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교육 공간으로서의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s of the Hanok as Educational Spa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353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이 논문은 교육 공간으로서의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먼저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집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

      연구목적: 이 논문은 교육 공간으로서의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이러한 연구의 목적에 따라 먼저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집의 의미를 탐색하기 위해 실존적 공간의 의미와 인간 삶의 중심으로서의 집을 고찰하였다. 이러한 실존적 공간과 집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한국인의 거주공간으로서의 한옥에 대해 한옥의 공간구조와 특징, 한옥의 공간구조에 반영된 한국인의 삶을 연구하였으며, 마지막으로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집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삶의 공간이며 시대와 인간상을 포괄적으로 드러내는 주거형태이다. 특정 시대와 지역에 속한 인간의 정치, 사회, 문화, 경제, 예술, 공학, 자연, 종교 등의 보편적 현상이 집이라는 공간에 집약되어있다. 즉 집을 이해한다는 것은 그 집에 사는 인간을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효과적인 조망 방식이 될 수 있다. 또한 집은 그 속에서 살아가는 인간에게 직접적으로 교육 공간의 기능을 가지게 된다. 논의 및 결론: 한옥과 그 안에 살았던 전통적 한국인들의 삶에 대한 연구는 한옥을 건축학적으로 되살리려는 것이 아니라 한국인들의 시대를 관통하는 본질에 대한 복원이다. 그런 후에 우리의 미래 주거가 갖춰야 할 모습과 거기에 우리가 쏟을 개인적, 사회적 노력의 방향성을 결정할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hanok as an educational space. Meth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first explore the meaning of the house as an existential space, ...

      Purpo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hanok as an educational space. Metho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order to first explore the meaning of the house as an existential space, the meaning of the existential space and the house as the center of human life were considered. Based on this understanding of existential space and house, we studied the Korean life reflected in the spatial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hanok and the spatial structure of hanok, and finally, the educational anthropological significance of hanok was derived. Results: Home is the most fundamental space of life for humans and is a form of housing that comprehensively reveals the times and human images. Universal phenomena such as politics, society, culture, economy, art, engineering, nature, and religion of humans belonging to a specific era and region are concentrated in the space of home. In other words, understanding a house can be an effective way of viewing that can understand the humans living in the house as a whole. In addition, the house directly functions as an educational space for humans living in it. Conclusion: The study of hanok and the lives of traditional Koreans who lived in it is not an attempt to revive hanok architecturally, but a restoration of the essence that penetrates the era. After that, we must be able to determine what our future housing should have and the direction of our personal and social efforts to put into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머리말 Ⅱ.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집 Ⅲ. 한국인의 거주공간으로서의 한옥 Ⅳ.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Ⅴ. 맺는말
      • Ⅰ. 머리말 Ⅱ. 실존적 공간으로서의 집 Ⅲ. 한국인의 거주공간으로서의 한옥 Ⅳ. 한옥의 교육인간학적 의의 Ⅴ. 맺는말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황혜주, "흙집에 관한 거의 모든 것" 행성b 2019

      2 권문성, "현대 교육 공간으로서의 집" 1 : 197-214, 2008

      3 국가한옥센터, "한옥의 종류"

      4 신영훈, "한옥의 고향" 대원사 2011

      5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14

      6 윤재흥, "한옥에 반영된 구별의 질서와 그 교육적 작용에 대한 해석- 담과 울타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77-98, 2012

      7 송인호,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 국토해양부 2008

      8 김종남, "한옥 짓는 법" 돌베개 2020

      9 위키백과, "한옥"

      10 윤재흥, "집의 교육인간학-전통 한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5 (25): 53-73, 2003

      1 황혜주, "흙집에 관한 거의 모든 것" 행성b 2019

      2 권문성, "현대 교육 공간으로서의 집" 1 : 197-214, 2008

      3 국가한옥센터, "한옥의 종류"

      4 신영훈, "한옥의 고향" 대원사 2011

      5 새로운 한옥을 위한 건축인 모임, "한옥에 살어리랏다" 돌베개 2014

      6 윤재흥, "한옥에 반영된 구별의 질서와 그 교육적 작용에 대한 해석- 담과 울타리를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4 (34): 77-98, 2012

      7 송인호, "한옥건축 산업화를 위한 기반구축연구" 국토해양부 2008

      8 김종남, "한옥 짓는 법" 돌베개 2020

      9 위키백과, "한옥"

      10 윤재흥, "집의 교육인간학-전통 한옥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25 (25): 53-73, 2003

      11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중심"

      12 윤재흥, "주거에 반영된 한국인의 자연과의 관계방식과 그 교육적 해석" 한국교육사학회 35 (35): 1-17, 2013

      13 최지희, "조선시대 건축의 家垈제한과 家舍규제에 대한 도시계획적 의미" 18 (18): 49-68, 1997

      14 윤재흥, "전통주거에 반영된 조화적 자연관과 환경교육적 시사" 5 (5): 139-158, 2000

      15 윤재흥, "전통사회의 어린이 공간으로서의 마당과 골목의 특징" 한국교육사학회 34 (34): 83-101, 2012

      16 윤재흥, "전통가옥의 담과 울타리에 반영된 바깥 세계에 대한 이해-양반가옥과 평민가옥의비교를 중심으로" 숭실대학교 43 : 149-177, 2014

      17 윤재흥, "전통 주거에 나타난 한국인의 자연관과 그 교육적 의미 -텃제, 집짓기 재료의 선택과 가공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학회 33 (33): 97-113, 2011

      18 Bollnow, O. F., "인간과 공간" 에코리브르 2011

      19 김영미, "아동의 반려동물 경험과 가족건강성" 인하대학교 대학원 2008

      20 김용수, "수요자 설문조사 및 사업성분석을 통한 수도권 신도시 내 한옥단지 조성사업 타당성 검토" 한국농촌건축학회 14 (14): 101-108, 2012

      21 이희봉, "새로운 주거환경과 한국인의 주거문화" 13 (13): 91-96, 1994

      22 강학순, "볼노우의 인간학적 공간론에 있어서 '거주'의 의미" 한국하이데거학회 (16) : 5-32, 2007

      23 김정희, "반려동물 양육경험과 아동청소년 정신건강성의 상관관계 연구"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9

      24 윤재흥, "마당의 교육인간학적 연구" 12 (12): 33-53, 1999

      25 Bollnow, O. F., "교육적 분위기" 양서원 2013

      26 Bollnow, O. F., "교육의 인간학" 문음사 2005

      27 Bachelard, G., "공간의 시학" 동문선 2003

      28 윤재흥, "골목과 이웃의 교육인간학" 한국교육철학학회 (27) : 73-90, 2002

      29 강기수, "가정교육 공간으로서의 아파트에 대한 교육인간학적 연구" 한국교육철학회 (41) : 1-43, 2010

      30 정영철, "가정 신앙구조로 본 전통주거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13 (13): 61-71, 1997

      31 이문주, "『주자가례』의 조선 시행과정과 가례주석서에 대한 연구" 유교문화연구소 1 (1): 37-62, 2010

      32 윤재흥, "‘울타리’의 교육인간학적 의미 연구" 延世大學校 大學院 1999

      33 김병길, "Otto. F. Bollnow 敎育思想에서 본 「집」의 敎育人間學的機能" 9 : 5-45, 1991

      34 강기수, "O. F. Bollnow의 교육인간학에서의 교육자의 미덕에 관한 연구 -신뢰와 인내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학회 20 (20): 5-22, 2003

      35 정윤희, "DIY의 긍정적 특성이 치유효과를 통해 재경험의도에 미치는 영향 - 경험적 소비와 창조의 치유 관점에서" 한국소비문화학회 22 (22): 141-165, 201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