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보육교사의 역할스트레스가 정서적 고갈에 미치는 영향 = (The) effects of role stresses on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 care teach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861928

      • 저자
      • 발행사항

        광주 : 호남대학교, 2012

      • 학위논문사항
      • 발행연도

        2012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338.52 판사항(5)

      • DDC

        362.7 판사항(21)

      • 발행국(도시)

        광주

      • 형태사항

        vi, 153장 ; 26 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 장 117-133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호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nerally speaking, burnout is a work-related syndrome that most often occurs in the helping professionals working face to face with service recipients in need of assistance, and is typically marked b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a sense of reduced accomplishments.

      There is a need to approach emotional exhaustion from the standpoint of stress. Some general stress theories exist, which can help in interpreting empirical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emotional exhaustion in bo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child care sett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tent and level of variables affecting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Second,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Finall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make discussions and draws out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th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Eight hypotheses were proposed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 proposed structural model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nd other variables has also been identified.

      A random sampling was taken of childcare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68 were returned. Finally, 328 us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a number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role conflic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ix significant paths: ① role ambiguity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②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③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④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⑤ role overload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and ⑥ role overload →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identifi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번역하기

      Generally speaking, burnout is a work-related syndrome that most often occurs in the helping professionals working face to face with service recipients in need of assistance, and is typically marked b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a se...

      Generally speaking, burnout is a work-related syndrome that most often occurs in the helping professionals working face to face with service recipients in need of assistance, and is typically marked by emotional exhaustion, depersonalization, and a sense of reduced accomplishments.

      There is a need to approach emotional exhaustion from the standpoint of stress. Some general stress theories exist, which can help in interpreting empirical findings related to the causes of emotional exhaustion in both the general population and child care setting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ausal relationships among factors influencing child 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reefold. First, the present study examines the content and level of variables affecting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Second, the present study also investigat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the variables mentioned above. Finally,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make discussions and draws out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in terms of reducing the level of emotional exhaustion among childcare teachers.

      Eight hypotheses were proposed to test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 proposed structural model regarding childcare teachers' emotional exhaustion and other variables has also been identified.

      A random sampling was taken of childcare teachers in G Metropolitan City. A total of 4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368 were returned. Finally, 328 usable questionnaires were used in the statistical analyses(descriptive statistics, reliability analysis, explorative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t-test, analysis of variance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a number of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hildcare teachers' role stresses(role ambiguity, role conflict,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emotional exhaustion. More specifically,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role ambiguit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role overload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personal teaching efficacy; job satisf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and personal teaching efficacy had a significant effect on emotional exhaustion. However, role conflict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job satisfaction.

      Second,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identified six significant paths: ① role ambiguity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②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③ role ambiguity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④ role overload →job satisfaction → personal teaching efficacy → emotional exhaustion, ⑤ role overload → job satisfaction → emotional exhaustion, and ⑥ role overload → emotional exhaustion.

      Finally,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investigate the variables which identifie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스트레스-스트레인-결과 모형(SSO model)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주요 분석결과,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을 예방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검토를 거쳐 연구 변수의 선정, 연구 가설의 도출, 연구 모형의 구축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어서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구성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368부가 회수되었다. 이어서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를 선별하는 자료 점검을 통해 40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28부를 대상으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H-1(역할 모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역할 모호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연구가설 H-1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H-2(역할 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역할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가설 H-2는 기각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H-3(역할 과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육교사의 역할 과다와 직무만족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연구가설 H-3은 지지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H-4(역할 모호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모호의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4는 지지되었다. 다섯째, 연구가설 H-5(역할 과다는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과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5가 지지되었다. 여섯째, 연구가설 H-6(직무만족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가설 H-6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만, 이 가설 검증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인데, 아마도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복리후생 수준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의 정도가 높은 보육교사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성향이 강한 교사들이며 따라서 이들은 아동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의 변수가 직무만족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났을 개연성도 있다. 일곱째, 연구가설 H-7(직무만족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연구가설 H-7은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끝으로, 연구가설 H-8(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구가설 H-8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이 가설 검증 결과도 선행연구의 연구 결과와 다른 것이며,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아마도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열악한 처우나 낮은 후생복리 수준에 관한 현실을 인정하거나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는 제3의 변수가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정서적 고갈 사이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왔을 개연성도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 사이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
      번역하기

      본 연구는 스트레스-스트레인-결과 모형(SSO model)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의 실태를 파악하고, ...

      본 연구는 스트레스-스트레인-결과 모형(SSO model)의 관점에서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 변수들 간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탐구하기 위한 연구이다. 본 연구의 목적, 연구방법, 주요 분석결과, 가설 검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본 연구의 목적은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실증적으로 규명하고 주요 변수들 간의 인과관계를 이해함으로써 보육현장에서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을 예방하고 보육서비스의 질적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생산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이론적 고찰과 선행연구의 검토를 거쳐 연구 변수의 선정, 연구 가설의 도출, 연구 모형의 구축 등의 과정을 거쳤으며, 이어서 각 변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변수를 조작적으로 정의한 후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또한 예비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설문지를 재구성한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12년 3월부터 2개월에 걸쳐 진행되었으며, 설문지는 총 40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 가운데 368부가 회수되었다. 이어서 불성실 응답과 이상치가 있는 설문지를 선별하는 자료 점검을 통해 40부를 제외한 후, 최종적으로 328부를 대상으로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기술통계, t-검정, ANOVA,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 등의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가설 H-1(역할 모호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역할 모호가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으며, 결과적으로 연구가설 H-1이 본 연구의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둘째, 연구가설 H-2(역할 갈등은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역할 갈등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연구가설 H-2는 기각되었다. 셋째, 연구가설 H-3(역할 과다는 직무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보육교사의 역할 과다와 직무만족 사이에 부정적인 관계가 존재한다는 사실을 밝혔으며, 연구가설 H-3은 지지되었다. 넷째, 연구가설 H-4(역할 모호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모호의 수준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4는 지지되었다. 다섯째, 연구가설 H-5(역할 과다는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와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가 인식하는 역할 과다의 수준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의 정도가 심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라 연구가설 H-5가 지지되었다. 여섯째, 연구가설 H-6(직무만족은 개인적 교수 효능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연구가설 H-6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다만, 이 가설 검증 결과는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반되는 것인데, 아마도 열악한 근무환경과 낮은 복리후생 수준에도 불구하고 직무만족의 정도가 높은 보육교사들은 현실에 안주하는 성향이 강한 교사들이며 따라서 이들은 아동의 성취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자신의 능력을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하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온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아울러 제3의 변수가 직무만족과 개인적 교수 효능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났을 개연성도 있다. 일곱째, 연구가설 H-7(직무만족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 보육교사의 직무만족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낮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따라서 연구가설 H-7은 분석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끝으로, 연구가설 H-8(개인적 교수 효능감은 정서적 고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과 관련하여, 본 연구에서는 보육교사의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을수록 정서적 고갈이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연구가설 H-8은 분석 결과에 의해 지지되었다. 이 가설 검증 결과도 선행연구의 연구 결과와 다른 것이며, 이러한 분석결과가 나타난 이유는 아마도 개인적 교수 효능감이 높은 보육교사일수록 열악한 처우나 낮은 후생복리 수준에 관한 현실을 인정하거나 수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의 정서적 고갈을 보이는 것으로 추론할 수 있다. 또는 제3의 변수가 개인적 교수 효능감과 정서적 고갈 사이에서 매개변수 또는 조절변수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설 검증 결과가 나왔을 개연성도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 스트레스(역할 모호, 역할 갈등, 역할 과다), 직무만족, 개인적 교수 효능감, 정서적 고갈 사이의 연쇄적 인과관계를 통합적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차별적 의의를 갖는다. 따라서 이와 같은 주요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논문의 구성 6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4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논문의 구성 6
      • 1. 연구의 범위 6
      • 2. 논문의 구성 6
      • 제2장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의 고찰 8
      • 제1절 스트레스 이론 8
      • 1. 스트레스의 개념 8
      • 2. 스트레스의 정의 9
      • 3. 사회복지영역에 있어서의 스트레스-스트레인-결과 모형(SSO model) 11
      • 제2절 보육교사의 직무만족과 소진 관련 개념 14
      • 1. 역할 스트레스 14
      • 2. 직무만족 16
      • 3. 교사 효능감 24
      • 4. 정서적 고갈 31
      • 제3절 주요 개념들 사이의 인과관계 39
      • 1. 역할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간의 관계 39
      • 2. 역할 스트레스와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40
      • 3. 직무만족과 교사 효능감 간의 관계 41
      • 4. 직무만족과 정서적 고갈 간의 관계 42
      • 5. 교사 효능감과 정서적 고갈 간의 관계 43
      • 6. 역할 스트레스와 정서적 고갈 간의 관계 44
      • 제3장 연구방법 46
      • 제1절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6
      • 1. 연구모형 46
      • 2. 연구가설 47
      • 제2절 조사대상자 및 표본추출 49
      • 1. 조사대상자 49
      • 2. 표본추출 49
      • 제3절 측정도구 50
      • 1. 종속변수 50
      • 2. 독립변수 51
      • 3. 매개변수 53
      • 제4절 자료의 수집 및 점검 56
      • 1. 자료의 수집 56
      • 2. 자료의 점검 56
      • 제5절 측정도구의 검증 58
      • 1. 탐색적 요인분석 58
      • 2. 확인적 요인분석 61
      • 3. 변수 및 연구모형의 수정 67
      • 제4장 분석결과 70
      • 제1절 조사대상자의 일반현황 70
      • 1. 조사대상자의 사회인구학적 특성 70
      • 2. 조사대상자의 어린이집 관련 특성 71
      • 제2절 자료의 정규성 및 신뢰도 검증 74
      • 1. 자료의 정규성 검증 74
      • 2. 주요변수 간의 상관관계분석 76
      • 3. 신뢰도 분석 77
      • 제3절 주요변수의 기술통계량 78
      • 1. 외생잠재변수 78
      • 2. 매개변수 84
      • 3. 종속변수 89
      • 제4절 연구모형의 검증 결과 93
      • 1. 연구모형의 적합성 평가 방법 93
      • 2. 연구모형의 주요변수들의 직접효과, 간접효과 및 총효과 93
      • 3. 연구모형의 적합성 검증 결과 95
      • 제5장 논의 102
      • 제1절 가설 검증 결과의 논의 102
      • 1. 가설검증의 함의 및 시사점 102
      • 2. 보육교사의 정서적 고갈에 이르는 경로의 탐색 및 함의 105
      • 제2절 이론적ㆍ실천적 함의 109
      • 1. 이론적 함의 109
      • 2. 실천적 함의 110
      • 3. 정책적 함의 110
      • 제6장 결론 112
      • 제1절 연구의 요약 및 결론 112
      • 1. 연구의 요약 112
      • 2. 연구의 결론 113
      • 제2절 연구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의 필요성 115
      • 1. 연구의 제한점 115
      • 2. 후속 연구의 필요성 115
      • 참고문헌 117
      • 부록 : 설문지 134
      • ABSTRACT 15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