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reative Movement Program to Enhance Job Efficacy of Childcare Center Directo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71892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어린이집 원장에게 적용한 후 직무효능감에 나타난 효과가 어 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 과 같다.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1의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준비 단계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직무효능감과 관련한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보 육현장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원장 의 직무효능감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 보육현장 경험 20년 이상의 유아교육 전공 박사과정 수료 이상 의 보육 전문가 2인, 현대무용 전공 현직 전문강사 1인으로 구성된 1차 전문가 집단 협의 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준비단계를 거쳐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을 선정할 수 있었고 1차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 안에 대하여 수렴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1차 구성 체계와 총 8회기의 세부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어린이집 원장 5명을 대상으로 총 2 회에 걸쳐 실시한 예비 연구 결과와 2차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의 1차 구성 체 계와 세부 시안에 대한 적합성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 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최종 구성할 수 있었으며 최종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 감 증진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원 장의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조직 운영을 위한 리더십을 함양한다. 셋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조직의 창의성을 증진시킨다의 3가지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선정한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범주는 자기 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3가지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세부 내용 요소로 첫째, 자기개념은 자기 신체 인식과 감각 깨우기, 신체 스캐닝(Body Scanning)과 역할 칭 찬하기, 내 몸이 할 수 있는 것들 탐색하기 & 표현하기, 내 감정과 신체 연결하기 (Emotion-Body Connection), 신체움직임을 통한 성취 스토리텔링 하기 5가지를 선정하였 다. 둘째, 리더십은 따로 또 같이(Solo & Tutti), 리드와 따라 하기(Lead and Follow), 신 체움직임을 통한 즉흥 문제 해결하기(Improvisational Problem Solving), 신체움직임을 통 한 신뢰 게임하기(Trust Lean Game), 그룹 리듬 운동실행 하기(Group Rhythm Exercise) 5가지를 선정하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조직 창의성은 동작 릴레이(Movement Relay) & Mirroring 하기, 즉흥적 팀 댄스(Improvisational Team Dance) 해보기, 리더와 구성원 역할 바꿔가며 신체움직임 구성 & 실행하기, 협력하여 팀 조형물(Team Sculpting) 표현하기, 몸을 이용한 팀 리듬 만들기(Team Rhythm Creation), 이야기 기반 그룹 움직임(Story-Based Group Movement) 하기, 아이디어 제시 및 그룹 퍼포먼스(Idea Group Performance) 실행하기 7가지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첫째, 교수전략으로 시범 보여주기, 음악 활용하기 및 리듬 만들기, 상상하기 및 창의적 움직임 표현하기, 토의하기 및 공유하기, 소품 이용 하기, 칭찬하기, 감정에 충실하기, 안전하게 감정 표현하기, 이야기 전달 설명하기, 협응 이끌어내기 10가지로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활동 형태는 혼자서 창의적 신체움직 임 표현하기, 파트너와 함께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소그룹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대그룹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4가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원장의 자기 개념, 리더십, 조직창의성 3가지 측정 도구에 의한 정량 평가를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 2의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 16명(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을 연 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S시, I시, P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이며, 비교집단 역시 실험집단과 동일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이 다. 프로그램 적용 전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두 집 단 간 사전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원장의 자기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을 측정 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처치를 위해 프로그램 적용은 2024년 7월 19일부 터 10월 4일까지 총 12회기 동안 매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는 어린이집 원장 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매주 금요일 총 12회기를 매 주 1회 1시간 30분씩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총 12회기의 가정통신문 형식의 자료 배부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자료를 배부하였 다. 이후 2024년 10월 4일부터 7일까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자기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 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효과를 살펴보기 위 해 사전과 사후검사의 변화량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은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개념 정립, 리더십 함양,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증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자기개념 전체와 하위 요인 인 인지적 자기, 정의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신체적 자기에서 비교집단의 자기개념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리더십 전체와 하위 요인인 개인 수준, 상호관계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에서 비교집단의 리더십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전체 와 하위 요인인 개인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에서 비교집단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전체 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은 어린이집 원장에게 창의적 신체움직임에서의 주도적 자기표현과 성취 경험을 갖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긍정적 자기정체성 과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게 하는 반복적인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대인관계 어려 움으로부터 온전히 기능할 수 있는 존재로서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작용하 였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창의적 신체움직임은 어린이집 원장으로 하여금 즉흥성에 기 반한 자유로움과 도전, 그리고 협업을 통한 성취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보육업무 수행과 정에서 군림하는 원장이 아니라 권위로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안내자와 촉진자로서 모범이 되는 리더십 경험을 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곧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에 영향을 미쳐 원장이 보육 교직원들과의 창의적이고도 생산적인 협업을 통해 목표성취와 역동성을 보이도록 작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보육 교직원들 간에 공통의 관심사인 최선의 돌봄과 교육이라는 보육의 목적 실현을 위해 어린이집이라 는 하나의 조직이 원장을 중심으로 기존의 타성에 젖은 고정된 사고방식에 의한 운영에 서 벗어나 보다 신뢰롭고도 창의적인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도록 작용하였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보육현장에서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중 요한 지원 방안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필요를 일깨우는 기초 자료 로 소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어린이집 원장에게 적용한 후 직무효능감에 나타난 효과가 어 떠한지를 알아보는...

      본 연구의 목적은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이를 어린이집 원장에게 적용한 후 직무효능감에 나타난 효과가 어 떠한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이루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 과 같다.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구성은 어떠한가?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 효과는 어떠한가? 연구 문제 1의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 구성을 위해 준비 단계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직무효능감과 관련한 문헌 고찰을 하였으며 이를 토대로 프로그램 개발의 이론적 기반을 마련하였다. 이와 함께 보 육현장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인터뷰를 실시하여 어린이집 원장 의 직무효능감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요구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육 전공 교수 1인, 보육현장 경험 20년 이상의 유아교육 전공 박사과정 수료 이상 의 보육 전문가 2인, 현대무용 전공 현직 전문강사 1인으로 구성된 1차 전문가 집단 협의 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에 필요한 의견을 수렴하였다. 이러한 준비단계를 거쳐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교육 내용, 교수-학습 방법, 평가 방법을 선정할 수 있었고 1차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 구성 안에 대하여 수렴된 피드백을 바탕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1차 구성 체계와 총 8회기의 세부 프로그램 시안을 구성하였다. 이후 어린이집 원장 5명을 대상으로 총 2 회에 걸쳐 실시한 예비 연구 결과와 2차 전문가 협의회를 통해 프로그램의 1차 구성 체 계와 세부 시안에 대한 적합성 검토 결과를 반영하여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 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최종 구성할 수 있었으며 최종 프로그램의 구성 체계는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의 목적은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 감 증진이다. 프로그램의 목표는 첫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원 장의 긍정적인 자기개념을 정립한다. 둘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조직 운영을 위한 리더십을 함양한다. 셋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통해 어린이집 조직의 창의성을 증진시킨다의 3가지로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목적과 목표 달성을 위하여 선정한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범주는 자기 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3가지로 선정하였다. 이에 따른 세부 내용 요소로 첫째, 자기개념은 자기 신체 인식과 감각 깨우기, 신체 스캐닝(Body Scanning)과 역할 칭 찬하기, 내 몸이 할 수 있는 것들 탐색하기 & 표현하기, 내 감정과 신체 연결하기 (Emotion-Body Connection), 신체움직임을 통한 성취 스토리텔링 하기 5가지를 선정하였 다. 둘째, 리더십은 따로 또 같이(Solo & Tutti), 리드와 따라 하기(Lead and Follow), 신 체움직임을 통한 즉흥 문제 해결하기(Improvisational Problem Solving), 신체움직임을 통 한 신뢰 게임하기(Trust Lean Game), 그룹 리듬 운동실행 하기(Group Rhythm Exercise) 5가지를 선정하였다. 셋째, 어린이집의 조직 창의성은 동작 릴레이(Movement Relay) & Mirroring 하기, 즉흥적 팀 댄스(Improvisational Team Dance) 해보기, 리더와 구성원 역할 바꿔가며 신체움직임 구성 & 실행하기, 협력하여 팀 조형물(Team Sculpting) 표현하기, 몸을 이용한 팀 리듬 만들기(Team Rhythm Creation), 이야기 기반 그룹 움직임(Story-Based Group Movement) 하기, 아이디어 제시 및 그룹 퍼포먼스(Idea Group Performance) 실행하기 7가지를 선정하였다.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은 첫째, 교수전략으로 시범 보여주기, 음악 활용하기 및 리듬 만들기, 상상하기 및 창의적 움직임 표현하기, 토의하기 및 공유하기, 소품 이용 하기, 칭찬하기, 감정에 충실하기, 안전하게 감정 표현하기, 이야기 전달 설명하기, 협응 이끌어내기 10가지로 구성하였다. 둘째, 프로그램의 활동 형태는 혼자서 창의적 신체움직 임 표현하기, 파트너와 함께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소그룹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대그룹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 표현하기 4가지로 구성하였다. 프로그램의 평가는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을 위해 원장의 자기 개념, 리더십, 조직창의성 3가지 측정 도구에 의한 정량 평가를 선정하였다. 연구 문제 2의 해결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 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을 위해 어린이집 원장 16명(실험집단: 8명, 비교집단: 8명)을 연 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은 S시, I시, P시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이며, 비교집단 역시 실험집단과 동일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원장 8명이 다. 프로그램 적용 전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두 집 단 간 사전동질성을 검증하였고 원장의 자기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을 측정 하는 사전검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실험 처치를 위해 프로그램 적용은 2024년 7월 19일부 터 10월 4일까지 총 12회기 동안 매주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는 어린이집 원장 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을 매주 금요일 총 12회기를 매 주 1회 1시간 30분씩 실시하였고, 비교집단은 동일한 기간 동안 총 12회기의 가정통신문 형식의 자료 배부를 통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교육자료를 배부하였 다. 이후 2024년 10월 4일부터 7일까지 두 집단을 대상으로 사전검사와 동일한 방법으로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프로그램의 실시 전·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의 사전과 사후의 자기개념, 리더십, 어린이집의 조직창 의성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Wilcoxon 부호순위 검정을 실시하였고, 효과를 살펴보기 위 해 사전과 사후검사의 변화량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실시하여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은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개념 정립, 리더십 함양,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증진에 긍정적 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자기개념 전체와 하위 요인 인 인지적 자기, 정의적 자기, 사회적 자기, 신체적 자기에서 비교집단의 자기개념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의 리더십 전체와 하위 요인인 개인 수준, 상호관계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에서 비교집단의 리더십 전체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 적용 후 실험집단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전체 와 하위 요인인 개인수준, 집단수준, 조직수준에서 비교집단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전체 와 하위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향상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하면 본 연구에서 실시한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은 어린이집 원장에게 창의적 신체움직임에서의 주도적 자기표현과 성취 경험을 갖도록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는 곧 긍정적 자기정체성 과 성취감을 느끼기 어렵게 하는 반복적인 직무 스트레스와 소진, 그리고 대인관계 어려 움으로부터 온전히 기능할 수 있는 존재로서 자기개념을 긍정적으로 인식하도록 작용하 였음을 시사한다. 더 나아가 창의적 신체움직임은 어린이집 원장으로 하여금 즉흥성에 기 반한 자유로움과 도전, 그리고 협업을 통한 성취감을 느끼도록 함으로써 보육업무 수행과 정에서 군림하는 원장이 아니라 권위로운 리더십을 발휘할 수 있는 안내자와 촉진자로서 모범이 되는 리더십 경험을 할 수 있었음을 보여준다. 이는 곧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에 영향을 미쳐 원장이 보육 교직원들과의 창의적이고도 생산적인 협업을 통해 목표성취와 역동성을 보이도록 작용하였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린이집 보육 교직원들 간에 공통의 관심사인 최선의 돌봄과 교육이라는 보육의 목적 실현을 위해 어린이집이라 는 하나의 조직이 원장을 중심으로 기존의 타성에 젖은 고정된 사고방식에 의한 운영에 서 벗어나 보다 신뢰롭고도 창의적인 다양한 접근을 시도하도록 작용하였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결과가 보육현장에서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중 요한 지원 방안으로 창의적 신체움직임을 활용한 프로그램의 필요를 일깨우는 기초 자료 로 소중하게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ir job efficacy after applic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structure of a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to enhance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2. What ar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on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 literature review on creative physical movements and job efficacy was conducted as a preparatory step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program. Additionall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directors currently employed in daycare centers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f job efficacy and gather requirement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feedback was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s with a panel of experts comprising one professor specializ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childcare experts with over 20 years of field experience and doctoral qualific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ne professional instructor specializing in contemporary dance. Through these steps, the purpose,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ogra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first expert consultation, a preliminary framework of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was structured, including a detailed plan for eight sessions. This framework was then refin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involving five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a second expert consultation, resulting in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enhance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through creativ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e program's goals are as follows: To establish a positive self-concept for daycare center directors through creativ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for daycare center directors in managing daycare organizations. To promote organizational creativity within daycare cente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rogram was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daycare centers. The detailed elements are as follows: Self-Concept: Activities include body awareness and awakening senses, body scanning and role appreciation, exploring and expressing physical abilities, connecting emotions with the body (Emotion-Body Connection), and storytelling achievements through physical movements. Leadership: Activities include "Solo & Tutti" (individual and group movements), "Lead and Follow" exercises, solving problems through improvisational physical movements, trust-building games (Trust Lean Game), and executing group rhythm exercises.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Daycare Centers: Activities include movement relays with mirroring, improvisational team dances, swapping role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movement creation and execution, team-based sculpting through collaboration, creating team rhythms using the body, story-based group movements, and idea-sharing followed by group performanc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dopted include demonstration, music utilization, rhythmic creation, imaginative and creative movement expression, discussion and sharing, use of props, positive reinforcement, expressing emotions safely, storytelling, and facilitating coordination. Activity formats involve individual, partner, small-group, and large-group creative physical movements. For evaluation, quantitative 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2, the program was applied to 16 daycare center directors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employed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 I, and P cities. Prior to the program's implementation,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test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Pre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conducted weekly for 1.5 hours from July 19 to October 4, 2024. Mean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form of home newsletters over the same period. After the program, both groups underwent posttests using the same methods as the pretest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chang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significantly enhanced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among daycare center directors. Specifically: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elf-concept and sub-factors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physical self)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eadership and its sub-levels (individual, interpersonal, 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ts sub-level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provided directo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accomplishment through creative movements,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self-concept amidst repetitive job stress, burnout, and interpersonal challenges. Furthermore, the program facilitated experiences of transformative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enhancing their ability to act as guiding facilitators rather than authoritative figures. This, in turn, contributed to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reativity, fostering productive and innovative collaboration among staff to achieve shared childcare and educational goal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s as a strategic support mechanism for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foundational data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childcare setting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ir job efficacy after applic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ign a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aimed at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to evaluate its effects on their job efficacy after application. To achieve this research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1. What is the structure of a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to enhance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2. What are the effects of applying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on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1, a literature review on creative physical movements and job efficacy was conducted as a preparatory step to establish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developing the program. Additionally, a focus group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eight directors currently employed in daycare centers to assess their perceptions of job efficacy and gather requirements for program development. The feedback was supplemented through consultations with a panel of experts comprising one professor specializing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two childcare experts with over 20 years of field experience and doctoral qualification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one professional instructor specializing in contemporary dance. Through these steps, the purpose, goals, educational content,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evaluation methods for the program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feedback from the first expert consultation, a preliminary framework of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was structured, including a detailed plan for eight sessions. This framework was then refined through a preliminary study involving five daycare center directors and a second expert consultation, resulting in the final version of the program.
      The purpose of the program is to enhance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through creativ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he program's goals are as follows: To establish a positive self-concept for daycare center directors through creative physical movement activities. To develop leadership skills for daycare center directors in managing daycare organizations. To promote organizational creativity within daycare centers.
      To achieve these objectives, the educational content of the program was categorized into three domains: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daycare centers. The detailed elements are as follows: Self-Concept: Activities include body awareness and awakening senses, body scanning and role appreciation, exploring and expressing physical abilities, connecting emotions with the body (Emotion-Body Connection), and storytelling achievements through physical movements. Leadership: Activities include "Solo & Tutti" (individual and group movements), "Lead and Follow" exercises, solving problems through improvisational physical movements, trust-building games (Trust Lean Game), and executing group rhythm exercises. Organizational Creativity in Daycare Centers: Activities include movement relays with mirroring, improvisational team dances, swapping roles between leaders and members in movement creation and execution, team-based sculpting through collaboration, creating team rhythms using the body, story-based group movements, and idea-sharing followed by group performances.
      The teaching-learning methods adopted include demonstration, music utilization, rhythmic creation, imaginative and creative movement expression, discussion and sharing, use of props, positive reinforcement, expressing emotions safely, storytelling, and facilitating coordination. Activity formats involve individual, partner, small-group, and large-group creative physical movements. For evaluation, quantitative assessments were conducted using measurement tools to evaluate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To address Research Question 2, the program was applied to 16 daycare center directors (8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8 in the control group) employed in daycare centers located in S, I, and P cities. Prior to the program's implementation,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verify the pretest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Pre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12 sessions of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conducted weekly for 1.5 hours from July 19 to October 4, 2024. Meanwhile, the control group received 12 sessions of educational materials in the form of home newsletters over the same period. After the program, both groups underwent posttests using the same methods as the pretests.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using SPSS 28.0, and Wilcoxon signed-rank tests were conducted to examine changes in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fo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Additionally, a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evaluate differences in changes between the groups.
      The results indicate that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significantly enhanced self-concept, leadership, and organizational creativity among daycare center directors. Specifically: After the program, the experimental group's overall self-concept and sub-factors (cognitive, affective, social, and physical self) improved significantly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Leadership and its sub-levels (individual, interpersonal, 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Organizational creativity and its sub-levels (individual, group, and organizational level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summary, the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 provided directors with opportunities for self-expression and accomplishment through creative movements, positively influencing their self-concept amidst repetitive job stress, burnout, and interpersonal challenges. Furthermore, the program facilitated experiences of transformative and collaborative leadership, enhancing their ability to act as guiding facilitators rather than authoritative figures. This, in turn, contributed to daycare centers' organizational creativity, fostering productive and innovative collaboration among staff to achieve shared childcare and educational goals.
      These findings underscore the necessity of incorporating creative physical movement programs as a strategic support mechanism for enhancing the job efficacy of daycare center directors, offering valuable insights and foundational data for practical applications in childcare setting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 초록 ⅸ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국문 초록 ⅸ
      • I. 서론 1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 문제 8
      • 3. 용어의 정의 9
      • 1) 어린이집 원장 9
      • 2) 직무효능감 9
      • 3) 창의적 신체움직임 9
      • 4) 자기개념 10
      • 5) 리더십 10
      • 6) 조직창의성10
      • Ⅱ. 이론적 배경 11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11
      • 1) 어린이집 원장의 역할 및 중요성11
      •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 특성 13
      • 2. 어린이집 원장과 직무효능감 15
      • 1) 직무효능감의 개념 및 중요성15
      • 2) 어린이집 원장과 직무효능감17
      •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관련 변인 20
      • (1)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개념 22
      • (2)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28
      • (3)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30
      • 3. 창의적 신체움직임 35
      • 1) 창의적 신체움직임의 개념 및 중요성 35
      • 2) 창의적 신체움직임의 방법38
      • 3) 창의적 신체움직임과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45
      • Ⅲ.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구성 ·48
      • 1. 준비단계 51
      • 1) 문헌고찰 51
      • (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선정 51
      • (2)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선정 56
      • (3)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의 선정 60
      • (4) 프로그램 평가 방법의 선정 67
      • 2)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 조사 및 분석 68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에 대한 인식 및 프로그램 요구 68
      • (2) 1차 전문가 협의 72
      • 2.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 75
      • 1) 프로그램의 목적 및 목표 선정 75
      • 2) 프로그램의 교육 내용 75
      • 3)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방법 77
      • 4) 프로그램의 평가 78
      • 5)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구성
      • · 79
      • 3. 프로그램 적합성 검증 및 수정·보완 단계84
      • 1) 예비 연구84
      • 2) 2차 전문가 협의 의견 수렴 내용 85
      • 3) 프로그램 수정·보완 87
      • 4. 최종 프로그램의 구성 단계 89
      • Ⅳ.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 93
      • 1. 연구 방법 93
      • 1) 연구 대상 93
      • 2) 연구 도구 94
      • (1)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개념 측정 도구 95
      • (2)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 측정 도구 96
      • (3)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 측정 도구 96
      • 3) 연구 절차 97
      • (1) 예비검사 97
      • (2) 사전검사 98
      • (3) 실험처치 98
      • (4) 사후검사106
      • (5) 자료처리 및 분석 106
      • Ⅴ.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의 적용
      • 효과 107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이 어린이집
      • 원장의 직무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110
      • 1)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이
      • 어린이집 원장의 자기개념에 미치는 효과110
      • 2)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이
      •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에 미치는 효과116
      • 3) 어린이집 원장의 직무효능감 증진을 위한 창의적 신체움직임 프로그램이
      • 어린이집의 조직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123
      • Ⅵ. 논의 및 결론 130
      • 1. 요약 및 논의130
      • 1) 요약 130
      • 2) 논의 133
      • 2. 결론 및 제언141
      • 참고문헌 143
      • [부 록] 168
      • ABSTRACT 20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