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Identification of the solutions to water challenges for dry season in the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6760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act of the hydrological change from the water source of the Mekong Riv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flow and water quantity to Tonle Sap Lake, especially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put further influence the water quality as well. The study on identification of solutions to water challenges in the dry season would be the scenario to address the water issues for people living in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priority solutions to water issues in the dry season suitable for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e results will be analyzed by using mixed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priority solutions compil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interview results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 is showing that there are different priority solution choices between permanent and impermanent residents among the 5 solutions such as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water treatment for the community, water storage implementation, and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e residents in permanent houses raise th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s a priority solution while the residents in impermanent houses choose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is alternative between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nd Tonle Sap restoration could identify that people in impermanent houses focusing on water quantity rather than water quality differ from permanent house residents. Even though, the finding also indicated that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is still useful to adopt in floating villages to improve livelihood and public heal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ill inform the concept and action plan for governments and future researchers to develop the floating communities along Tonle Sap Lake related to water utilization, sanitation, and hygiene with effective solutions to respond to the demand of residents in those areas.
      번역하기

      The impact of the hydrological change from the water source of the Mekong Riv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flow and water quantity to Tonle Sap Lake, especially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put further influence the water quality as well. The...

      The impact of the hydrological change from the water source of the Mekong River has a significant effect on water flow and water quantity to Tonle Sap Lake, especially during the dry season which is put further influence the water quality as well. The study on identification of solutions to water challenges in the dry season would be the scenario to address the water issues for people living in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is research aimed to analyze priority solutions to water issues in the dry season suitable for floating villages along Tonle Sap Lake. The results will be analyzed by using mixed method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to evaluate the priority solutions compiled with the central governments’ interview results and the literature review.
      The result is showing that there are different priority solution choices between permanent and impermanent residents among the 5 solutions such as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water treatment for the community, water storage implementation, and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e residents in permanent houses raise the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s a priority solution while the residents in impermanent houses choose Tonle Sap Lake restoration. This alternative between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and Tonle Sap restoration could identify that people in impermanent houses focusing on water quantity rather than water quality differ from permanent house residents. Even though, the finding also indicated that raising awareness on water sanitation and usage is still useful to adopt in floating villages to improve livelihood and public health.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will inform the concept and action plan for governments and future researchers to develop the floating communities along Tonle Sap Lake related to water utilization, sanitation, and hygiene with effective solutions to respond to the demand of residents in those area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메콩강 수원의 수문학적 변화는, 특히 건조기 동안, 톤레사프(Tonlé Sap) 호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나아가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건조기 동안 발생하는 물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식별하는 연구는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의 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조기 동안 물 문제를 해결하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에게 적합한 우선적인 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복합적인 방법(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기법)과 중앙 정부 공무원과의 인터뷰 및 자료 검토 결과를 사용하여 우선적인 해결책을 평가함으로써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5가지 해결책(물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가정 용수 처리, 지역 사회 용수 처리, 물 저장 및 톤레사프 호 복원) 중 영구 거주민과 임시 거주민별로 각기 다른 우선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구 주택 거주자들은 가정 용수 처리를 우선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하는 반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은 톤레사프 호의 복원을 선택했다. 이러한 해결 방안의 우선 순위에서 나타나는 차이(가정 용수 처리와 톤레사프 호 복원)를 통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이 영구 주택 거주자와 달리 수질보다는 물의 양을 더 중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용수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또한 수상 마을 거주가가 생활 수준 및 공중 보건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연구자가 향후 지역 거주민의 요구에 대응하여 물 이용, 위생 및 보건 측면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가지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수상 주거촌을 개발할 때 개념 및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번역하기

      메콩강 수원의 수문학적 변화는, 특히 건조기 동안, 톤레사프(Tonlé Sap) 호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나아가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건조기 동안 발생하는 물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

      메콩강 수원의 수문학적 변화는, 특히 건조기 동안, 톤레사프(Tonlé Sap) 호로 유입되는 물의 양과 나아가 수질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건조기 동안 발생하는 물 관련 문제에 대한 해결책을 식별하는 연구는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의 물 관련 문제를 해결하는 것과 관련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건조기 동안 물 문제를 해결하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거주하는 수상 마을 주민에게 적합한 우선적인 방안을 분석하는 것이다. 복합적인 방법(정량적 및 정성적 분석 기법)과 중앙 정부 공무원과의 인터뷰 및 자료 검토 결과를 사용하여 우선적인 해결책을 평가함으로써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5가지 해결책(물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가정 용수 처리, 지역 사회 용수 처리, 물 저장 및 톤레사프 호 복원) 중 영구 거주민과 임시 거주민별로 각기 다른 우선적인 해결 방안을 도출하였다. 영구 주택 거주자들은 가정 용수 처리를 우선적인 해결책으로 생각하는 반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은 톤레사프 호의 복원을 선택했다. 이러한 해결 방안의 우선 순위에서 나타나는 차이(가정 용수 처리와 톤레사프 호 복원)를 통해 임시 주택 거주자들이 영구 주택 거주자와 달리 수질보다는 물의 양을 더 중시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렇다 하더라도 용수 위생 및 사용에 대한 인식 제고 또한 수상 마을 거주가가 생활 수준 및 공중 보건을 개선하는 데 유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정부 및 연구자가 향후 지역 거주민의 요구에 대응하여 물 이용, 위생 및 보건 측면에서 효과적인 해결책을 가지고 톤레사프 호를 따라 수상 주거촌을 개발할 때 개념 및 실행 계획을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Statement 2
      • 1.3 Research Objectives 3
      • 1.4 Research Questions 4
      • 1. INTRODUCTION 1
      • 1.1 Background 1
      • 1.2 Problem Statement 2
      • 1.3 Research Objectives 3
      • 1.4 Research Questions 4
      • 1.5 Scope 4
      • 1.6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5
      • 1.7 Organizing of the Thesis 5
      • 2. LITERATURE REVIEW 7
      • 2.1 Water Challenges at Tonle Sap Lake 7
      • 2.2 Policies of Water Management and Sanitation 11
      • 2.3 Water Utilizations Solutions 21
      • 2.3.1 Raising Awareness on Water Issues and Sanitation 24
      • 2.3.2 Water Treatment for Households 25
      • 2.3.3 Water Treatment for Community 26
      • 2.3.4 Water Storage Implementation 27
      • 2.3.5 Tonle Sap Lake Restoration 32
      • 2.4 Research Gap 34
      • 3. RESEARCH METHODOLOGY 37
      • 3.1 Study Area 37
      • 3.1.1 Permanent Houses 38
      • 3.1.2 Impermanent Houses 39
      • 3.2 Data Collection 40
      • 3.2.1 Secondary Data 41
      • 3.2.2 Primary Data 42
      • 3.3 Qualitative Analysis 45
      • 4. DATA ANALYSIS AND DISSCUSION 46
      • 4.1 General Information of Data Collection 46
      • 4.1.1 Survey Data Collection 46
      • 4.1.2 Interview Results 49
      • 4.2 Findings and Discussion 53
      • 4.2.1 Socio-Demographic Information of Respondents 53
      • 4.2.2 Sources of Water Consumption 57
      • 4.2.3 Drinking Water Utilization 59
      • 4.2.4 Water Quality and Quantity Observation 61
      • 4.2.5 Water Challenges 63
      • 4.2.6 Water Awareness and Education Level 65
      • 4.2.7 Priority Solution for Water Consumption 67
      • 5. CONCLUSIONS 75
      • 5.1 Conclusion 75
      • 5.2 Recommendations 76
      • 5.3 Limitation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studies 77
      • REFERENCES 79
      • 초록 90
      • ACKNOWLEDGEMENT 92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