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효과성 메타분석: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 비교 = Meta-analysis of the Effects of Cognitive Improvement Programs of the Korean Elderly: Comparison of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Normal Group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80849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the elderly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o compare the effect sizes of the groups using meta - analysis. Among the previous studies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s reported in Korea for the last five years, 86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were summarized using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both groups.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types were high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exercise and cognitive-based interventions were similar for the normal group. The gender effect size was higher for the women with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the combined case with normal group.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group size were higher for 20 person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21~40 persons in normal group.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32 time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3 times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4 to 6 times for the normal group. The duration of activity was 55~60 minute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70~180 minutes in normal group as the number of sessions and activity time increased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sizes of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type and the activity factors between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the elderly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o compare the effect sizes of the groups using meta - anal...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lassif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on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of the elderly into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to compare the effect sizes of the groups using meta - analysis. Among the previous studies on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s reported in Korea for the last five years, 86 were selected and the effect sizes were summarized using meta-analysi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overall average effect size showed a large effect size in both groups. The effect sizes of the intervention types were high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exercise and cognitive-based interventions were similar for the normal group. The gender effect size was higher for the women with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the combined case with normal group.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group size were higher for 20 person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higher for 21~40 persons in normal group. The total number of sessions in both groups was higher than 32 times, The number of sessions per week was 3 times for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4 to 6 times for the normal group. The duration of activity was 55~60 minutes in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70~180 minutes in normal group as the number of sessions and activity time increased the effect size was higher in normal group. This study will be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basic data necessary for future program development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ffect sizes of the cognitive function improvement program type and the activity factors between the cognitive impairment group and the normal group.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하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보고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선행연구 중에서 86편을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요약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두 집단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유형별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운동 중재가 높았고, 일반집단은 운동과 인지기반 중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성별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여성으로만 구성한 경우가 높았고, 일반집단은 혼성이 높았다. 집단크기에 대한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20명, 일반집단은 21~40명이 높게 나타났다. 총회기수는 두 집단 모두 32회 이상이 높았고, 주회기수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3회, 일반집단은 4~6회, 활동시간은 인지기능장애집단 55~60분, 일반집단 70~180분으로 나타나 일반집단은 회기수와 활동시간이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 간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유형과 활동요소들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하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에 대한 선행연구의 결과를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으로 구분하고 메타분석을 이용하여 집단 간 효과크기를 비교해 보고자 하였다. 최근 5년간 국내에서 보고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선행연구 중에서 86편을 선정하고 메타분석을 사용하여 효과크기를 요약하였다. 연구결과, 전체평균 효과크기는 두 집단 모두 큰 효과크기를 보였다. 중재유형별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운동 중재가 높았고, 일반집단은 운동과 인지기반 중재가 유사하게 나타났다. 성별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여성으로만 구성한 경우가 높았고, 일반집단은 혼성이 높았다. 집단크기에 대한 효과크기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20명, 일반집단은 21~40명이 높게 나타났다. 총회기수는 두 집단 모두 32회 이상이 높았고, 주회기수는 인지기능장애집단은 3회, 일반집단은 4~6회, 활동시간은 인지기능장애집단 55~60분, 일반집단 70~180분으로 나타나 일반집단은 회기수와 활동시간이 많을수록 효과크기가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인지기능장애집단과 일반집단 간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 유형과 활동요소들에 대한 효과크기를 비교 분석함으로써 추후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데 의의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선미, "후마네트 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보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 이남숙, "후기노인의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3 오미화, "회상통합인지프로그램이 일반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4 김영란, "회상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해선, "회상중심 통합예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6 강현주,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6

      7 김선명,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603-634, 2015

      8 이향진, "회상 자극 소재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9 강연욱, "혈관성 인지장애 선별검사로서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의 신뢰도, 타당도 및 규준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549-562, 2009

      10 이선영,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95-505, 2013

      1 이선미, "후마네트 운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일상생활 수행능력, 보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2 이남숙, "후기노인의 인지강화프로그램이 일상생활 수행능력,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3 오미화, "회상통합인지프로그램이 일반노인에게 미치는 효과"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6

      4 김영란, "회상치료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일상생활 수행능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5 김해선, "회상중심 통합예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생활만족도,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7

      6 강현주, "회상요법을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6

      7 김선명, "회상요법을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및 자기표현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2 (22): 603-634, 2015

      8 이향진, "회상 자극 소재를 이용한 원예치료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인지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단국대학교 대학원 2013

      9 강연욱, "혈관성 인지장애 선별검사로서 Korean-Montreal Cognitive Assessment(K-MoCA)의 신뢰도, 타당도 및 규준 연구" 한국임상심리학회 28 (28): 549-562, 2009

      10 이선영, "향요법 발반사 마사지가 치매노인의 인지, 불안, 공격행동 및 배회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1 (11): 495-505, 2013

      11 김영신, "한국화 매체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건국대학교디자인대학원 2013

      12 김영신, "한국화 매체를 적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미술치료학회 21 (21): 1081-1101, 2014

      13 박영선, "한국적 익숙함을 이용한 중재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신체기능에 미치는 효과" 노인간호학회 15 (15): 257-266, 2013

      14 이지현, "한국민속춤이 여성노인의 신체, 인지 및 면역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5 (55): 535-547, 2016

      15 김경윤, "한국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인지기능 향상 프로그램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성인간호학회 29 (29): 177-189, 2017

      16 김상국, "풍물춤이 노인의 신체기능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3 (53): 455-465, 2014

      17 이승영, "퍼즐활동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24 : 27-51, 2016

      18 공은숙, "통합적 인지훈련프로그램의 노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한국콘텐츠학회 14 (14): 332-342, 2014

      19 정진희, "통합예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와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체의학대학원 2015

      20 오산산, "태극권 운동이 여성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기능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4 (24): 169-175, 2015

      21 박수향, "클라이언트 중심적 인지자극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 의사소통, 삶의 질, 작업수행도와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케어매니지먼트학회 (17) : 81-96, 2015

      22 김명숙, "컴퓨터 인지강화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자아존중감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성인간호학회 28 (28): 691-700, 2016

      23 박금숙, "치매예방을 위한 활동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대한한방신경정신과학회 24 (24): 353-362, 2013

      24 양은혜, "치매예방 통합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및 심장․뇌혈관계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대학원 2016

      25 이한숙, "치매노인을 위한 신체활동 프로그램이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국내연구의 메타 분석" 대한물리의학회 11 (11): 115-121, 2016

      26 조연진, "치매 환자의 인지재활 음악치료 효과에 대한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음악치료학회 19 (19): 117-149, 2017

      27 김기웅, "치매 선별을 위한 한국어판 하세가와 치매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2002

      28 류은석, "치료레크리에이션을 병행한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대구사이버대학교 휴먼케어대학원 2015

      29 김순희, "차문화치료가 노인의 인지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3

      30 장연욱,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4

      31 김길자, "집단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2016

      32 조정민, "지역사회 재가환경 노인의 인지강화 프로그램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 23 (23): 141-149, 2016

      33 황수승, "지역사회 기반 저항성 운동이 노인의 신체적 노쇠와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지역사회 기반 운동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34 최연희, "지역 주민 건강리더를 활용한 자조운동 프로그램이 노인의 체력, 인지기능,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346-357, 2013

      35 이성수, "지구성 운동이 노인 여성의 인지기능 Irisin 및 BDNF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3 (23): 1149-1160, 2014

      36 매일경제, "전국에 치매안심센터 설치...文대통령‘국가 치매책임제’공약 첫 실행"

      37 홍순국, "저항성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뇌파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3

      38 송낙훈, "저항성 운동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치매위험요인에 미치는 영향" 한국스포츠학회 14 (14): 305-315, 2016

      39 김명배, "저강도 복합운동이 허약여성노인의 신체조성, 기능체력, 뇌신경성장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303-1314, 2016

      40 정유진, "재가운동프로그램이 여성치매노인의 신체조성, 체력, 인지기능 및 일상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41 이홍자, "장기요양서비스 수급 후기노인의 인지향상 프로그램 중재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427-437, 2013

      42 김성운, "장기간의 유산소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P300 활용연구 -" 한국체육과학회 22 (22): 413-428, 2013

      43 송근영, "장기간 복합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과 자아탄력성 및 건강체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44 손준호, "장기간 복합운동 참여에 따른 여성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1 (21): 183-195, 2010

      45 정진협, "일상생활기능향상 프로그램 실시가 경증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모발 중금속 함량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5 (55): 667-674, 2016

      46 이민수, "인지기능향상프로그램이 치매위험군 노인여성의 인지기능 및 우울지수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30 (30): 123-138, 2016

      47 김갑묵, "인지강화훈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5

      48 강진숙, "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불안 및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7

      49 주혜정, "율동적 걷기 프로그램이 요양병원 입원 치매노인의 보행, 인지, 낙상위험에 미치는 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2016

      50 정진협, "유산소운동프로그램 참여가 경증치매 여성 노인의 중금속 함량과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

      51 박수현, "웰니스" 알에이치코리아 2010

      52 이향란, "원예 프로그램이 치매 노인의 문제행동, 인지기능, 수면상태 및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제주대학교 대학원 2014

      53 조정민, "웃음요법이 방문간호 대상 지역사회 노인의 인지기능, 우울,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생활환경학회 24 (24): 64-72, 2017

      54 이정숙, "운전재활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한통합의학회 2 (2): 91-100, 2014

      55 정복례, "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 체계적 문헌고찰 및 메타분석"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 27 (27): 1375-1387, 2016

      56 김경아, "운동·인지 이중과제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성인간호학회 27 (27): 707-717, 2015

      57 조용래,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 33 (33): 903-928, 2014

      58 장혜임, "오감자극 집단미술치료가 시설노인의 인지기능과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59 연분홍, "아쿠아로빅 운동이 노인여성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6 (26): 983-991, 2017

      60 김능연, "실버인지건강프로그램이 노인의 인지기능 향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원광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2016

      61 서정은, "신체활동이 노인치매환자의 운동기능 및 인지·정서기능에 미치는 영향: 메타분석" 한국스포츠학회 13 (13): 363-373, 2015

      62 이재은, "시니어 에어로빅 운동이 노인의 우울증과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14

      63 신보영, "시각적 지원 전략을 적용한 음악활동이 치매노인의 인지 기능 재활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1 (11): 41-62, 2015

      64 이유진, "스위스볼 프로그램이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인지기능과 하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경운대학교 대학원 2014

      65 김영경, "손작업요법이 경증치매노인의 우울,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보건대학원 2013

      66 이진, "소근육 활동을 병행한 인지치료가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인지, 치매정도, 우울 및일상생활동작에 미치는 효과" 삼육대학교 대학원 2014

      67 이남원, "선율 중심 인지재활 프로그램이 경증 알츠하이머 치매노인의 단기기억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4

      68 박정환, "복합운동이 노인의 인지기능, 건강체력, 염증성 사이토카인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69 최연희, "미술요법이 노인의 인지, 우울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4 (24): 323-331, 2013

      70 황성동, "메타분석의 이해" 학지사 2014

      71 이영호, "메타분석" 대한류마티스학회 22 (22): 4-9, 2015

      72 이혜리, "만다라 집단 미술치료가 초기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경기대학교 미술·디자인대학원 2014

      73 이미경, "마인드맵을 활용한 노래중심 음악치료활동이 시설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12 (12): 25-47, 2016

      74 김연금, "마음챙김치유예술프로그램이 인지기능 및 뇌기능에 미치는 영향 분석 : 여성노인 관점" 서울벤처대학원대학교 2015

      75 박영아, "리듬운동이 여성노인의 신체기능과 인지기능 인자에 미치는 영향"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6

      76 김대권, "리듬운동 테라피프로그램이 경증치매 노인의 인지기능, 신체구성 및건강관련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여성체육학회 27 (27): 115-127, 2013

      77 조현미, "동기면담 기반 치매예방프로그램이 요양시설입소 후기노인의 치매예방행동, 우울,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78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돌이킬 수 없는 질환‘치매’...4년 새 국민 의료비 7,630억 원 급증-2015년 80세 이상 노년층 10명 중 2명 ‘치매’진료받아-"

      79 "대한치매학회"

      80 중앙치매센터, "대한민국 치매현황 2016" 보건복지부 2016

      81 방현석, "단계적 저항운동과 수중운동이 여성노인의 알츠하이머 치매관련인자, 등속성 근 기능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3 (23): 105-114, 2015

      82 Sousa, DavidA., "뇌․마음․교육" 한국뇌기반연구소 2014

      83 윤혜경, "노인의 인지적 실행통제 기능 훈련이 인지와 우울정서에 미치는 영향" 인지발달중재학회 5 (5): 51-60, 2014

      84 박종한, "노인용 한국판 Mini-mental state examination(MMSE-K)의 표준화 연구" 28 (28): 125-135, 1989

      85 경현우, "노인여성의 탄성저항운동이 신체구성과 밸런스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86 강용규, "노인복지론" 창지사 2009

      87 김태헌, "노년학" (주)교문사 2007

      88 이승헌, "기적의 뇌건강 운동법" 비타북스 2014

      89 황명숙, "기능강화웃음치료가 노인의 우울, 인지 및 폐기능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2015

      90 송백윤, "국악을 이용한 집단음악치료가 주간보호시설 노인들의 인지기능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 32 (32): 125-138, 2014

      91 고경애, "경증 치매노인을 위한 인지활동 통합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한일장신대학교 대학원 2017

      92 박인혜, "경도인지장애 노인의 개인별 인지기능강화 프로그램적용의 효과" 한국지역사회간호학회 26 (26): 1-10, 2015

      93 김명숙,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행동변화단계에 근거한 인지중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4

      94 천정민, "경도인지장애 노인을 대상으로 한 통합예술치료 기반 그룹 언어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2017

      95 박수진, "게임과 미술치료가 뇌졸중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54 (54): 377-391, 2015

      96 김태수, "걷기 운동이 신경영양인자 조절을 통한 여성노인의 신경인지적인 영향" 한국사회체육학회 (55) : 559-571, 2014

      97 김계숙, "건강백세운동이 고령여성의 노인체력과 DHEA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98 조순천, "감각활동 중심 집단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2015

      99 김현주, "감각 훈련을 활용한 음악활동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동작 증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음악치료대학원 2014

      100 이근호, "가상현실 운동프로그램(Wii)이 알츠하이머 치매 노인의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9 (19): 35-44, 2017

      101 Hedges, L., "Statistical Methods for Meta-analysis" Academic Press 1985

      102 de Melo Coelho, F. G., "Physical exercise modulates peripheral levels of brain-derived neurotrophic factor(BDNF) : a systematic review of experimental studies in the elderly" 56 (56): 10-15, 2013

      103 Voelcker‐Rehage, C., "Physical and motor fitness are both related to cognition in old age" 31 (31): 167-176, 2010

      104 Wang, C.,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s for patien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 a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of cognition-based and exercise interventions" 42 (42): 663-678, 2014

      105 Lezak, M. 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06 이은자, "Net-Step Exercise가 노인의 보행기능, 우울, 인지기능 및 일상생활 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재활간호학회 19 (19): 108-117, 2016

      107 Vasionytė, I., "Musical intervention for patients withdementia: a meta‐analysis" 22 (22): 1203-1216, 2013

      108 Prolla, T. A., "Molecular mechanisms of brain aging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 lessons from dietary restriction" 24 : 21-31, 2001

      109 이동영, "Mini-Mental State Examination의 한국 노인 정상규준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41 (41): 2002

      110 VanPraag, H., "Exercise enhances learning and hippocampal neurogenesis in aged mice" 25 (25): 8680-8685, 2005

      111 Cotman, C. W., "Exercise builds brain health : key roles of growth factor cascades and inflammation" 30 (30): 464-472, 2007

      112 Lee, J. H.,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Assessment Packet (CERAD-K) clinical and neuropsychological assessment batteries" 57 (57): 47-53, 2002

      113 Shimada, H., "Depressive symptoms and cognitive performance in older adults" 57 : 149-156, 2014

      114 Bahar‐Fuchs, A., "Cognitive training and cognitive rehabilitation for mild to moderate Alzheimer's disease and vascular dementia" TheCochraneLibrary (6) : 2013

      115 송현주, "Chanting as a Cognitive Training Method for Individuals with Early Stage Alzheimer’s Disease: A Preliminary Study" 한국노년학회 33 (33): 835-845, 2013

      116 Hillman, C. H., "Be smart, exercise your heart: exercise effects on brain and cognition" 9 (9): 58-, 2008

      117 Duval, S., "A nonparametric"trim and fill"method of accoun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95 : 89-98, 2000

      118 염이슬, "8주간의 운동요법이 중증치매 노인의 인지기능과 일상생활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5

      119 주한나, "12주간의 아쿠아로빅 운동이 여성노인의 일상생활체력과 인지기능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체육대학원 2016

      120 이중원, "12주간 협응력 운동프로그램 참여가 여성노인의 인지기능 및 Alzheimer's Disease형 치매관련인자에 미치는 영향" 한국웰니스학회 10 (10): 175-187, 2015

      121 한진희, "12주간 유산소 운동이 노인의 체력과 우울증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운동생리학회 23 (23): 375-385, 2014

      122 나승희, "12주간 복합운동이 여성노인의 골밀도 및 인지기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5 (25): 1021-1030, 2016

      123 이승헌, "100세 시대 한민족 장생철학과 뇌교육"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0-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34 1.34 1.7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4 2.08 2.242 0.19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