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盧尙樞日記"
2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3 崔潤晤, "조선후기「和雇」의 성격" 3 : 1990
4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5 이정수, "조선후기 盧尙樞家의 재산변동과 농업경영" 부경역사연구소 (29) : 209-256, 2011
6 鄭震英, "조선후기 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대동문화연구원 42 : 137-169, 2003
7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 ‘호’의 編制와 성격" 40 : 2002
8 박용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혜안 2007
9 이정수, "조선후기 토지소유계층과 지가 변동" 혜안 2011
10 김석희, "조선후기 지방사회사 연구" 혜안 2004
1 "盧尙樞日記"
2 손병규, "호적, 1606-1923 호구기록으로 본 조선의 문화사" 휴머니스트 2007
3 崔潤晤, "조선후기「和雇」의 성격" 3 : 1990
4 윤용출, "조선후기의 요역제와 고용노동" 서울대학교출판부 1998
5 이정수, "조선후기 盧尙樞家의 재산변동과 농업경영" 부경역사연구소 (29) : 209-256, 2011
6 鄭震英, "조선후기 호적 ‘호’의 새로운 이해와 그 전망" 대동문화연구원 42 : 137-169, 2003
7 정진영, "조선후기 호적 ‘호’의 編制와 성격" 40 : 2002
8 박용숙, "조선후기 향촌사회사 연구" 혜안 2007
9 이정수, "조선후기 토지소유계층과 지가 변동" 혜안 2011
10 김석희, "조선후기 지방사회사 연구" 혜안 2004
11 심재우, "조선후기 사회변동과 호적대장 연구의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62) : 223-246, 2006
12 심재우, "조선후기 단성현 법물야면 유학호의 분포와 성격" 41 : 2001
13 이정수, "조선후기 挾戶의 존재 형태와 노동 특성" 부산경남사학회 (83) : 193-237, 2012
14 최승희, "조선후기 幼學ㆍ學生의 신분사적 의미" 1 : 1989
15 이정수, "조선후기 奴婢賣買 자료를 통해 본奴婢의 사회·경제적 성격과 奴婢價의 변동" 한국민족문화연구소 31 (31): 363-408, 2008
16 김건태, "조선시대 양반가의 농업경영" 역사비평사 2004
17 허종호, "조선봉건말기의 소작제연구" 한마당 1989
18 권내현, "조선 후기 호적, 호구의 성격과 새로운 쟁점" 한국사연구회 (135) : 279-303, 2006
19 林學成, "조선 후기 경상도 彦陽지역 ‘主-挾’型 家戶의 族的 결합양태 -1861년도 彦 陽戶籍의 사례 분석-" 100 : 2002
20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籍자료에 보이는 ‘時入’의 성격 -漢城府 주민의 住居 양상을 究明하기 위한 一試論-" 한국고문서학회 24 : 309-341, 2004
21 林學成, "조선 후기 漢城府民의 戶口文書에 보이는 ‘挾戶’의 성격" 7 : 1998
22 이영훈, "동아시아 근세사회의 비교" 혜안 2006
23 이세영, "대한제국기의 호구변동과 계급구조" 7 : 1992
24 호적대장, "단성 호적대장 연구" 성균관대 대동문화연구원 2003
25 崔元奎, "韓末ㆍ日帝下의 農業經營에 관한 硏究 -海南 尹氏家의 事例-" 50ㆍ51 : 1985
26 金載珍, "韓國의 戶口와 經濟發展" 박영사 1967
27 穆朝庆, "论宋代客戶封建隶属关系硏究中的若干问題" (1) : 1990
28 王兴文, "论宋代客戶人身依附的关系的特点" (102) : 2003
29 邹艾秋, "论宋代乡村客戶的经济地位和封建隶属关系" 哲学社 会科学版 (1) : 1983
30 郭东旭, "论宋代乡村客戶的法律地位" (3) : 1985
31 "訟案"
32 "繡衣錄"
33 "秋官志"
34 "磻溪隨錄"
35 姜勝浩, "磻溪 柳馨遠의 奴婢改革案 -奴婢의 代案으로 제시한 雇工論을 중심으로" 6 : 1998
36 "碩齋稿"
37 "牧民心書"
38 "浦渚集"
39 "檢案審理跋辭"
40 四方博, "李朝人口に關する身分階級別的觀察, In 朝鮮経濟の硏究" 京城帝國大學法 學會 1938
41 久間健一, "朝鮮農業の近代的樣相" 目黑書店 1935
42 宮嶋博史, "朝鮮甲午改革以後の商業的農業, In 韓國近代經濟史 硏究" 사계절 1983
43 "朝鮮王朝實錄"
44 金錫禧, "朝鮮朝後期 丹城縣戶籍帳籍에 關하여 Ⅱ" 17 : 1978
45 李榮薰, "朝鮮時代의 主戶-挾戶關係 再論" 25 : 2004
46 金容燮, "朝鮮後期의 經營型 富農과 商業的 農業, In 增補版 朝鮮後期農業史硏究" 일조각 1990
47 朴容淑, "朝鮮後期의 挾戶; 彦陽戶籍의 事例를 중심으로" 14 : 1987
48 韓榮國, "朝鮮後期의 挾人ㆍ挾戶; 彦陽縣 戶籍大帳의 挾戶口를 中心으로, In 千寬宇 先生還曆紀念韓國史學論叢" 正音文化社 1985
49 金錫禧, "朝鮮後期의 慶尙道 彦陽縣 戶籍大帳에 關하여" 7 : 1983
50 李俊九, "朝鮮後期身分職役變動" 一潮閣 1993
51 李榮薰,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1988
52 金容燮, "朝鮮後期 兩班層의 農業生産 -自作經營의 事例를 중심으로-, In 增補版 朝 鮮後期農業史硏究" 일조각 1990
53 李榮薰, "朝鮮後期 農民經營에서 主戶-挾戶關係, In 朝鮮後期社會經濟史" 한길사 1988
54 宋贊植, "朝鮮後期 農業에 있어서의 廣作運動, In 李海南博士華甲記念史學論叢" 일조각 1970
55 鄭奭鍾, "朝鮮後期 社會身分制의 變化 -蔚山府 戶籍臺帳을 中心으로-, In 朝鮮後期社 會變動硏究" 일조각 1983
56 李世永, "朝鮮後期 政治經濟史" 혜안 2002
57 노영구, "朝鮮後期 戶籍帳籍 硏究現況과 電算化의 一例" 39 : 2001
58 李勛相, "朝鮮後期 彦陽의 鄕班 昌寧 成氏 家門과 天主敎 受容者들 그리고 이에 관한 古文書- 附:「彦陽縣 丁酉式 戶籍臺帳」" 釜山敎會史硏究所 1999
59 朝鮮總督府, "朝鮮ノ小作慣行" 1933
60 韓榮國, "朝鮮 後期의 雇工 -18ㆍ19世紀 大邱府戶籍에서 본 그 實態와 性格-" 81 : 1979
61 "日省錄"
62 "擬上經界策"
63 "承政院日記"
64 "慶尙道彦陽戶籍大帳"
65 金容燮, "宣祖朝 雇工歌의 農政史的 意義" 42 : 2003
66 关履权, "宋代广东的主客戶" 3 : 1991
67 蒲爱萍, "宋代客戶地位探究" (2) : 2011
68 王晓如, "宋代乡村的无产稅戶" 1 : 1991
69 "大典通編"
70 金容燮, "增補版 朝鮮後期農業史硏究" 일조각 1990
71 "商山錄"
72 "千一錄"
73 杨果, "北宋时期主戶与客戶的地理分布 -以今湖北地区为例" 哲学 社会科学版 (6) : 1998
74 "光武量案(1901년)"
75 "備邊司謄錄"
76 姜勝浩, "丹城縣 戶籍大帳을 통해 본 雇工 -17세기 後半~18세기 前半을 중심으로-, In 龜泉元裕漢敎授定年紀念論叢" 혜안 2000
77 정해은, "丹城縣 戶籍大帳에 등재된 戶의 出入" 40 : 2002
78 정진영, "19세기후반-20세기전반 在村 兩班地主家의 농업경영(2) - 경상도 단성 김인섭가의 병작지 경영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7) : 139-185, 2008
79 장경준, "18세기 호적상 ‘主戶’의 존재 양태와 戶의 모습에 대한 일고찰 - 1714년 대구 조암방 호적을 중심으로 -" 부산경남사학회 (67) : 103-138, 2008
80 정진영, "18세기 호적대장 ‘호(戶)’와 그 경제적 기반 -1714년 대구 조암방(租岩坊)호적을 중심으로-" 39 : 2001
81 朴容淑, "18ㆍ19세기의 雇工; 慶尙道 彦陽縣 戶籍의 分析" 7 : 1983
82 李世永, "18ㆍ19세기 兩班土豪의 地主經營" 서울대 6 : 1985
83 崔潤晤, "18ㆍ19세기 농업고용노동의 전개와 발달" 77 : 1992
84 이세영, "18, 19세기 穀物市場의 형성과 流通構造의 변동" 서울대 9 : 1983
85 金錫禧, "18, 19세기 戶口의 實態와 身分變動" 26 : 1984
86 이정수, "17-18세기 雇工의 노동성격에 대한 재해석" 경제사학회 47 : 3-37,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