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학습태도 면에서 일반아에 비하여 수학시간에 집중을 잘 하지 못하였다. 수학시간에 열심...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1770270
부산: 부경대학교, 2009
학위논문(석사) --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 수학교육전공 , 2009. 8
2009
한국어
373 판사항(4)
부산
ⅳ, 61 p.; 26 cm.
부경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백영길
참고문헌 수록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학습태도 면에서 일반아에 비하여 수학시간에 집중을 잘 하지 못하였다. 수학시간에 열심...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수학 학습부진아들은 학습태도 면에서 일반아에 비하여 수학시간에 집중을 잘 하지 못하였다. 수학시간에 열심히 수업을 듣지 않고, 수학교과서에 낙서를 많이 하는 것은 일반아에 비하여 주의집중을 잘 하지 못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를 보완하지 못하면 계속적으로 학습실패를 경험하게 되며, 수학에 대한 좌절감과 열등감이 생겨 또다시 부정적인 학습태도로 연결되는 악순환이 계속된다. 위계성이 엄격한 학문인 수학에서, 어디서부터 수학공부를 해야 할지 모르겠다는 부진아들의 응답은 이러한 악순환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수학학습부진은 수학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 자신감 부족, 낮은 흥미도 등에 의해서도 나타났다. 수학에서는 추상화, 형식화, 기호화, 일반화, 특수화하는 사고력의 통합과 조정이 중요하게 작용하는 학문이다. 하지만 수학교과서에서는 그러한 사고과정들의 통합·활용이 드러나지 않으며 형식적인 나열에만 그치고 있어 학습자들의 성취를 어렵게 하고 있다. 교과서가 어려우면 학습자들의 흥미와 이해 능력, 교과목에 대한 자신감은 크게 위협 받을 수밖에 없다. 이런 요소가 부진아들이 수학을 이해하려 하기보다 단순 암기의 대상으로 여겨 거부감을 느끼거나, 더 쉬운 교과서를 원하는 행동 등으로 이어지게 만든다.
수학 수업 운영에 있어, 수준별로 수업은 효율적인 지도 방안으로 좋지 않다는 응답이 나왔다. 첫 번째 이유는 수준별 집단 편성은 그룹별 위화감을 조성할 수 있다. 두 번째 이유는 학생의 능력에 따른 교사의 기대차이가 차별적인 상호작용으로 나타나 골렘효과(Golem effect)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이질 집단을 편성하여 수학수업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겠다.
수준별 반 편성이 아이들의 학습 능력 향상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한다면 그 대처 방안으로는 무엇이 적절할까? 수학 학습부진아들이 교사와 학생간의 적극적인 의사소통을 원한다는 것에 초점을 두어야 한다. 교사의 안내와 적극적인 피드백이 학생들의 자신감과 흥미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학습 내용과 실생활의 연관성을 알려 주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이러한 방법은 교과목에 어려움을 보이는 학생들이라도 수업에 흥미를 갖게 하는 데 상당한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o fi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we set up som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1. ...
The goal of the study is to analyze why middle school students have difficulty in learning mathematics and to find the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them.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we set up some questions. The questions are as follows.
1. What are the feature of cognitive domain and affective domain for underachievers?
2. How do we teach them mathematics more effectively?
Based on these questions, we conducted a questionnaire survey of 540 middle school students in Busan and Ulsa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indicated that underachievers lacked the power of concentration and they didn't prepare and review their lessons after school. Also they didn't know how to study mathematics.
Second, they answered that mathematical textbook had so many things that they can`t memorize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were so boring. They complained that mathematics was too difficult for underachievers for these reasons and they wanted to learn mathematics more easily.
Finally, they responded that they wanted a more active teaching system using various tools and active communication was necessar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Besides, they really wanted to know how mathematics was related to our actual life.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