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SCIE

      Carbamazepine에 의한 급성 간질성 신염 1예 = A Case of Carbamazepin-induc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79051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 report a case of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ssociated with carbamazepine in a 45-year-old woman who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The patient has been taken valproic acid and carbamazepine to control the recurrent episodes of seizure after the surgery for meningioma. The patient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with fever and skin rash. The patient stopped all medications except valproic acid, and was examined by ultrasonography, gallium scan and renal biopsy. Renal biopsy revealed severe interstitial infiltration of neutrophils in glomeruli without inflamm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carbamazepine, acute renal failure of the patient improved and serum creatinine returned to normal. (Korean J Nephrol 2005;24(3):470-474)
      번역하기

      We report a case of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ssociated with carbamazepine in a 45-year-old woman who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The patient has been taken valproic acid and carbamazepine to control the recurrent episodes of seizure after the ...

      We report a case of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associated with carbamazepine in a 45-year-old woman who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The patient has been taken valproic acid and carbamazepine to control the recurrent episodes of seizure after the surgery for meningioma. The patient developed acute renal failure with fever and skin rash. The patient stopped all medications except valproic acid, and was examined by ultrasonography, gallium scan and renal biopsy. Renal biopsy revealed severe interstitial infiltration of neutrophils in glomeruli without inflammation. After discontinuation of carbamazepine, acute renal failure of the patient improved and serum creatinine returned to normal. (Korean J Nephrol 2005;24(3):470-474)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급성 간질성 신염은 약물 및 감염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신장 조직검사에서 신사구체는 비교적 정상 소견을 보이나 신장의 간질에 심한 염증 세포의 침윤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다1-4).
      주원인으로는 신증후성 출혈열, 장티푸스, 급성 신우신염, 결핵 등의 감염 질환과 전신성 홍반성 낭창, Wegener's disease 등의 면역 질환, 그리고 약제 등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약제들의 사용과 사용 빈도의 증가에 따라 급성 간질성 신염의 발생 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약물에 의한 간질성 신염은 주로 특정 약물에 의한 과민 반응으로 약물의 용량에 관계없이 약물 사용 후 2일에서 40일 사이에 열, 피부 발진, 관절통, 호산구증 등의 임상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또한 급성 알러지 간질성 신염으로도 불려진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methicillin, penicillin, rifampin, thaizide, furosemide, cephalospori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 등이 비교적 흔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흔하지 않으나 드물게 sulfonamide계 이뇨제, allopurinol, cyclosporin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항간질제 중에서는 diazepam, phenobarbital, phenytoin, sodium valproic acid5)가 간질성 신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arbamazepine은 1953년 삼차 신경통의 치료제로서 소개되어 항간질제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부작용은 어른과 성인에서 약 33-50%의 비율로 나타나며 운동 실조증 (ataxia), 중성구 감소증 등의 신경학적, 혈액학적 부작용이 주로 알려져 있다. 신장에서 보이는 부작용은 드물며 주로 경증의 일시적인 혈뇨, 단백뇨 및 요당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rbamazepine에 의한 급성 간질성 신염은 국외에서는 1981년 Hogg 등6)이 보고한 이후 약 6예가 보고되었고 국내에서는 2000년 정 등7)이 1예를 보고한 바 있다.
      저자들은 carbamazepine 복용 후 발생한 고열과 함께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환자에서 급성 간질성 신염을 진단하고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 완화와 신기능 회복을 보이고, 신 생검에서도 진단이 확인된 급성 간질성 신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번역하기

      급성 간질성 신염은 약물 및 감염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신장 조직검사에서 신사구체는 비교적 정상 소견을 보이나 신장의 간질에 심한 염증 세포의 침윤 소...

      급성 간질성 신염은 약물 및 감염 등 여러 가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되는 질환으로 신장 조직검사에서 신사구체는 비교적 정상 소견을 보이나 신장의 간질에 심한 염증 세포의 침윤 소견을 보이는 질환이다1-4).
      주원인으로는 신증후성 출혈열, 장티푸스, 급성 신우신염, 결핵 등의 감염 질환과 전신성 홍반성 낭창, Wegener's disease 등의 면역 질환, 그리고 약제 등이 있다. 최근에는 다양한 약제들의 사용과 사용 빈도의 증가에 따라 급성 간질성 신염의 발생 빈도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약물에 의한 간질성 신염은 주로 특정 약물에 의한 과민 반응으로 약물의 용량에 관계없이 약물 사용 후 2일에서 40일 사이에 열, 피부 발진, 관절통, 호산구증 등의 임상 증상을 보이는 질환이다. 또한 급성 알러지 간질성 신염으로도 불려진다. 대표적인 약물에는 methicillin, penicillin, rifampin, thaizide, furosemide, cephalosporin,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 (NSAID) 등이 비교적 흔하게 보고되고 있으며, 흔하지 않으나 드물게 sulfonamide계 이뇨제, allopurinol, cyclosporin 등이 보고되고 있다. 그리고, 항간질제 중에서는 diazepam, phenobarbital, phenytoin, sodium valproic acid5)가 간질성 신염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Carbamazepine은 1953년 삼차 신경통의 치료제로서 소개되어 항간질제의 하나로 널리 사용되어 왔다. 부작용은 어른과 성인에서 약 33-50%의 비율로 나타나며 운동 실조증 (ataxia), 중성구 감소증 등의 신경학적, 혈액학적 부작용이 주로 알려져 있다. 신장에서 보이는 부작용은 드물며 주로 경증의 일시적인 혈뇨, 단백뇨 및 요당이 나타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arbamazepine에 의한 급성 간질성 신염은 국외에서는 1981년 Hogg 등6)이 보고한 이후 약 6예가 보고되었고 국내에서는 2000년 정 등7)이 1예를 보고한 바 있다.
      저자들은 carbamazepine 복용 후 발생한 고열과 함께 급성 신부전이 발생한 환자에서 급성 간질성 신염을 진단하고 투약을 중지한 후, 증상 완화와 신기능 회복을 보이고, 신 생검에서도 진단이 확인된 급성 간질성 신염 1예를 경험하였기에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기간 Furosemide를 복용한 환자에서 신석회화를 동반한 급성 간질성 신염 1예" 17 : 973-976, 1998

      2 "약물에 의한급성 과민성 간질성 신염의 임상상" 13 : 91-98, 1994

      3 "van der Laan JS:Carbamazepine-associat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50 : 25-28, 1997

      4 "Valproicacid induced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109 : 285-288, 1994

      5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causedby sodium valproate" 24 : 102-105, 2002

      6 "The anticonvulsant hypersensitivity syndrome" 129 : 175-177, 1993

      7 "Sodium-valproate-induced interstitialnephritis" 48 : 43-46, 1998

      8 "Side effects from increased doses of carbamazepine on neuropsychological and posturographic parameters of humans" 7 : 213-218, 1997

      9 "Renal toxicity induced by valproic acid" 13 : 863-868, 1993

      10 "Interstitial nephritis due tophenytoin hypersensitivity" 91 : 438-441, 1977

      1 "장기간 Furosemide를 복용한 환자에서 신석회화를 동반한 급성 간질성 신염 1예" 17 : 973-976, 1998

      2 "약물에 의한급성 과민성 간질성 신염의 임상상" 13 : 91-98, 1994

      3 "van der Laan JS:Carbamazepine-associated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50 : 25-28, 1997

      4 "Valproicacid induced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109 : 285-288, 1994

      5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causedby sodium valproate" 24 : 102-105, 2002

      6 "The anticonvulsant hypersensitivity syndrome" 129 : 175-177, 1993

      7 "Sodium-valproate-induced interstitialnephritis" 48 : 43-46, 1998

      8 "Side effects from increased doses of carbamazepine on neuropsychological and posturographic parameters of humans" 7 : 213-218, 1997

      9 "Renal toxicity induced by valproic acid" 13 : 863-868, 1993

      10 "Interstitial nephritis due tophenytoin hypersensitivity" 91 : 438-441, 1977

      11 "Immunologically mediated chronic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causedby valproate therapy" 72 : 328-329, 1996

      12 "Immunologic aspects of renal tubularand interstitial diseases" 29 : 191-203, 1978

      13 "Drug induced hypersensitivity nephritis" 11 : 526-532, 1975

      14 "Diphenylhydantoininterstitial nephritis.Roles of cellular and humoral immunologicinjury" 92 : 915-920, 1978

      15 "Cutaneous reactions to anticonvulsants" 12 : 329-227, 1992

      16 "Carbamazepine에 의한 급성 간질 성 신염 1예" 19 : 1183-1186, 2000

      17 "Carbamazepine-induced acute tubulointerstitial nephritis" 98 : 830-832, 1981

      18 "Antiepileptic drugs" 334 : 168-175, 1996

      19 "Allergicinterstitial nephritis causing reversible renal failure in four patientswith idopathic nephritic syndrome" 288 : 124-128, 1973

      20 "Acute renal failure from carbamazepine" 4 : 490-, 1972

      21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due to methicillin" 65 : 756-, 1978

      22 "Acute interstitial nephritis due to drugs,review of the literature with areport of nine case" 93 : 735-741, 198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11-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외국어명 : 미등록 ->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Society of Nephrology KCI등재
      2007-02-22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대한신장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Nephrology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4 0.1 0.42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