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생의 비대면 화상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 A phenomenological study on the experience of non-face-to-fac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of college stud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782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clients of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University P...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ore deeply understand the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experience of college students. Method: For this study,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9 clients of the Student Counseling Center of University P who had experienced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more than 15 time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a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to understand their experiences in depth, and specifically followed Giorgi’s 4 steps. Results: As a result of data analysis, a total of 4 components and 12 sub-components were derived. The components are ‘starting counseling with unfamiliarity with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gradual adjustment to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experienced growth as key issues are addressed’, and ‘feeling regret due to limitations of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Conclusion: Through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helps clients in a process similar to that of the existing face-to-face counseling, and that there are only characteristics of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This is expected to be of practical help to the use of videoconferencing counseling in the fu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내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화상상담을 15회기 이상 경험한 적 있는 P대학의 학생상담센터 내담자 9명...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 내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을 보다 깊이 이해하는 데 있다. 연구방법: 연구를 위해 화상상담을 15회기 이상 경험한 적 있는 P대학의 학생상담센터 내담자 9명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이들의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현상학적 연구방법으로 분석되었고, 구체적으로는 Giorgi의 4단계에 따랐다. 연구결과: 자료의 분석 결과, 총 4개의 구성요소와 12개의 하위 구성요소가 도출되었다. 구성요소는 ‘화상상담에 대한 낯설음으로 상담을 시작함’, ‘화상상담에 점차 적응함’, ‘핵심문제가 다루어지면서 성장을 경험함’, ‘화상상담의 한계로 인해 아쉬움을 느낌’이다. 논의 및 결론: 연구 결과를 통해 화상상담이 기존의 대면상담과 비슷한 과정으로 내담자를 돕는다는 것과 화상상담만의 특징이 존재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앞으로 화상상담의 활용에 실제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임성진 ; 이정은 ; 한신, "화상통화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57-67, 2017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황매향 ; 황희산,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4 질병관리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발생동향"

      5 이동훈 ; 김예진 ; 이덕희 ; 황희훈 ; 남슬기 ;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6 강지연 ; 지명원,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직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우울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177-191, 2021

      7 홍지선 ; 최지선 ; 김희경,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에 대한 내담자 경험 연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261-290, 2021

      8 이종만,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42-351, 2020

      9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414 : 1-25, 2020

      10 김동일 ; 이정인 ; 김기현 ; 유훈, "코로나 일상(With COVID-19) 시대 대학학생상담기관의 기능과 역할: 비대면 기반 학생상담센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6 (6): 47-63, 2021

      1 임성진 ; 이정은 ; 한신, "화상통화를 이용한 심리치료에 대한 인식 및 필요성 연구" 대한스트레스학회 25 (25): 57-67, 2017

      2 Giorgi, A., "현상학과 심리학 연구" 현문사 2004

      3 황매향 ; 황희산, "테크놀로지 기반 상담 실제의 도전과 과제" 한국상담학회 21 (21): 219-245, 2020

      4 질병관리청,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 발생동향"

      5 이동훈 ; 김예진 ; 이덕희 ; 황희훈 ; 남슬기 ; 김지윤, "코로나바이러스(COVID-19) 감염에 대한 일반대중의 두려움과 심리, 사회적 경험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상담심리학회 32 (32): 2119-2156, 2020

      6 강지연 ; 지명원, "코로나19에 따른 대면서비스직 전공 대학생의 취업불안과 우울의 관계: 긍정심리자본의 조절효과"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177-191, 2021

      7 홍지선 ; 최지선 ; 김희경, "코로나19 이후, 비대면 상담에 대한 내담자 경험 연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261-290, 2021

      8 이종만, "코로나19 원격 교육에서 외로움과 유튜브 과다사용이 대학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 20 (20): 342-351, 2020

      9 이은환, "코로나19 세대, 정신건강 안녕한가!" 414 : 1-25, 2020

      10 김동일 ; 이정인 ; 김기현 ; 유훈, "코로나 일상(With COVID-19) 시대 대학학생상담기관의 기능과 역할: 비대면 기반 학생상담센터 운영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6 (6): 47-63, 2021

      11 양혜진, "코로나 19상황에 발생하는 부정적 정서에 대한 대처" 국제문화기술진흥원 6 (6): 135-143, 2020

      12 노성동, "코로나 19사태로 인한 대학생들의 심리적 영향과 극복요인" 한국실천신학회 (72) : 331-356, 2020

      13 윤지원, "초등학교 학교상담의 조기종결 관련변인 분석"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14 한혜원 ; 이정민,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가 인식한 코로나19에 따른 학생들의 어려움과 비대면 상담 장벽에 관한 탐색적 연구" 과학교육연구소 60 (60): 51-66, 2021

      15 소수연 ; 백정원 ; 이지은 ; 이수림 ; 김지훈 ; 정진영, "청소년상담자의 화상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29 (29): 347-366, 2021

      16 양미진 ; 이영희, "질적 분석을 통한비자발적 청소년 내담자의 상담지속요인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18 (18): 1-20, 2006

      17 심유지, "진로미결정 대학생의 비대면 개인 진로상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2 (2): 5-25, 2021

      18 이동훈 ; 김주연 ; 김진주, "온라인 심리치료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 27 (27): 543-582, 2015

      19 Corey, G., "심리상담과 치료의 이론과 실제" Cengage Learning 2014

      20 반신환, "비대면 상담에서 촉진 환경의 조성 방법 - 정신분석적 프레임 (Frame)에 근거해서 -" 한국대학선교학회 (46) : 239-262, 2020

      21 이부영, "분석심리학 : C" 일조각 2011

      22 보건복지부, "모든 청년의 든든한 출발을 지원합니다 - 보건 복지 분야 ‘청년특별대책’ 주요 내용"

      23 손승연 ; 이종연, "대학생의 진로 및 진로상담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국내 주요 상담학술지를 중심으로" 한국상담학회 18 (18): 149-170, 2017

      24 이수정 ; 변유나 ; 김덕혜 ; 김영신 ; 연규진, "대학생들의 화상상담에 대한 태도 및 인식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상담심리교육복지학회 8 (8): 119-141, 2021

      25 김은하 ; 이은설 ; 조예지, "대학상담센터 내담자들의 비대면 심리상담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학회 22 (22): 85-110, 2021

      26 서미아 ; 김지선, "가족상담사의 비대면 화상 상담 경험에 관한 연구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한국가족치료학회 28 (28): 451-470, 2020

      27 Berryhill, M. B.,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and depression : a systematic review" 25 (25): 435-446, 2019

      28 Backhaus, A., "Videoconferencing psychotherapy : a systematic review" 9 (9): 111-131, 2012

      29 Serafini, G., "The psychological impact of COVID-19 on the mental health in the general population" 113 (113): 531-537, 2020

      30 Jones, S., "The internet landscape in college" 106 (106): 39-51, 2007

      31 Simpson, S., "Technology in Counselling and Psychotherapy" Palgrave Macmillan 109-128, 2003

      32 Lambert, M. J., "Research summary on the therapeutic relationship and psychotherapy outcome" 38 (38): 357-361, 2001

      33 Norcross, J. C., "Psychotherapy relationship that work : therapist contributions and responsiveness to patients"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34 Garfield, S. L., "Psychotherapy : an eclectic-integrative approach" John Wiley and Son 1995

      35 Giorgi, A., "Psychology as a human science : a phenomenologically based approach" Harper & Row 1970

      36 Highlen, P. S., "Handbook of Counseling Psychology" Wiley 334-396, 1984

      37 Guba, E. G., "Effective evaluation" Jossey-Bass 1981

      38 Sproch, L. E., "Clinician-delivered teletherapy for eating disorders" 42 (42): 243-252, 2019

      39 Erickson, E. H., "Childhood and society" Norton 1950

      40 Yuen, E. K.,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in internet-mediated telemental health" 43 (43): 1-8, 2012

      41 Germain, V., "Assessment of the therapeutic alliance in face-to-face or videoconference treatment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13 (13): 29-35, 2010

      42 Tuerk, P. W., "A pilot study of prolonged exposure therapy f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delivered via telehealth technology" 23 : 116-123, 2010

      43 Wang, C., "A longitudinal study on the mental health of general population during the COVID-19 epidemic in China" 87 : 40-48, 2020

      44 보건복지부, "2021년 2분기「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결과 발표"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2-29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Pusan National University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 0 0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 0 0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