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연구는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1946-1979)가 1960년에 작성한 유네스코회관의 초기 설계안인 「유네스코 신축공사」 설계도서와 그 건립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유네스코회관이 1950년부터 계...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8120121
우동선 (한국예술종합학교)
2022
Korean
UNESCO House ; Plans ; Kuzosa Architects & Engineers ; Pai Ki Hyung ;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 Office ; Myeongdong ; Complex cultural facility ; High rise ; Reinforced concrete ; Modern architecture ; Curtain wall ; 유네스코회관 ; 설계안 ;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 배기형 ; 유네스코한국위원회 ; 사무실 ; 명동 ; 복합문화시설 ; 고층 ; 철근콘크리트 ; 근대건축 ; 커튼월
KCI등재
학술저널
35-50(1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1946-1979)가 1960년에 작성한 유네스코회관의 초기 설계안인 「유네스코 신축공사」 설계도서와 그 건립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유네스코회관이 1950년부터 계...
이 연구는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1946-1979)가 1960년에 작성한 유네스코회관의 초기 설계안인 「유네스코 신축공사」 설계도서와 그 건립 배경을 살펴봄으로써 유네스코회관이 1950년부터 계획될 때의 설계 의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를 통해서 유네스코회관을 둘러싼 당대의 사회문화적 기대와 요구를 조명하고, 건축가가 구현하고자 했던 안에 주목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유네스코회관은 계획부터 준공까지 약 8년을 소요하며 몇 차례 설계변경을 거치면서 층수와 용도가 대폭 바뀌었기 때문이다. 유네스코회관은 1954년에 유네스코한국위원회가 설립된 직후부터 그 건립이 논의되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는 부족한 재정으로 인해 서울 내 협소한 공간들을 옮겨 다녔기 때문에 독자적인 공간이 필요했고, 당시 프랑스 파리에 유네스코 본부 청사 신축 소식이 들려오면서 국내에 유네스코회관을 건립하자는 요구는 본격화되었다. 유네스코한국위원회의 활동의 성격과 국내의 공공문화시설의 부족으로 인해 유네스코회관은 도서관, 전시관, 극장, 강당, 사무실 등이 복합된 현대적인 건물로 계획되었다. 1959년에 개최된 현상설계공모를 통해서 배기형의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의 설계안이 선정되었고, 1960년에 설계도서가 작성되었다. 유네스코회관은 배기형이 밀도 높은 도심지에 고층 철근콘크리트 건축을 실현한 첫 번째 프로젝트였다. 1966년 설계변경이 있기 전에 제출된 초기 계획안은 유네스코회관이 단순한 사무용 건물이 아닌 복합문화시설로서 계획되었으며, 배기형이 근대건축의 어휘들을 적극적으로 사용하려고 하였음을 보여준다.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길룡, "한국현대건축의 유전자" 공간사 2005
2 노수미, "필지의 분합을 통해서 본 명동 도시조직의 변화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3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입면계획"
4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신축공사 설계도"
5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계획도"
6 박경립, "유네스코회관 건축이야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
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8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60년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9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신축공사 시방서"
10 신영훈, "우리 건축 100년" 현암사 2001
1 박길룡, "한국현대건축의 유전자" 공간사 2005
2 노수미, "필지의 분합을 통해서 본 명동 도시조직의 변화특성" 한국도시설계학회 2006
3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입면계획"
4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신축공사 설계도"
5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회관 계획도"
6 박경립, "유네스코회관 건축이야기"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20
7 "유네스코한국위원회 홈페이지"
8 유네스코한국위원회, "유네스코한국위원회 60년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2014
9 구조사건축기술연구소, "유네스코신축공사 시방서"
10 신영훈, "우리 건축 100년" 현암사 2001
11 "서울미래유산 홈페이지"
12 서울역사편찬원, "서울2천년사 35" 서울역사편찬원 2016
13 한국건축가협회, "서울 건축 가이드북" 서울특별시 2013
14 목천건축아카이브, "배기형과 구조사 아카이브 목록1: 설계도서편" 목천건축아카이브 2017
15 이광노, "무애 이광노 건축 작품집" 월간미술 2015
16 서울특별시 중구문화원, "명동변천사" 서울특별시 중구문화원 2003
17 서울역사박물관, "명동 : 공간의 형성과 변화" 서울역사박물관 2011
18 "마르셀 브로이어 디지털 아카이브"
19 이언구, "르 코르뷔지에 건축에 있어서 차양판(Brise-Soleil)의 발생과 의미에 관한 연구" 대한건축학회 20 (20): 2000
20 대한민국역사박물관, "대한민국 유네스코 가입 70주년 기념 특별전: 평화를 심다, 세계를 품다" 대한민국역사박물관 2020
21 장기인, "건축구조학" 보성각 2009
22 이홍렬, "건축구조학" 기문당 2006
23 현대건축관련용어편찬위원회, "AR+ 건축용어사전" 성안당 2010
역사적 지역 정체성의 지역민 소외 아이러니에 관한 이론적 고찰
20세기 초 개성 남대가와 한양 종로 주변 시전의 비교를 통한 상호 관계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2 | 0.2 | 0.2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3 | 0.28 | 0.744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