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요양 연주성의 제단기능에 대한 검토 = A Study of Yanzhoucheng in Liaoya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960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paper, There is a Koguryo castle named Baekam castle in 30km Lioyang. This Castle has feature that looks like Koguryo castle with white outer wall and five chies. This Castle that is near river and cliff in doccument records now is called Yanzhoucheng in China. However, Yanzhoucheng is not Backam Castle yet, because it is very far from Pyeongyang and most Koguryo Castle was white and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There is a square-shaped altar inside castle and there is a circular space. Koguryo, Baekje and Silla, all three countries had the space and the format for the national offer. Especially Goguryeo is recorded that the priests performed rituals stay in the sky in October. It has a festival format that all citizens participate called the "Dongmaeng". So, This Castle, Yanxhoucheung is perhaps a place to working national ritual because this Castle looks like Kanghwa Chamseongdan, and Lioyang is Pyeongyang that was transferred capital by King Jangsu. Two Castle are both dual structure.
      번역하기

      In this paper, There is a Koguryo castle named Baekam castle in 30km Lioyang. This Castle has feature that looks like Koguryo castle with white outer wall and five chies. This Castle that is near river and cliff in doccument records now is called Yanz...

      In this paper, There is a Koguryo castle named Baekam castle in 30km Lioyang. This Castle has feature that looks like Koguryo castle with white outer wall and five chies. This Castle that is near river and cliff in doccument records now is called Yanzhoucheng in China. However, Yanzhoucheng is not Backam Castle yet, because it is very far from Pyeongyang and most Koguryo Castle was white and harmonized with surroundings. There is a square-shaped altar inside castle and there is a circular space. Koguryo, Baekje and Silla, all three countries had the space and the format for the national offer. Especially Goguryeo is recorded that the priests performed rituals stay in the sky in October. It has a festival format that all citizens participate called the "Dongmaeng". So, This Castle, Yanxhoucheung is perhaps a place to working national ritual because this Castle looks like Kanghwa Chamseongdan, and Lioyang is Pyeongyang that was transferred capital by King Jangsu. Two Castle are both dual structur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요양 동쪽 30km지점 등탑현 연주성촌 마을에는 백암성으로 잘 알려진 고구려성이 있다. 이 성은 석회암재질의 성벽 때문에 외벽이 하얗게 보이고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치로써 고구려성의 특징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강을 끼고 있으며 절벽이 있다는 문헌기록과 부합하여 백암성으로 비정되고 있는 이 고구려 고성은 현재 중국에서 연주성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자치통감의 전쟁기록으로 볼 때 현재의 평양과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대부분의 고구려 성은 하얀색을 띄며 주변 지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축성한 점을 보면 현재 연주성이 백암성임을 확언하기에는 성급하다는 판단이다. 백암에 대한 『요사』의 기록을 보면 “바다-백암-동경(요양)”이 위치한다. 게다가 바다에서부터 15리는 바닷가라는 말인데 현재의 연주성은 “바다-동경(요양)-백암”일 뿐 아니라 그 거리도 바다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또한 이 성의 전체적인 모양이 강화도의 참성단과 매우 흡사하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요양이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했던 평양이라는 연구결과와 맞물려 생각해 본다면 수도근처 국가제의를 행하던 장소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번역하기

      요양 동쪽 30km지점 등탑현 연주성촌 마을에는 백암성으로 잘 알려진 고구려성이 있다. 이 성은 석회암재질의 성벽 때문에 외벽이 하얗게 보이고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치로써 고구려성의 특...

      요양 동쪽 30km지점 등탑현 연주성촌 마을에는 백암성으로 잘 알려진 고구려성이 있다. 이 성은 석회암재질의 성벽 때문에 외벽이 하얗게 보이고 남아 있는 다섯 개의 치로써 고구려성의 특징을 명백히 드러내고 있다. 강을 끼고 있으며 절벽이 있다는 문헌기록과 부합하여 백암성으로 비정되고 있는 이 고구려 고성은 현재 중국에서 연주성이란 이름으로 부르고 있다. 그러나 자치통감의 전쟁기록으로 볼 때 현재의 평양과 상당히 먼 거리에 위치해 있다는 점과 대부분의 고구려 성은 하얀색을 띄며 주변 지세를 최대한 효율적으로 이용하여 축성한 점을 보면 현재 연주성이 백암성임을 확언하기에는 성급하다는 판단이다. 백암에 대한 『요사』의 기록을 보면 “바다-백암-동경(요양)”이 위치한다. 게다가 바다에서부터 15리는 바닷가라는 말인데 현재의 연주성은 “바다-동경(요양)-백암”일 뿐 아니라 그 거리도 바다와는 상당히 떨어져 있다. 또한 이 성의 전체적인 모양이 강화도의 참성단과 매우 흡사하고 가까운 거리에 있는 요양이 고구려 장수왕이 천도했던 평양이라는 연구결과와 맞물려 생각해 본다면 수도근처 국가제의를 행하던 장소일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채미하, "신라의 城제사와 그 의미-성황신앙의 수용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7-41, 2009

      2 복기대,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검토" 고조선단군학회 22 : 199-244, 2010

      3 여호규, "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 한국고대사학회 (71) : 55-96, 2013

      4 "http://www.lnwwkg.com"

      5 Bok, Gi-Dae, "HongIkingan Tradition and mordern sense of Ideology" 2014

      6 Park, Chun-su, "History and Site of Goguryo, Dongbuka history"

      7 Asma Usio, "History and Site of Goguryo, Dongbuka History"

      8 Hyungsik Shin, "Goguryo castle and Coastal Defense System" Baeksan 2000

      9 Yun, Myung-chul, "Dongbuka History, Yesterday and Today of The Gogurye"

      10 Yun, Myung-chul, "Ask Goguryo in Manju" Daewoonsa 315-, 2011

      1 채미하, "신라의 城제사와 그 의미-성황신앙의 수용배경을 중심으로-" 한국역사민속학회 (30) : 7-41, 2009

      2 복기대, "고구려 도읍지 천도에 대한 재검토" 고조선단군학회 22 : 199-244, 2010

      3 여호규, "고구려 도성의 의례공간과 왕권의 위상" 한국고대사학회 (71) : 55-96, 2013

      4 "http://www.lnwwkg.com"

      5 Bok, Gi-Dae, "HongIkingan Tradition and mordern sense of Ideology" 2014

      6 Park, Chun-su, "History and Site of Goguryo, Dongbuka history"

      7 Asma Usio, "History and Site of Goguryo, Dongbuka History"

      8 Hyungsik Shin, "Goguryo castle and Coastal Defense System" Baeksan 2000

      9 Yun, Myung-chul, "Dongbuka History, Yesterday and Today of The Gogurye"

      10 Yun, Myung-chul, "Ask Goguryo in Manju" Daewoonsa 315-, 2011

      11 Bok, Gi-Dae, "An analysis for historical understanding of Ganghwa Island Chamseungdan" 4 : 181-204, 2015

      12 So, Gil-su, "A Study of the Building of Goguryo castle" Hakyen 89-,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2019-12-01 평가 등재 탈락 (기타)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40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