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사회의 젠더갈등에 대한 유교적 성찰: 김호연재의 분노 감정 수행성을 중심으로 = Confucian Reflections on Gender Conflict in Korean Society - Focus on the Anger Performativity of Kim-Ho-Yeon-Ja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2354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분노 다스림에 대한 유교적 수양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젠더갈등과 그로 인해 산출되는 분노 감정을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노가 지니는 저항적이고 긍정...

      본 논문은 분노 다스림에 대한 유교적 수양을 통해 현재 한국사회에서 일어나는 젠더갈등과 그로 인해 산출되는 분노 감정을 성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분노가 지니는 저항적이고 긍정적인 의미를 인정하지만, 분노는 종종 보복, 상대방의 지위격하 등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문제적임을 인식하기 때문이다.
      이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본 논문은 타자와의 관계성, 공동체성을 염두에 두는 성리학적 수양론과 감정론, 특히 조선 후기 여성인 김호연재(1682-1722)가 지은 「자경편」에 나타난 여성의 감정 수양에 주목한다. 「자경편」은 가부장적 젠더규범에 순응할 것을 강조하면서도 조선 여성들의 분노를 포착해 드러내기도 하고, 또 다른 한편 분노표출의 과정에서 여성의 윤리적 주체 형성이 훼손되는 것을 경계하는 내용을 포함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김호연재가 보여주는 분노 감정 다스림을 통해 분노를 그저 참음이나 용서 혹은 피해를 준 상대방에 대한 앙갚음, 되갚아주기의 측면이 아니라 주체형성의 문제와 관련하여 자기배려의 실천적 차원에서 생각해보고자 한다. 그리고 이를 현재 한국사회가 당면한 젠더갈등 및 분노 상황을 성찰하는 기회로 삼고자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gender conflict that occurs in current Korean society and the anger produced by it, using the Confucian cultivation on anger management. While acknowledging the resistant and positive meaning of anger, I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flect on the gender conflict that occurs in current Korean society and the anger produced by it, using the Confucian cultivation on anger management. While acknowledging the resistant and positive meaning of anger, I argue that it can often be problematic when it shows retaliation and degradation of the other person's position.
      To discuss this in detail, this paper focuses on Neo-Confucianism and Emotion which considers relationship and community, especially in Ja-Kyeong-Pyeon written by Kim-Ho-Yeon-Jae(1682-1722), a woman in the late Joseon Dynasty. It is because while emphasizing compliance with patriarchal gender norms, Ja-Kyeong-Pyeon captures and reveals the anger of Korean women and on the other hand is also vigilant about the ways in which women’s ethical subject formation could be damaged in the process of expressing anger.
      By discussing feelings of anger shown by Kim-Ho-Yeon-Jae, this paper seeks to reflect upon anger as not just patience, forgiveness, or revenge against the other, but as an issue of self-consideration in relations to subject formation. By doing so, the study attempts use this as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the gender conflict and anger we are seeing in current socie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열상고전연구회, "호연재 김씨의 생애와 문학" 보고사 2005

      2 박무영, "호연재 『자경편』의 서술방식과 여성문학적 성격" 고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 : 2001

      3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4 김선희, "혐오미러링" 연암서가 2018

      5 김선희, "혐오담론에 대응하는 여성주의 전략의 재검토-워마드의 혐오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018

      6 윤김지영, "페미니즘 지각변동" 한국여성철학회 2018

      7 최희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개인주의 사회의 윤리적 삶을 위한 실천양식: 푸코의 ‘자기 배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2 (22): 43-53, 2022

      8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9 이혜순, "조선조 후기 여성지성사" 이화여대출판부 2007

      10 엄 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 열상고전연구회, "호연재 김씨의 생애와 문학" 보고사 2005

      2 박무영, "호연재 『자경편』의 서술방식과 여성문학적 성격" 고대민족문화연구원 한국문학연구소 2 : 2001

      3 마사 누스바움, "혐오와 수치심" 민음사 2015

      4 김선희, "혐오미러링" 연암서가 2018

      5 김선희, "혐오담론에 대응하는 여성주의 전략의 재검토-워마드의 혐오담론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2018

      6 윤김지영, "페미니즘 지각변동" 한국여성철학회 2018

      7 최희진,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개인주의 사회의 윤리적 삶을 위한 실천양식: 푸코의 ‘자기 배려’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 22 (22): 43-53, 2022

      8 미셸 푸코, "주체의 해석학" 동문선 2007

      9 이혜순, "조선조 후기 여성지성사" 이화여대출판부 2007

      10 엄 진, "전략적 여성혐오와 그 모순 : 인터넷 커뮤니티 ‘일간베스트 저장소’의 게시물 분석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5

      11 김분선, "자기 배려 윤리의 논점에서 본 ‘분노’" 한국여성철학회 32 : 29-56, 2019

      12 이현재, "여성혐오 그 후, 우리가 만난 비체들" 들녘 2016

      13 낸시 프레이저, "불평등과 모욕을 넘어" 그린비 2016

      14 마사 누스바움, "분노와 용서" 뿌리와 이파리 2018

      15 김민정, "누가여성을 죽이는가" 돌베개 2019

      16 향지문화사, "浩然齋遺稿 (영인)"

      17 미셸 푸코, "『성의 역사』 Ⅱ" 나남출판 1996

      18 Nancy Fraser, "Justice Interrupts: Critical Reflections on the "Post socialist" Condition" Routledge 1997

      19 Susan Fauldi, "Backlash : the underclared war against American women" Crown 1992

      20 한국일보, "2019년 9월 26일 기사"

      21 연합뉴스, "2019년 4월 17일 기사"

      22 중앙일보, "2019년 4월 17일 기사"

      23 오마이뉴스, "2019년 10월 17일 기사"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6 0.46 0.5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7 0.46 1.189 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