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집안에서 생장했으면서도 배움[學]과그것의 실천[行]에 있어 기존의 영남 학인들과는 일정한 차별성을 보였던 손덕승의 학자ㆍ관료적 면모를 조명함...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824068
2015
Korean
孫德升 ; 손덕승 ; 嶺南學派 ; 영남학파 ; 嶺南學 ; 영남학 ; 近畿學 ; 근기학 ; Son Deok-seung ; Yeongnam School ; school of Yeongnam province ; school of Gyeonggi area
구)KCI등재(통합)
학술저널
195-232(38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집안에서 생장했으면서도 배움[學]과그것의 실천[行]에 있어 기존의 영남 학인들과는 일정한 차별성을 보였던 손덕승의 학자ㆍ관료적 면모를 조명함...
이 글은 조선후기 영남학파를 대표하는 집안에서 생장했으면서도 배움[學]과그것의 실천[行]에 있어 기존의 영남 학인들과는 일정한 차별성을 보였던 손덕승의 학자ㆍ관료적 면모를 조명함으로써 인물사 연구의 다양성을 모색하는데 초점이있다. 손덕승은 적개공신 鷄川君 孫昭의 후손이라는 점에서 양반 중에서도 기득권층 에 속했고, 경주 良洞이라는 안정된 공간에서 생장했다는 점에서는 보수 유림층으로 불릴 수 있는 여지가 있던 인물이었다. 그러나 그의 학문은 晦退라는 영남학의 줄기를 수용하면서도 近畿學[서울학]적요소를 아우르고 있었고, 李玄逸로 상징되는 산림의 존재와 역할을 매우 비판적으로 바라본 것에서는 기존의 통념을 뛰어넘고자 했던 의식이 간파되었다. 특히 조선후기 노론학계의 상징 송시열을 향한 직설적 논평과 권력에 아부하는 세태를 일소코자 했던 결단력은 동시대 영남의 사대부 지식인들과는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 이 글은 손덕승의 이러한 학자 관료적 면모의 동인을 영남학과 서울학의 융합적 측면에서 찾고자 했으며, 이런 작업은 조선후기 인물사 연구의 形質을 세밀화 하는데 일정한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focuses on Son Deok-seung who grew up from the family representing Yeongnam School in late-Joseon dynasty with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scholars of that school in terms of lear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highlighting his sch...
This article focuses on Son Deok-seung who grew up from the family representing Yeongnam School in late-Joseon dynasty with differentiation from the existing scholars of that school in terms of learning and implementation methods, highlighting his scholarly and bureaucratic aspects to seek the variability of the historical figures study. He belonged to the establishment in Yangban class since he was a descendant of Son Soh, a meritorious retainer of Jeok-gyeo. Moreover, he could be called as the class of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because he grew up in the stable situation in Yangdong, Gyeongju. However, his studies were from the mainstream of Yeongnam province school, Hoetoe (including both Hoejae, Lee Eon-jeok and Toegye, Lee Hwang), and covering also the contents of Gyeonggi area school at the same time. From his viewpoints to see the existence and roles of rustic literati symbolized by Lee Hyeon-il critically, we could understand his intention to exceed the existing ideas. Especially, his direct criticism to Song Shi-yeol, the symbol of Noron School in late-Joseon dynasty and the decision power to eliminate the prevailing state of the society to flatter on the powe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those of the Yeongnam intellectuals in the same era. This is to seek the root causes of Son Deok-seung’s characteristics in terms of the scholarly and bureaucratic aspects in fusion of school of Yeongnam province and school of Gyeonggi area, which will be helpful in miniaturizing the characters of historical figures study in late-Joseon dynasty.
공자의 인인시언적 방법과 철학상담 -『논어』에 나타난 공자의 문답법을 중심으로-
유학의 심성론과 심리학 -중용과 분석심리학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