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김창겸,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987
2 김근혜, "학급 대상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000
3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978
4 이영이, "통합 예술심리치료" 15 : 63-77, 2001
5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00
6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1999
7 경찰청 방범국, "청소년 방범국" 경찰청 방범국 2002
8 임기순, "집단상담이 가출 경험 학생의 불안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1998
9 김성구, "중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한 형태주의 집단상담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85
10 이유경, "중학교 남학생의 가출특징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시내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1998
1 김창겸, "형태주의 집단상담의 효과에 관한 연구 여고생의 자아개념 변화를 중심으로" 1987
2 김근혜, "학급 대상의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에 미치는 효과" 2000
3 김정택, "특성불안과 사회성과의 관계" 1978
4 이영이, "통합 예술심리치료" 15 : 63-77, 2001
5 김혜영, "초기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구" 2000
6 오송희, "청소년기 애착과 자아존중감 및 우울과의 관계" 1999
7 경찰청 방범국, "청소년 방범국" 경찰청 방범국 2002
8 임기순, "집단상담이 가출 경험 학생의 불안 및 교우관계에 미치는 효과" 1998
9 김성구, "중학생의 불안 감소를 위한 형태주의 집단상담 모형의 개발에 관한 연구" 1985
10 이유경, "중학교 남학생의 가출특징 및 요인에 관한 연구 - 수원시내 남자 중학생을 중심으로" 1998
11 손옥주, "재가출 아동 치료과정에서 가족치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1985
12 이경아, "자아존중감 및 교사와의 관계가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213-226, 1999
13 김수진, "자각중심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자기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2003
14 김민동, "애착유형과 자기개념 우울 및 불안과의 관련성" 2003
15 신민섭, "아동기 우울증의 평가" 5 (5): 12-27, 1994
16 한유진, "아동과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귀인양식과 학업성취" 1993
17 조수철, "소아정신질환의 분류" (121) : 243-259, 1990
18 김정규, "성신자기개념검사" 한국 가이던스 1999
19 윤관현, "게스탈트 치료이론에 대한 고찰" 서강대학교 생활상담실 61-78, 1984
20 이장호, "게슈탈트 치료의 이론적 배경에 관한 고찰 학생연구 서울 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14-20, 1975
21 이현림, "게슈탈트 치료에 대한 고찰 인문연구 영남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97-323, 1995
22 김두홍, "게슈탈트 치료 기법에 의한 집단 상담이 자아개념의 변화와 그 특성에 미치는 효과" 1985
23 이순일,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존감 과 대인관계 변화 및 불안 감소에 미치는 효과 - 집중적 형태의 집단을 중심으로" 1997
24 박종옥,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자아개념 변화에 미치는 효과" 1993
25 한혜영, "게슈탈트 집단상담이 불안과 공격성 감소에 미치는 효과" 2000
26 노안영, "게슈탈트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검증" 7 (7): 79-106, 1996
27 장영향, "게슈탈트 집단 상담이 여중생의 자존감과 EQ에 미치는 효과" 2000
28 한기백, "게슈탈트 자각증진 집단상담에 의한 내담자 체험수준과 자아 정체감의 변화" 1995
29 김정규, "게슈탈트 심리치료" 학지사 1995
30 이정희, "가출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2000
31 황미경, "가출청소년에 대한 효과적인 개입방안 연구-과제 중심 모델을 적용한 사례를 통하여" 1997
32 김성경, "가출소녀를 위한 사회복지 서비스 연구" 한국여성개발원 1997
33 김선관, "가출소녀들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2001
34 New York, "Windows to our children A Gestalt approach to children and adolescents" Real People Press 19781992
35 Perls,F.S, "The gestalt approach and eyewitness to therapy" Bantam Books 1976
36 Kipper, "The effect of psychodrama on test anxiety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17-27, 1978
37 Kaufman,I.,, "The antisocial child and the school" 28 : 146-159, 1958
38 Rothman, "Strengthening services to family and children" Longman Publishing Group 1991
39 "Self- concept and Ideal self concept of runaway youth" 1970
40 Greenberg,l, "Resolving decisional conflict by Gestalt two chair dialogue:Relating process to outcome" 29 : 468-477, 1982
41 La Gory M, "Predictors of depression in street youth University of Liverpool" 1990
42 & Gorsuch,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Consulting Psychology Press 1970
43 Foulds, "Journal of College Student Personal 11" 426-431, 1970
44 Perls,F, "Gestalt therapy now" Harper & Row 1970
45 Kaplan,H.B, "Deviant behavior in defence of self" Academic Press 1980
46 NY, "Creative process in Gestalt therapy" Random House 1977
47 Polster, "Contours of theory and practice" 1973
48 Spielberger,C.D, "Anxiety and behavior" Academic Press 1966
49 Kovac, "An empirical- clinical approach toward a definition of childhood depression" Raven Press 1977
50 Mackenzie, "A risk profile comparison of runaway reactio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20-821, 198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