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09 개정 교육과정과 융합형 과학 교과서에 대한 고등학교 과학교사들의 인식 =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Science Curriculum and the Science Textboo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71069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의 인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하여 실제로 수업을 진행하게 될 교사들의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과 인천, 경기 지역의 인문계 고등학교 과학 교사를 대상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과 그 실행 및 개편된 과학 교과서에 대한 120명의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이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09 개정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인 융합 교육과 창의·인성 교육에 대해 50% 이상의 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융합 교육과 창의·인성 교육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많은 교사들이 공감하고 있었으며 특히, 창의·인성 교육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교사들은 7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2009개정 교육과정에 맞도록 개편된 융합형 과학 교과서의 구성 및 내용이 교육과정의 목표인 ‘과학 개념의 통합적 이해 강조’, ‘창의·인성 교육의 강조’와 부합하지 않는다고 생각하는 교사들은 각각 52.5%와 78.4%로 높게 나타났다. 단원 구성과 관련하여 80.0%의 교사들이 융합형 과학 교과서가 특정 영역에 편중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러한 인식은 교사들의 전공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p<.05). 또한, 교사들은 교과서에서 다루는 지식의 양이 방대하고 심화된 내용이 많다고 생각하고 있었지만 학생들이 흥미를 느낄만한 다양한 주제가 포함되어 있으며 수업에 필요한 자료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는 점은 좋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교사들은 융합형 과학 교과서로 수업을 하는데 있어서 교사들의 전공이 아닌 내용을 지도해야 한다는데 가장 많은 부담을 느끼고 있었다. 이에 따라 과학 과목의 원활한 지도를 위해서는 수업 자료의 배포가 가장 필요하다고 응답하였으며 평가 자료의 배포와 교육청 연수도 필요로 하고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s' demand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One hundred twenty high school teachers from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were surveyed, and 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teachers' demand for its effective implementation. One hundred twenty high school teachers from Seoul, Incheon, and the Gyeonggi area were surveyed, and their perceptions of the 2009 Revised Curriculum, curriculum implementation, and the new science textbook were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teachers agreed with the necessity of a fu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which were emphasized in the 2009 Revised Curriculum. More than 50% of the teachers were also aware of the content of the 'fused curriculum' and the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Second, 52.5% and 78.4% of the teachers believed that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he revised science textbook were discrepant from a 'fused curriculum' and an 'education of creativity, character, and virtue', respectively. Eighty percen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new revised science textbook was biased in certain areas of scie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depending on teachers' major (p<.05): generally, teachers showed a negative opinion on the amount and deepness of knowledge in the textbook, but they liked the variety of the content. Third, 93.3%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it would be difficult to teach with the new science textbook. They worried about teaching unfamiliar areas which were outside their own major. It is essential, therefore, to distribute prepared teaching and evaluation material to teachers for the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new curriculum.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대상
      • 2. 검사 도구
      • 3. 자료 분석
      • I. 서론
      • II. 연구 방법 및 절차
      • 1. 연구 대상
      • 2. 검사 도구
      • 3. 자료 분석
      • III. 연구 결과 및 논의
      • 1.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대한 인식
      • 2. 2009 개정 과학 교과서에 대한 인식
      • 3. 2009 개정 교육과정의 현장 적용에 대한 인식
      • IV. 결론 및 제언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2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3 노태희,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실천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20 (20): 20-28, 2000

      4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9 (9): 89-112, 2009

      5 천일석,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 영향 변인과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13-246, 2007

      6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분석-교과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8 (108): 7-240, 2002

      7 박순경, "교육과정 탐구 주체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41 (41): 75-92, 2003

      8 정혜미, "고등학교 과학, 화학I, 화학II 중심의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제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완호,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2011

      10 전동렬, "고등학교 과학" 미래엔 컬처그룹 2011

      1 교육과학기술부, "창의와 배려의 조화를 통한 인재 육성 -창의·인성교육 기본방안"

      2 이인식, "지식의 대융합" 고즈윈 2008

      3 노태희, "제6차 고등학교 과학 교육과정과 실천에 대한 과학 교사의 인식 조사" 20 (20): 20-28, 2000

      4 최준환, "인성교육의 문제점 및 창의·인성교육의 이론적 고찰" 9 (9): 89-112, 2009

      5 천일석, "선택중심 교육과정: 실행 영향 변인과 교사의 인식 분석" 한국교육과정학회 25 (25): 213-246, 2007

      6 정혜승, "국어과 교육과정 실행 요인 분석-교과서 요인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 108 (108): 7-240, 2002

      7 박순경, "교육과정 탐구 주체로서의 교사 전문성 논의에 대한 대안적 관점" 41 (41): 75-92, 2003

      8 정혜미, "고등학교 과학, 화학I, 화학II 중심의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제7차 교육과정 비교 분석"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9 정완호, "고등학교 과학" 교학사 2011

      10 전동렬, "고등학교 과학" 미래엔 컬처그룹 2011

      11 오필석,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2011

      12 안태인, "고등학교 과학" 금성출판사 2011

      13 김희준, "고등학교 과학" 상상아카데미 2011

      14 곽영직, "고등학교 과학" 더텍스트 2011

      15 조현수, "고등학교 과학" 천재교육 2011

      16 이경진, "‘실행’을 중심으로 본 교육과정의 의미와 교사의 역할" 한국교육과정학회 23 (23): 57-80, 2005

      17 Short, E. C., "Three levels of questions addressed in the field of curriculum research and practice" 9 (9): 77-86, 1993

      18 Fullan, M., "The newmeaning of educational change. (3rd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1

      19 Roehrig, G. H., "Teacher and school characteristics and their influence on curriculum implementation" 44 (44): 883-907, 2007

      20 Walker, D. F., "Curriculumand aims. (4th Ed.)" Teachers College Press 2004

      21 Marsh, C. J., "Curriculum: alternative approaches, ongoing issues. (3rd Ed.)" Pearson Education 2003

      22 Csikszentmihalyi, M., "Creativity: Flow and the psychology of discovery and invention" HarperCollins 1996

      23 Urban, K. K., "Creativity: A componential approach" 1995

      24 Powell, J. C., "Changing teachers' practice: Curriculum materials and science education reform in the USA" 37 : 107-135, 2002

      25 교육과학기술부, "2009-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에 따른 고교 과학과 교육과정해설서"

      26 김재춘, "2009 개정 교육과정(총론)의 가능성과 한계 탐색" 한국교육과정학회 28 (28): 57-83, 2010

      27 좌혜정, "2009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과 2007 개정 및 제 7차 과학과 교육과정 비교 분석 -고등학교 과학, 물리I, 물리II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28 심재호,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 30 (30): 140-156, 2010

      29 조은영,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의 비교연구:고등학교 과학과목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1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3-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Instruction -> Research Institute of Curriculum & Instruction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9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7 1.07 1.1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7 1.432 0.2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