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경력 유아교사의 삶 : 교사실존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83149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8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고경력 유아교사들이 현장의 교사로 살아가면서 겪는 삶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8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어린이집에서 학급의 담임을 맡고 있는 현장교사 3명을 3개월 동안 총 5회 심층 면담하였다. 이들은 경력에 걸맞지 않은 직급으로 인해 자신이 고경력인지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고, 의사결정에서의 소외와 인정받지 못하는 자신을 그림자로 여기며, 승진에 대한 욕망과 갈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원감이 아닌 원감으로서 막중한 업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학부모, 원장, 동료교사들의 신뢰와 인정, 숙련의 힘으로 그것을 극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분보장 등의 안정에 대한 갈망으로 사직 후에 국공립 임용시험에 응시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고경력 교사이지만 이직을 하게 되면 새로운 생존기를 맞이하게 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고경력 교사의 채용을 기피하여 재취업의 어려움을 겪으며 대학원에 진학하는 등 끊임없는 진로에 대한 불안과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3명의 고경력 유아교사들의 경험에서 ‘오랜 경험의 가치로서의 숙련’, ‘객체로 소외된 존재’, ‘불안정의 실존’, ‘새로운 고원으로의 탈영토화 시도’라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8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고경력 유아교사들이 현장의 교사로 살아가면서 겪는 삶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아교...

      본 연구의 목적은 8년 이상의 교육경력을 가진 고경력 유아교사들이 현장의 교사로 살아가면서 겪는 삶의 경험과 그 경험에 대한 의미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자료 수집을 위해 유아교육기관에서 8년 이상 근무한 경력을 가지고 있으면서 국공립유치원, 사립유치원, 어린이집에서 학급의 담임을 맡고 있는 현장교사 3명을 3개월 동안 총 5회 심층 면담하였다. 이들은 경력에 걸맞지 않은 직급으로 인해 자신이 고경력인지 자각하지 못하고 있었고, 의사결정에서의 소외와 인정받지 못하는 자신을 그림자로 여기며, 승진에 대한 욕망과 갈등을 가지고 있었다. 한편, 원감이 아닌 원감으로서 막중한 업무의 어려움을 겪고 있었지만 학부모, 원장, 동료교사들의 신뢰와 인정, 숙련의 힘으로 그것을 극복하고 있었다. 그러나 신분보장 등의 안정에 대한 갈망으로 사직 후에 국공립 임용시험에 응시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고경력 교사이지만 이직을 하게 되면 새로운 생존기를 맞이하게 되고, 유아교육기관에서 고경력 교사의 채용을 기피하여 재취업의 어려움을 겪으며 대학원에 진학하는 등 끊임없는 진로에 대한 불안과 고민을 가지고 있었다. 이와 같은 3명의 고경력 유아교사들의 경험에서 ‘오랜 경험의 가치로서의 숙련’, ‘객체로 소외된 존재’, ‘불안정의 실존’, ‘새로운 고원으로의 탈영토화 시도’라는 의미가 도출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 experiences of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career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For data collection, there were 5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over 3 months with 3 teachers who have more than 8 years of experience of working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are in charge of classes in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y were not aware that they were highly experienced due to unsuitable positions for their career, viewed themselves as shadows as they were exclud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and did not gain recognition, and had desires and conflicts about promotion. In the meantime, as nominal assistant directors, they had the difficulty of dealing with heavy workload, but were credited as skillful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s by parents, directors, and coworkers. Still, with the desire for job security, they intended to take the national and public employment examination after resignation. Meanwhile, though they are highly experienced, when they change jobs, they have to go through ‘survival period’ anew, and have trouble finding jobs as institutions do not welcome highly experienced teachers. So they were constantly concerned and anxious about their career and some of them end up going to graduate school. From the experiences of the 3 highly-experienced childhood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value as skill of long experience’, 'alienated existence as an object', ‘alienation from relationship and existence of instability’, and ‘deterritorialization try to a new plateau’ was deduc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 experiences of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career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For data collection, there were 5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over 3 ...

      The purpose of this qualitative study is to explore t experiences of highly experienced early childhood teachers with more than 8 years of career education and its significance. For data collection, there were 5 sessions of in-depth interviews over 3 months with 3 teachers who have more than 8 years of experience of working in children education institutes and are in charge of classes in national and public kindergartens, private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The result showed that they were not aware that they were highly experienced due to unsuitable positions for their career, viewed themselves as shadows as they were excluded from decision-making process and did not gain recognition, and had desires and conflicts about promotion. In the meantime, as nominal assistant directors, they had the difficulty of dealing with heavy workload, but were credited as skillful and highly experienced teachers by parents, directors, and coworkers. Still, with the desire for job security, they intended to take the national and public employment examination after resignation. Meanwhile, though they are highly experienced, when they change jobs, they have to go through ‘survival period’ anew, and have trouble finding jobs as institutions do not welcome highly experienced teachers. So they were constantly concerned and anxious about their career and some of them end up going to graduate school. From the experiences of the 3 highly-experienced childhood teachers, the significance of ‘value as skill of long experience’, 'alienated existence as an object', ‘alienation from relationship and existence of instability’, and ‘deterritorialization try to a new plateau’ was deduc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자료 수집
      • 요약
      • I. 서론
      • II. 연구방법
      • 1. 연구 참여자
      • 2. 자료 수집
      • 3. 자료 분석
      • III. 고경력 유아교사의 경험
      • 1. 윤 교사의 경험
      • 2. 김 교사의 경험
      • 3. 박 교사의 경험
      • IV. 고경력 유아교사의 경험의 의미
      • 1. 오랜 경험의 가치로서의 숙련
      • 2. 객체로 소외된 존재
      • 3. 불안전의 실존
      • 4. 새로운 고원으로의 탈영도화 시도
      • IV. 결론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ndy Hargreaves, "학교교육 제4의 길" 교육을 바꾸는 책 2015

      2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7

      4 곽영순, "질적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11

      5 박세원, "존재의 성장과 교육 : 과학·기술 사회를 살아갈 아동을 위한 실존주의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2009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7 이윤식, "장학론" 교육과학사 1993

      8 이정은, "인정 욕구에 대한 철학적 성찰" 10 : 232-250, 2001

      9 황은희,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31-41, 2010

      10 김신영,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 Andy Hargreaves, "학교교육 제4의 길" 교육을 바꾸는 책 2015

      2 Deleuze, G, "천개의 고원" 새물결 2001

      3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Ⅰ" 문음사 2007

      4 곽영순, "질적연구 : 철학과 예술 그리고 교육" 교육과학사 2011

      5 박세원, "존재의 성장과 교육 : 과학·기술 사회를 살아갈 아동을 위한 실존주의 도덕교육" 교육과학사 2009

      6 Heidegger, M., "존재와 시간" 까치 1998

      7 이윤식, "장학론" 교육과학사 1993

      8 이정은, "인정 욕구에 대한 철학적 성찰" 10 : 232-250, 2001

      9 황은희, "유치원 교사의 어려움과 지원요구: 유치원 예비교사, 초임교사, 경력교사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 48 (48): 31-41, 2010

      10 김신영, "유아교육기관에서 교사가 인식하는 문제분석"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1 신은경, "유아교육기관 경력교사 지원체제로서의 집단 멘토링의 의미 탐색"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12 이혜경, "유아교사의 전문성에 대한 경력교사들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87-314, 2010

      13 임부연, "유아교사론" 양서원 2014

      14 염지숙, "유아교사론" 정민사 2014

      15 박은혜, "유아교사론" 창지사 2013

      16 조부경, "유아교사 발달을 돕는 장학" 양서원 2001

      17 염지숙, "영유아교사의 위상: 현황과 과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9 (19): 5-30, 2015

      18 강정원, "영유아교사의 위상 강화 무엇을 해야 하나?" 309-325, 2015

      19 김성숙, "심미적 수업컨설팅을 통한 유아교사의 존재론적 ‘되어가기(becoming)’의 의미"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397-424, 2015

      20 이기상, "쉽게 풀어 쓴 하이데거의 생애와 사상 그리고 그 영향" 누멘 2010

      21 서명석, "수업철학과 교사실존 간의 연관" 한국교육철학회 (32) : 139-168, 2007

      22 서근원, "수업에서의 소외와 실존" 교육과학사 2007

      23 하수경, "사립유치원 경력교사가 교직생활에서 경험하는 어려움과 지원 요구"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24 서경숙, "보육교사직에 대한 보육교사의 인식"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07

      25 박소영, "보육교사로 살아가는 힘에 관한 이야기 : 10년 이상 경력교사들의 이야기"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6 Christoph Menke,, "미학적 힘: 미학적 인간학의 근본개념" 그린비 2013

      27 송유진, "명품교사가 되기 위한 교육철학 이해" 강현출판사 2012

      28 노상우, "라캉의 정신분석에서 본 주체형성과정과 교육학적 함의" 한독교육학회 19 (19): 65-84, 2014

      29 이진경, "노마디즘Ⅰ" ㈜휴머니스트 출판그룹 2002

      30 교육부, "교육통계서비스. 유치원 현황" 2014

      31 고미숙, "교육철학" 문음사 2006

      32 진동섭, "교원교육의 실상과 개혁의 방향" 1993

      33 심성보, "교사교육의 정치·경제학적 접근 : 노동과정론을 중심으로" 11 : 51-69, 1995

      34 김민남, "교사교육론의 철학" 11 : 1-25, 1995

      35 김현정, "공립유치원 교사가 인식한 현장문제에 관한 연구 : 문제 발생 빈도와 어려움 정도와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0

      36 임희영, "공립유치원 고경력교사의 갈등요인에 관한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37 류해경, "공립유치원 고경력 교사가 인식한 교직갈등의 요인 및 갈등정도" 14 : 1-18, 2008

      38 전복희, "공립유치원 경력교사의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39 노길영, "경력 유치원 교사를 통해 본 교사 발달의 제요인 및 유형"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40 Hargreaves, A., "Understanding teacher development" Teachers College Press 216-240, 1992

      41 Katz, L. G, "Research currents: Teacher as learners" 62 (62): 778-782, 1985

      42 Merriam, S. B.,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to design and implementation" Jossey-Bass 2009

      43 Seidman, I, "Interviewing as qualitative research: A guide for researcher in education and the social sciences" Teachers College Press 2006

      44 Sartre, J. -P., "Existentialism" Philosophical Library 1947

      45 김철, "Buber와 Bollnow의 인간관과 교육관 - 실존적 만남으로서의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교육사상연구회 23 (23): 149-171, 2009

      46 이미화, "2012년 전국 보육실태조사-어린이집조사 보고" 보건복지부·육아정책연구소 2012

      47 고미경, "(전문성 향상을 위한)유아교사론" 창지사 200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37 2.37 2.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1 2.46 2.479 0.3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