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전통적인 성과관리(BSC)의 일환으로 BSC를 도입한 공공조직의 BSC 운영에 있어 1992년 Kaplan과 Norton에 의해 소개된 성과관리의 핵심요소인 성과지표에 대해 조직구성원들이 성과지표...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957701
용인: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0
학위논문(박사) -- 단국대학교 대학원 , 경영학과 경영정보시스템 전공 , 2010. 2
2010
한국어
658.4038 판사항(22)
경기도
A Study on the Influencing Factors on the Acceptance of the BSC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Public Sector
viii, 97 장: 삽도; 26cm.
단국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오재인
참고문헌 : 79-90 장.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전통적인 성과관리(BSC)의 일환으로 BSC를 도입한 공공조직의 BSC 운영에 있어 1992년 Kaplan과 Norton에 의해 소개된 성과관리의 핵심요소인 성과지표에 대해 조직구성원들이 성과지표...
본 연구는 전통적인 성과관리(BSC)의 일환으로 BSC를 도입한 공공조직의 BSC 운영에 있어 1992년 Kaplan과 Norton에 의해 소개된 성과관리의 핵심요소인 성과지표에 대해 조직구성원들이 성과지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사용된 요인 및 세부변수(독립변수)로는 전략적 특성(CEO의 관심, 전략과 미션의 연계성, 업무의 중요성), 지원 특성(의사소통, BSC 교육, 지표개발 참여 및 지원), 지표 특성(지표의 난이도, 지표의 구체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종속변수인 성과지표의 수용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BSC를 도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공공부문 기관을 대상으로 101부의 유효 표본을 확보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17.0을 사용한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각 변수들에 대해 신뢰도 분석결과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타당성 분석결과 독립변수인 업무의 중요성, 의사소통, 지표의 구체성에서 각각 1개의 항목이 제외되고 7개의 잠재변수와 25개의 관측변수가 최종분석에 활용되었다.
회귀분석을 통한 가설 검정 결과 8개의 가설 중 4개의 가설이 채택되었다. BSC 교육, 전략과 미션의 연계성, 지표의 구체성, 지표개발 참여 및 지원이 성과지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성과지표의 수용도에 영향을 주는 변수 중에서 가장 높은 영향력을 주는 것은 BSC 교육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지표의 구체성, 전략과 미션의 연계성, 지표개발 참여 및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성과지표의 사용자들이 수용에 있어 기존 연구와 맥락을 같이 하고 있는 것으로 BSC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BSC 교육의 중요성을 재확인 하였다. 현행 BSC에 연관된 교육과 같이 단기적이고 제한적인 교육체계 및 공공부문의 보직순환제도에서는 성과관리(BSC)의 제도자체를 제대로 이해하는데 어려움이 많다. 따라서 BSC의 운영이 보다 효율적이고 더 나아가 조직구성원들이 인식하는 BSC 성과지표의 수용도 향상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교육이 최우선적으로 시행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둘째, 조직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아무리 좋은 제도라 해도 수용하는 조직구성원들의 전략적 사고가 갖추어지지 않는다면 조직의 성과는 기대하기 힘들다. BSC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정착하는데 CEO의 비전과 방침을 설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 보다 선행되어야 하는 것은 실제로 수용해야 하는 조직구성원들의 개인적 목표의식 및 책임의식 즉, 조직구성원들에게 그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도록 더욱 노력하여야 한다.
셋째, 지표의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질적인 성과지표를 구체적으로 개발하여야 한다. 공공부문의 업무특성상 전략과 미션에 연계된 업무 및 성과지표는 장기간에 걸쳐서 지속적으로 수행해야만 나오는 성과이기 때문에 이를 기피하는 경향이 있다. 이는 비교적 공공부문보다는 단기적 성과에 치중하는 민간부문의 경우에 있어 계량화된 지표를 통한 성과관리가 용이할 수 있겠으나 공공부문일수록 계량적 성과 측정과 비계량지표(질적지표) 개선에 지속적인 고민이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지금까지의 모든 연구에서 CEO의 관심과 지원이 항상 첫 번째로 거론되는 요소였다는 점을 고려했을 때 본 연구에서는 CEO의 관심이 성과지표의 수용도에 거의 영향을 못 미친다는 분석결과를 나타내고 있어 이는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할 수 있다. 즉, 공공기관 기관장은 임기와 퇴임 후의 진로 등에 관심을 갖고 있기 때문에 상급기관 및 기관자체내의 평가결과에 따른 조직적 안전 및 각종 인센티브 등에 더욱 큰 관심을 갖고 있다. 따라서 외부평가와 관련된 업무의 성과지표에 대한 과도한 목표값 설정과 주기적인 성과확인 등 업무의 부담으로 인식하게 되어 조직구성원들은 되도록 해당 성과지표를 수용하고자 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CEO의 관심과 지표의 난이도가 높은 성과지표에 대해서는 조직구성원들이 수용할 수 있도록 평가에 대한 보정으로 업무의 부담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field of performance management mainly focuses on the research regarding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the intention of use, and the output of the BSC system.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
The previous literature on the field of performance management mainly focuses on the research regarding the critical success factors, the intention of use, and the output of the BSC system.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analyze the influencing factors of the acceptance on the BSC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public sector.
The result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from this research shows that these influencing factors include the education about BSC, the specificity of the indicators, the connection between strategy and mission, and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 during the development of the indicators.
Further, the result reveals that the CEO's concern is nothing to do with the employees acceptance of the BSC performance indicators in the public sector, unlike the consistent result from the previous literature. The reason is because the employees often tend to refuse the performance indicators of the CEO's concern that increase their workload d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excessive target of the indicators and their periodic reports.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