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으로 인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MZ세대의 이직률을 줄이고 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972980
2024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23-51(29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으로 인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MZ세대의 이직률을 줄이고 기...
본 연구는 보육시설에 종사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으로 인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세대 간 갈등의 원인을 탐색하고 해결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MZ세대의 이직률을 줄이고 기성세대와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공립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MZ세대 보육교사 10인을 선정하여 2그룹으로 나누고 2023년 8월부터 11월까지 각각 2회기에 걸쳐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진행하여 자료를 분석 및 해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인터뷰에 응한 MZ세대 보육교사의 직업의식은 교직을 선택한 것에 대해 만족감을 느끼고 있었으나 개인을 우선시하고 워라벨을 중요시하는 MZ세대의 가치관과는 다른 직업 환경으로 가치관의 충돌을 경험하고 있었다. 둘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이 기성세대와 겪게 되는 갈등은 불공평한 업무분장, 경험을 앞세운 훈육방법, 개인의 개성을 살리지 못하고 획일화된 복무규정 등을 갈등의 원인으로 꼽았다. 셋째, MZ세대 보육교사들은 기성세대와 갈등이 있을 때 이를 회피하고 문제상황을 크게 만들려고 하지 않았으나 갈등 해결을 위한 노력으로 기성세대의 경험을 공유받거나 교사교육 공동체를 통해 서로 부족한 부분을 보완하며 도움을 주고받기를 원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 세대가 통합하여 상호 보완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을 후속 연구로 제안하고자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ought to help reduce the turnover rate due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by exploring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ith older generations due to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MZ gen...
This study sought to help reduce the turnover rate due to intergenerational conflicts and maintain a cooperative relationship by exploring the causes of intergenerational conflicts with older generations due to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facilities, broadening the breadth of understanding, and finding a solution. To this end, in this study, 10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working at national and public daycare centers were selected and divided into 2 groups, and two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August to November 2023 to analyze and interpret the data. As a result of the study, first, the professional consciousness of the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 who was interviewed was satisfied with choosing a teaching position, but was experiencing a conflict of values with a different work environment from the values of the MZ generation, which prioritizes the individual and values the war label. Second, the conflicts that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experience with the older generation were cited as the causes of the conflict, such as unfair work division, experience-based discipline methods, and uniformized service regulations that do not save individual individuality. Third, MZ generation childcare teachers did not try to avoid conflicts with the older generation and make the problem situation bigger, but they wanted to share the experience of the older generation as an effort to resolve the conflict or to compensate for each other's shortcomings and help through the teacher education community. Based on this, this study would like to propose a follow-up study to develop a program that can be integrated and complement each other by two generations.
교사의 놀이지원역량이 만 5세반 유아의 배움 성향에미치는 영향 : 유아 놀이성의 매개효과
빅데이터를 통해 본 증강현실 교육에 대한 사회적 인식 분석
보육효능감, 돌봄아동 부모의 지지, 집단자긍심이 아이돌보미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보육교사가 지각하는 사회적 소외가 괜찮은 일에 미치는 영향 : 진로적응성을 매개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