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총11곳을 편의 표집하여 교사와 만2세~만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6030282
2018
-
370
학술저널
27-53(27쪽)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총11곳을 편의 표집하여 교사와 만2세~만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총11곳을 편의 표집하여 교사와 만2세~만5세 유아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를 통해 어머니의 놀이신념과 양육태도가 영・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예측하고 성장 발달시키는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이 연구에 목적을 두고 있다. 어머니의 놀이 신념과 놀이 상호작용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 보완한 PIPPS(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와 PPBS(The Parent Play Beliefs Scale)를 양육태도 측정을 위해서는 Schaefer(1959)의 Materal Behavior Reseach Instrument)를 번안. 수정한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영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중요한 변인이라는 기존의 연구와 달리 일부의 상관이 있고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어머니의 놀이신념보다 영유아 또래놀이 상호작용에 있어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해 주고 있다. 기존의 연구가 또래놀이상호작용은 만3세 이상의 영유아를 대상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나 보육료 지원과 육아에 대한 인식변화로 일찍부터 유아교육기관을 경험하게 됨으로써 만2세 유아의 또래놀이에 대하여 연구의 영역에 포함한 것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play beliefs and rearing attitudes on peer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infants, around aged three to six, from 11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 pur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mothers play beliefs and rearing attitudes on peer play interactions between young children and infants, around aged three to six, from 11 of the children education institutions. Through,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hers play beliefs and parenting attitudes on peer play interactions which can predict the development young social competence. In order to measure the modified PPBS (The Parent Play Beliefs Scale) and the PIPPS (Penn Interactive Peer Play Scale) for measuring the mothers play beliefs and play interactions, the Schaefer (1959) Materal Behavior Research Instrument of the modified survey was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previous study, in which the mother s play belief is an important variable in the play interaction between infants and toddlers. The mother s rearing attitude is more important than playful belief of mother in play interaction. In the present study, peer-play interactions were conducted for aged 3 years and older. However, since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were experienced due to the change of awareness of childcare support and childcare support. It is meaningful to research the peer play of a two-year-old in the scope.
목차 (Table of Contents)
시니어를 위한 상호작용 교육훈련의 효과: TREASURE Talk 코칭모델 활용
중학생의 일반긴장이 사이버불링 가해경험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지지의 보호요인을 중심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