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이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 of the Qualities K League Club Youtube Contents on People's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84807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K리그 구단이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 품질이 팬들의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K리그 구단의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의 기초자료 혹은 전략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종합축구 커뮤니티 및 팬 커뮤니티를 통해 비대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76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13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363명이 응답한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유용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정확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최신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공유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K리그 구단이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 품질이 팬들의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K리그 구단의 유튜브를 활...

      본 연구는 K리그 구단이 운영하는 공식 유튜브 채널의 콘텐츠 품질이 팬들의 경기 시청 의도 및 직접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 도출된 결과를 토대로 K리그 구단의 유튜브를 활용한 마케팅의 기초자료 혹은 전략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온라인 종합축구 커뮤니티 및 팬 커뮤니티를 통해 비대면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총 376부의 설문지 중 불성실하게 응답하였다고 판단되는 13명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363명이 응답한 설문지가 최종 분석에 활용되었다. 자료의 분석은 IBM S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사용했으며 빈도 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절차 및 분석을 통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유용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정확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최신성은 경기 시청 의도와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K리그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 중 공유성은 경기 시청 의도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직접 관람 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s qualities of official YouTube channels operated by K League clubs on fans'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and to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or strategy marketing data using K League clubs' YouTub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online soccer community and fan community, and a total of 363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 excluding 13 who were judged to have responded insincerely,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BM SPSS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such procedures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of the K League club's YouTube contents qual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Second,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accuracy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atest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Fourth,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sharing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s qualities of official YouTube channels operated by K League clubs on fans'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and to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or strategy marketi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contents qualities of official YouTube channels operated by K League clubs on fans'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and to provide basic marketing data or strategy marketing data using K League clubs' YouTube based on the result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study, a non-face-to-face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online soccer community and fan community, and a total of 363 people answered the questionnaire, excluding 13 who were judged to have responded insincerely, was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IBM SPSS version 25.0 program was used to analyze the data, and frequency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performed. The conclusions obtained through such procedures and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usefulness of the K League club's YouTube contents qualities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Second,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accuracy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Third, it was found that the latest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and in person. Fourth, among the qualities of YouTube contents in the K League club, sharing was found to have little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live, but it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 effect on the intention to watch the match in pers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정희경 ; 이경식, "항공사 SNS의 특성이 SNS신뢰, SNS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항공사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53-69, 2020

      2 김가은, "프로축구단의 SNS 활동이 구단이미지와 경기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4

      3 이소희 ; 조용찬, "프로여자배구 유튜브 시청동기에 따른 지속시청이 선수이미지 및 경기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20 (20): 661-671, 2022

      4 오정수, "프로야구단의 SNS 정보특성과 인게이지먼트, 행동의도의 관계연구" 한국스포츠학회 20 (20): 741-752, 2022

      5 박철, "프로야구구단 SNS 팬 페이지 특성이 이용만족도와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39 (39): 77-101, 2019

      6 남상백 ; 배정섭, "프로스포츠 구단 공식 유투브채널에 대한 시청동기, 팀 동일시, 시청태도, 시청만족 및 관람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671-685, 2019

      7 정경회 ; 류민아 ; 유광길, "프로농구구단의 SNS마케팅 특성,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및 관람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427-441, 2019

      8 조윤진 ; 서상우, "프라이빗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의도 연구 - SNS 유용성, 쇼핑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3 (63): 61-71, 2013

      9 조정래 ; 박세혁 ; 서희정, "풋살구장 이용자들이 인지하는 서비스 품질이 몰입경험, 만족도, 재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92) : 99-110, 2023

      10 우천링, "콘텐츠 정보 품질과 소비자 공감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연구" 부산카톨릭대학교 2021

      1 정희경 ; 이경식, "항공사 SNS의 특성이 SNS신뢰, SNS참여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 항공사 유형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29 (29): 53-69, 2020

      2 김가은, "프로축구단의 SNS 활동이 구단이미지와 경기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대학교 사회체육대학원 2014

      3 이소희 ; 조용찬, "프로여자배구 유튜브 시청동기에 따른 지속시청이 선수이미지 및 경기관람의사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20 (20): 661-671, 2022

      4 오정수, "프로야구단의 SNS 정보특성과 인게이지먼트, 행동의도의 관계연구" 한국스포츠학회 20 (20): 741-752, 2022

      5 박철, "프로야구구단 SNS 팬 페이지 특성이 이용만족도와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39 (39): 77-101, 2019

      6 남상백 ; 배정섭, "프로스포츠 구단 공식 유투브채널에 대한 시청동기, 팀 동일시, 시청태도, 시청만족 및 관람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671-685, 2019

      7 정경회 ; 류민아 ; 유광길, "프로농구구단의 SNS마케팅 특성, 사용용이성, 인지된 유용성 및 관람의도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8 (28): 427-441, 2019

      8 조윤진 ; 서상우, "프라이빗 쇼핑몰의 패션제품 구매의도 연구 - SNS 유용성, 쇼핑가치를 중심으로 -" 한국복식학회 63 (63): 61-71, 2013

      9 조정래 ; 박세혁 ; 서희정, "풋살구장 이용자들이 인지하는 서비스 품질이 몰입경험, 만족도, 재구매의도 및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92) : 99-110, 2023

      10 우천링, "콘텐츠 정보 품질과 소비자 공감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연구" 부산카톨릭대학교 2021

      11 오을임 ; 김구, "지방행정기관 공무원들간의 웹 사이트 활용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상호작용성, 유용성, 가치 등을 중심으로 -" 한국지방정부학회 8 (8): 53-71, 2004

      12 석수진, "중학생의 유튜브 스포츠 콘텐츠 시청동기가 스포츠가지관에 미치는 영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13 김종호 ; 김기한, "이단계 군집분석을 활용한 유튜브 스포츠 콘텐츠 특성분석: 유튜브 스포츠 채널 빅데이터를 중심으로" 한국체육학회 60 (60): 41-59, 2021

      14 김준호 ; 한석호 ; 윤지환, "유튜브 관광콘텐츠 품질과 정보원 특성이 시청 만족, 지속적 시청 의도 및 미래 방문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호텔외식관광경영학회 30 (30): 217-235, 2021

      15 김세범, "여행사패키지상품의 서비스품질과 만족 및 재구매의도와의 관계에새 대한 연구" 4 (4): 19-44, 2004

      16 정채령, "여행 유튜브 속성 지각이 이용자의 행동 의도에 미치는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21

      17 김현정 ; 조용찬, "여자 프로배구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이 팬들의 팀 동일시, 대리만족, 경기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27 (27): 30-43, 2022

      18 조용찬 ; 김현정, "여자 프로배구 구단 유튜브 콘텐츠 품질이 대리만족 및 코로나19로 인한 스트레스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60 (60): 209-221, 2021

      19 차유미, "에스테틱 매거진의 콘텐츠 품질과 구독자의 행동 의도의관계에서 정보수용태도의 매개효과" 서경대학교 2021

      20 박성화 ; 이명권, "스포츠이벤트 참여가 스포츠 채널 선호도와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 (19): 69-85, 2014

      21 노을아래, "스포츠 채널 야구매거진 프로그램 여성 아나운서의 공신력이 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22 김윤희, "스포츠 유튜브방송의 품질과 신뢰 및 재 시청의도와의 구조적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9 (19): 107-116, 2021

      23 김충현 ; 고준석, "스포츠 구단 SNS 동일시와 스포츠 팬의 상호작용 및 행동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한국광고학회 23 (23): 87-111, 2012

      24 박창호 ; 최민섭, "부동산 유튜브 서비스 품질이 재시청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부동산분석학회 26 (26): 99-118, 2020

      25 공성배 ; 정연성 ; 이원희, "민속씨름 중계방송이 수용자 만족과 재시청 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49 (49): 21-35, 2010

      26 김형준, "무경기 시대의 스포츠 기자" 155 : 235-242, 2020

      27 박문곤 ; 전정수, "교육행정정보시스템(NEIS) 정보품질이 이용자 만족과 이용자 가치에 미치는 영향- 서울지역 고등학교 교사를 중심으로 -" 한국상업교육학회 18 : 91-110, 2007

      28 김지은, "광고를 목적으로 한 유튜브 영상의 품질요인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영상길이 조절효과와 지각된 가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2019 : 113-113, 2019

      29 전기제 ; 전찬수 ; 구륜회 ; 신승호, "검도장 SNS서비스와 수련생 간의 상호작용성이 관계몰입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4 (54): 297-308, 2015

      30 신재호 ; 최영진, "e스포츠 구단의 SNS 마케팅 활동과 구단이미지 및 구매의도에 관한 연구" 한국e스포츠학회 5 (5): 77-90, 2023

      31 Delone, W. H., "The Delone and McLean model of information system success : A ten year update" 19 (19): 9-30, 2003

      32 장하늬, "SNS에서 프로스포츠 팬 간 상호작용성이 스포츠 소비자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서강대학교 대학원 2021

      33 곽비송, "SNS 특성이 레스토랑의 몰입 및 신뢰 그리고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학회 9 (9): 103-123, 2013

      34 Nunnally, J. C., "Psychometric theory" McGraw Hill 1994

      35 Kline, R. B.,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Guilford Press 2005

      36 Dick, A. S., "Customer loyalty : Toward and integrated concepyual framework" 22 (22): 99-113, 1994

      37 Engel, J. F., "Consumer Behavior" Dryden Pres 1982

      38 Nisar, T. M., "Brand interactions and social media : Enhancing user loyalty through social networking sites" 62 : 743-753,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