. 셋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불안감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추수 검사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적인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19명의 남녀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게슈탈트 이론을...

      본 연구는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적인 문제를 완화시키기 위해 19명의 남녀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게슈탈트 집단상담을 실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한 것이다. 본 프로그램은 게슈탈트 이론을 바탕으로 통합예술치료 기법을 사용하였으며 감정 표현 및 수용 촉진, 집단원 간 지지의 활용 등 지지-표현적 요소, 집단 구성원간의 관계형성 등 대인관계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이 가출 청소년들의 정서적 갈등을 완화하며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형성하고 우울 및 불안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있는지를 자기보고식 검사를 통해 검증하였다. 서울시내 한 지역구에 위치한 쉼터에 거주하고 있는 가출 청소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2003년 5월 2주간 총 2개의 집단에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은 4시간씩, 총 6회기로 진행되었다. 자기개념, 우울, 불안 질문지를 남녀 쉼터 각각에서 쉼터에 거주하는 청소년들에게 배부하고 무선 할당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여자 쉼터의 경우 실험 집단 7명, 통제 집단 6명이었으며 남자 쉼터의 경우 실험 집단 4명, 통제집단 2명으로 2개의 실험집단과 2개의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집단치료 직후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으며, 2주 뒤에 추수 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첫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전반적인 자기개념과 그 하위척도인 정서안정성, 대인신뢰감을 유의하게 향상시켰고, 추수 검사에서 정서 안정성에 미치는 효과가 유지되었다. 둘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우울의 하위척도인 자기 비하를 유의하게 감소시켰고, 치료가 종결된 2주 후에도 지속적인 효과가 유지되었다. 셋째, 게슈탈트 집단치료는 불안감의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추수 검사에서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 연구의 임상적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창겸,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987

      2 김근혜, "학급 대상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000

      3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978

      4 이영이, "통합 예술심리치료" 15 : 63-77, 2001

      5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00

      6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1999

      7 경찰청 방범국, "청소년 방범국" 경찰청 방범국 2002

      8 임기순, "집단상담이 가출 경험 학생의 불안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1998

      9 김성구, "중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한 형태주의 집단상담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85

      10 이유경, "중학교 남학생의 가출특징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시내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1998

      1 김창겸,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987

      2 김근혜, "학급 대상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000

      3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978

      4 이영이, "통합 예술심리치료" 15 : 63-77, 2001

      5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00

      6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1999

      7 경찰청 방범국, "청소년 방범국" 경찰청 방범국 2002

      8 임기순, "집단상담이 가출 경험 학생의 불안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1998

      9 김성구, "중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한 형태주의 집단상담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85

      10 이유경, "중학교 남학생의 가출특징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시내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1998

      11 손옥주, "재가출 아동 치료과정에서 가족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1985

      12 이경아,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13-226, 1999

      13 김수진, "자각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2003

      14 김민동, "애착유형과 자기개념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 2003

      15 신민섭, "아동기 우울증의 평가" 5 (5): 12-27, 1994

      16 한유진,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1993

      17 조수철, "소아정신질환의 분류" (121) : 243-259, 1990

      18 김정규, "성신자기개념검사" 한국 가이던스 1999

      19 윤관현, "게스탈트 치료이론에 대한 고찰" 서강대학교 생활상담실 61-78, 1984

      20 이장호, "게슈탈트 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학생연구 서울 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14-20, 1975

      21 이현림,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97-323, 1995

      22 김두홍, "게슈탈트 치료 기법에 의한 집단 상담이 자아개념의 변화와 그 특성에 미치는 효과" 1985

      23 이순일,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존감 과 대인관계 변화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집중적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1997

      24 박종옥,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1993

      25 한혜영,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2000

      26 노안영,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7 (7): 79-106, 1996

      27 장영향, "게슈탈트 집단 상담이 여중생의 자존감과 EQ에 미치는 효과" 2000

      28 한기백, "게슈탈트 자각증진 집단상담에 의한 내담자 체험수준과 자아 정체감의 변화" 1995

      29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1995

      30 이정희,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2000

      31 황미경, "가출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연구-과제 중심 모델을 적용한 사례를 통하여" 1997

      32 김성경, "가출소녀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7

      33 김선관, "가출소녀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001

      34 New York, "Windows to our children A Gestalt approach to children and adolescents" Real People Press 19781992

      35 Perls,F.S, "The gestalt approach and eyewitness to therapy" Bantam Books 1976

      36 Kipper, "The effect of psychodrama on test anxiet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17-27, 1978

      37 Kaufman,I.,, "The antisocial child and the school" 28 : 146-159, 1958

      38 Rothman, "Strengthening services to family and children" Longman Publishing Group 1991

      39 "Self- concept and Ideal self concept of runaway youth" 1970

      40 Greenberg,l, "Resolving decisional conflict by Gestalt two chair dialogue:Relating process to outcome" 29 : 468-477, 1982

      41 La Gory M, "Predictors of depression in street youth University of Liverpool" 1990

      42 & Gorsuch,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y Press 1970

      43 Fould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al 11" 426-431, 1970

      44 Perls,F, "Gestalt therapy now" Harper & Row 1970

      45 Kaplan,H.B, "Deviant behavior in defence of self" Academic Press 1980

      46 NY,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Random House 1977

      47 Polster, "Contours of theory and practice" 1973

      48 Spielberger,C.D, "Anxiety and behavior" Academic Press 1966

      49 Kovac, "An empirical- 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Raven Press 1977

      50 Mackenzie, "A risk profile comparison of runaway reac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20-821, 198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7-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1 1.31 1.6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3 2.1 2.669 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