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초등 영어교과 활성화 방안 연구 = A Study on the Plan to Facilitate Elementary English Learning in Cyber Home Learning System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265937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order to make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and thereby reduce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4. In fact, Korean student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re able to be given English learning contents for 24 hours at any internet accessible places. In this aspect,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ems to be an effective English learning tool.
      Therefore, to mak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more effecti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learners’ participation into the system,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thus explore something to be improved.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made as follows.
      What is the status of elementary English learning through Cyber Home Learning System utilized by learners, and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what is the plan to facilitate elementary English learning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o address the issues, this researcher first investigated e-learning which is a basi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then explor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Home Learning System. After that, for pre-survey, fourteen 5th year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re interviewed. And then, the survey of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n two hundred and five 5th year students of the school. Moreover, for more details, ten students and two English teachers are interviewed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ere found low.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with English course throug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considerably lower than one with the public English education. Also, the questionnaire survey indicated that although students certainly wanted interesting contents and new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ailed to provide enough contents suitable for their requirement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use rat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by students is low, and their rate of participation into private education is high. This implies that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has been not yet placed as a learning tool to replace privat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own earlier, something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contents reflecting learners’ requirements should be provided. More than anything else, the interesting contents learners want should be offe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which feature amusement aspects, with the balanced use of Edutainment (Education & Entertainment) effects, rather than simply repeated contents. Moreover, as shown in students’ opinions,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Under the EFL environment where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other than in regular English class, if new contents going beyond the textbooks’ contents are provided,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and help learners get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interestingly of their own. Lastly, efficient operation being a match for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s required. The current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vided for those who are more than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result presented that most students already experienced prior learning before becoming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who formally learn English in schools. Accordingly, i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panded to low-year elementary students,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for prior learn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per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Given the fact that children going to elementary schools have weak motivation, it is considered that applying such an attractive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to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ir participation into learning.
      번역하기

      In order to make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and thereby reduce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4. In fact, Korean student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re able to be given En...

      In order to make public education substantial and thereby reduce the dependence on private educati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has been carried out since 2004. In fact, Korean students, who learn English as a second language, are able to be given English learning contents for 24 hours at any internet accessible places. In this aspect, Cyber Home Learning System seems to be an effective English learning tool.
      Therefore, to mak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more effective,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learners’ participation into the system,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thus explore something to be improved. Accordingly, the research questions are made as follows.
      What is the status of elementary English learning through Cyber Home Learning System utilized by learners, and their satisfaction and preference?
      And, what is the plan to facilitate elementary English learning in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To address the issues, this researcher first investigated e-learning which is a basis of Cyber Home Learning System, and then explored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yber Home Learning System. After that, for pre-survey, fourteen 5th year students of a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Incheon are interviewed. And then, the survey of questionnaire prepared based on the interview was conducted on two hundred and five 5th year students of the school. Moreover, for more details, ten students and two English teachers are interviewed after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ing and the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were found low. Furthermore, the satisfaction with English course through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as considerably lower than one with the public English education. Also, the questionnaire survey indicated that although students certainly wanted interesting contents and new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ailed to provide enough contents suitable for their requirements. In addition, as shown in the survey of this study, the use rat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by students is low, and their rate of participation into private education is high. This implies that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has been not yet placed as a learning tool to replace private education.
      On the basis of the results shown earlier, something to be improved in order to increase the use o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contents reflecting learners’ requirements should be provided. More than anything else, the interesting contents learners want should be offered. Especially,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which feature amusement aspects, with the balanced use of Edutainment (Education & Entertainment) effects, rather than simply repeated contents. Moreover, as shown in students’ opinions, contents differentiated from textbooks should be provided. Under the EFL environment where students have few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other than in regular English class, if new contents going beyond the textbooks’ contents are provided,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and help learners get opportunities to learn English interestingly of their own. Lastly, efficient operation being a match for the private education market is required. The current Cyber Home Learning System for English is provided for those who are more than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The survey result presented that most students already experienced prior learning before becoming 3rd year elementary students who formally learn English in schools. Accordingly, if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is expanded to low-year elementary students, it would be possible to reduce private education cost for prior learning.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operate a proper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motivation for learning. Given the fact that children going to elementary schools have weak motivation, it is considered that applying such an attractive learning compensation system to the Cyber Home Learning System would positively influence their participation into learning.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사이버가정학습은 공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영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스물네 시간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버가정학습은 효과적인 영어학습도구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욱 효과적인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해 학습자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를 연구하여 그에 따른 개선점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학습자들의 사이버가정학습 초등 영어에 대한 활용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에 따른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초등 영어학습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의 기본이 되는 이러닝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사이버가정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후 사전조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로 해당학교의 5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세부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 후 학생 10명과 영어교사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도와 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 영어과목 만족도는 공교육의 만족도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조사결과 학생들은 분명하게 흥미위주의 콘텐츠와 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고 있었지만 사이버 가정학습에서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저조한 사이버가정학습 이용률과 높은 사교육 참여율은 영어과목 사이버가정학습이 아직 사교육을 대체할만한 학습 도구로 자리잡지 못하였음을 시사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영어학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의 개선방향 제언하자면, 먼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사이버가정학습에 학습자들이 원하는 흥미로운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단순한 반복에만 그치는 학습 콘텐츠가 아닌 에듀테인먼트 (Education & Entertainment) 효과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오락적 측면에 비중을 둔 콘텐츠를 가미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의견에 따라 교과서와는 다른 차별화된 내용의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학교의 정규 영어 수업시간 이외엔 영어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EFL환경에서, 교과서의 내용을 넘어선 새로운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사교육의 비중을 줄이면서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교육시장과 대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영어학습은 초등 3학년부터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조사결과 많은 수의 학생들이 영어 교과가 정식 도입되는 초등 3학년 이전부터 사교육을 통해 선행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용자 범위를 초등 저학년을 확대한다면 선행학습에 투입되는 사교육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학습 보상 체제 운영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연령의 어린이는 학습에 대한 동기가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매력적인 학습 보상체제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제공한다면 학습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번역하기

      사이버가정학습은 공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영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이용이 ...

      사이버가정학습은 공교육을 내실화하여 사교육 의존도를 줄이기 위한 방안으로 2004년부터 시행되고 있다. 특히 영어를 제 2외국어로 배우고 있는 우리나라의 학습자들에게 인터넷 이용이 가능한 곳이라면 어디에서든지 스물네 시간 학습 콘텐츠가 제공되기 때문에 사이버가정학습은 효과적인 영어학습도구로 여겨진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욱 효과적인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을 위해 학습자들의 참여 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를 연구하여 그에 따른 개선점을 탐구하는 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가 설정되었다.
      학습자들의 사이버가정학습 초등 영어에 대한 활용실태와 만족도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이에 따른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초등 영어학습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이를 위해 먼저 본 연구에서는 사이버가정학습의 기본이 되는 이러닝에 대하여 살펴보았으며, 사이버가정학습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살펴보았다. 그 후 사전조사를 위하여 인천광역시에 위치한 초등학교 5학년 학생 14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제작된 설문지로 해당학교의 5학년 학생 205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또한 세부적인 사항을 알아보기 위하여 설문조사 후 학생 10명과 영어교사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먼저 초등영어 사이버가정학습의 활용도와 만족도는 낮은 편으로 나타났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 영어과목 만족도는 공교육의 만족도와 비교했을 때 상당히 낮은 수준이었다. 또한 조사결과 학생들은 분명하게 흥미위주의 콘텐츠와 교과서와는 차별화된 새로운 콘텐츠를 원하고 있었지만 사이버 가정학습에서는 이와 같은 학생들의 요구에 부합하는 콘텐츠를 충분히 제공하고 있지 않았다. 그리고 본 연구의 조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저조한 사이버가정학습 이용률과 높은 사교육 참여율은 영어과목 사이버가정학습이 아직 사교육을 대체할만한 학습 도구로 자리잡지 못하였음을 시사하였다.
      지금까지 살펴본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 사이버가정학습에서의 영어학습 활용도를 높이기 위해서 다음의 개선방향 제언하자면, 먼저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한 콘텐츠를 제공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사이버가정학습에 학습자들이 원하는 흥미로운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단순한 반복에만 그치는 학습 콘텐츠가 아닌 에듀테인먼트 (Education & Entertainment) 효과를 균형있게 활용하여 오락적 측면에 비중을 둔 콘텐츠를 가미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학생들의 의견에 따라 교과서와는 다른 차별화된 내용의 콘텐츠가 제공되어야 한다. 학교의 정규 영어 수업시간 이외엔 영어를 접할 기회가 많지 않은 EFL환경에서, 교과서의 내용을 넘어선 새로운 내용의 콘텐츠를 제공한다면 학생들의 사교육의 비중을 줄이면서 학습자 스스로 흥미를 가지고 영어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사교육시장과 대적할 수 있는 효율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현재 사이버가정학습 영어학습은 초등 3학년부터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조사결과 많은 수의 학생들이 영어 교과가 정식 도입되는 초등 3학년 이전부터 사교육을 통해 선행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따라서 사이버가정학습의 사용자 범위를 초등 저학년을 확대한다면 선행학습에 투입되는 사교육 비용을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학습자들의 학습에 대한 동기를 높이기 위한 적절한 학습 보상 체제 운영이 필요하다. 특히 초등연령의 어린이는 학습에 대한 동기가 약하기 때문에 이와 같은 매력적인 학습 보상체제를 사이버가정학습에서 제공한다면 학습 참여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 생각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
      • 1.3 연구문제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Ⅰ 서론 = 1
      • 1.1 연구의 배경 = 1
      • 1.2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4
      • 1.3 연구문제 = 6
      • Ⅱ 이론적 배경 = 7
      • 2.1 이러닝 = 7
      • 2.1.1 이러닝의 개념 = 7
      • 2.1.2 이러닝의 특징 = 8
      • 2.1.3 이러닝과 영어교육 = 11
      • 2.2 사이버가정학습 = 12
      • 2.2.1 사이버가정학습의 개념 및 특징 = 12
      • 2.2.2 사이버가정학습의 목표 및 효과 = 14
      • 2.2.3 사이버가정학습의 운영 = 16
      • 2.2.4 영어과목 사이버가정학습 = 25
      • 2.2.5 사이버가정학습과 학습 보상 체제 = 29
      • Ⅲ 연구방법 = 31
      • 3.1 연구대상 = 31
      • 3.2 연구절차 = 32
      • 3.3 연구도구 = 34
      • 3.3 자료분석 = 36
      • Ⅳ 연구결과 및 논의 = 37
      • 4.1 초등 영어 사이버가정학습 활용도에 관한 설문조사 결과 = 37
      • 4.2 교사 및 학생 대상 인터뷰 결과 = 47
      • Ⅴ 결론 = 54
      • 참고문헌 = 58
      • 부 록 = 61
      • ABSTRACT = 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