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글은 마을 공동체 내에서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온 ‘마을 소리꾼’ 만의 독특한 연행 자질과 연행 레퍼토리, 이들만이 공유하는 사회적 조건과 연행 현장의 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484503
2014
Korean
소리꾼 ; 마을 소리꾼 ; 마을 공동체 ; 민요 ; 일노래 ; 노동요 ; 유희요 ; 레퍼토리 ; 연행 자질 ; 연행 주체 ; 이질성 ; 연행 현장 ; 전승 현장 ; 사회문화적 조건 ; oral-tradition ; context ; field ; the subject of performance ; folksong ; village ; community ; audience ; the faith and pride for community ; the qualification and authority of the performance ; the identity and the ability as artist ; creative ability ; community works ; community rituals
KCI등재후보
학술저널
33-71(39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마을 공동체 내에서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온 ‘마을 소리꾼’ 만의 독특한 연행 자질과 연행 레퍼토리, 이들만이 공유하는 사회적 조건과 연행 현장의 맥...
이 글은 마을 공동체 내에서 특수한 역할을 수행하며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해온 ‘마을 소리꾼’ 만의 독특한 연행 자질과 연행 레퍼토리, 이들만이 공유하는 사회적 조건과 연행 현장의 맥락, 마을 공동체 내에서의 역할과 지위 등을 고찰하여 ‘마을 소리꾼’의 개념과 범주를 재구성한 글이다.
선행 연구를 통해 이미 ‘마을 소리꾼’의 존재 가능성과 이들이 공유한 공통 자질 등이 드러난 바 있으나 이 글에서는 이를 좀더 본격화, 체계화하여 다른 민요 연행자들과 구분함으로써 연행 주체 내부의 이질성을 좀더 명확하게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러나 ‘마을 소리꾼’이라고 해서 마을 공동체 내에서 모두 같은 위상과 역할을 수행하는 것은 아니다. 연행 및 전승 현장의 맥락이 변함에 따라, 또 마을 공동체의 특수성이나 연행자 개인의 사회문화적 조건에 따라 ‘마을 소리꾼’ 내부에도 차이가 존재한다. 이 글은 ‘마을 소리꾼’을 개념화, 범주화하기 위해 이들 내부의 동질성을 찾아내는 한편, 역동하는 변화의 맥락과 현장의 결에 최대한 근접하기 위해 이들 내부의 이질성을 함께 탐색하였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raditionally, there are some performers well-known as a folksong singer in a village community. Some of them have their own repertories, audience, motivation, intend of performing folksongs. There are mainly folksongs for community works and communit...
Traditionally, there are some performers well-known as a folksong singer in a village community. Some of them have their own repertories, audience, motivation, intend of performing folksongs. There are mainly folksongs for community works and community rituals in their repertories of performance. They are born in the village, and grew up in the same local community. They have lived and still live, and are going to be passed away at last in the same town. They consider their creative ability as less important factor than their faithful mind for the solid tradition of community.
Their performance of folksongs is based on community. The key motivation for the communal performance is to pass on the values and rules of the community and to maintain the community itself by doing so. These folksong-performers have a certain faith and the heart of pride for their communities. And they also have the qualification and authority of the performance of folksongs presenting the tradition of their communities, given by the community.
They have a special position in the culture of local community and perform their own roles as traditional singers performing specific folksongs in a village community. So they are called as ‘village community singers of folksongs’ in this articl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순일,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남도민속학회 23 (23): 437-457, 2011
2 한지현, "전문 상여소리꾼의 존재양상과 변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3
3 나승만,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전남 화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27 : 77-98, 2003
4 김영희, "연행 주체란 누구인가" 민속원 2013
5 강진옥, "여성 민요 창자 정영엽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박이정 1999
6 나승만, "신지도 민요 소리꾼 고찰-상여 소리꾼을 중심으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4 : 1996
7 김예선, "선소리꾼 최장환의 살아온 이야기 연구" 겨레어문학회 (40) : 139-159, 2008
8 나승만, "삶의 처지와 노래 생산 양식의 상관성"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6 : 1998
9 나승만,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조사와 사례분석" 한국구비문학회 7 : 1999
10 홍미희, "민요 소리꾼 이남조 연구" 한국민요학회 9 : 339-363, 2001
1 홍순일, "하의도 이홍채 소리꾼의 교차적 공간확장과 소통적 문화행위" 남도민속학회 23 (23): 437-457, 2011
2 한지현, "전문 상여소리꾼의 존재양상과 변화" 안동대학교 대학원 2013
3 나승만, "전남 내륙지역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분석과 전통민요의 전승맥락-전남 화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말글학회 27 : 77-98, 2003
4 김영희, "연행 주체란 누구인가" 민속원 2013
5 강진옥, "여성 민요 창자 정영엽 연구" 한국구비문학회, 박이정 1999
6 나승만, "신지도 민요 소리꾼 고찰-상여 소리꾼을 중심으로-"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4 : 1996
7 김예선, "선소리꾼 최장환의 살아온 이야기 연구" 겨레어문학회 (40) : 139-159, 2008
8 나승만, "삶의 처지와 노래 생산 양식의 상관성"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6 : 1998
9 나승만, "민요 소리꾼의 생애담 조사와 사례분석" 한국구비문학회 7 : 1999
10 홍미희, "민요 소리꾼 이남조 연구" 한국민요학회 9 : 339-363, 2001
11 이창식, "민요 가창자의 전승과 소통" 한국민요학회 31 : 185-234, 2011
12 천혜숙, "마을의 민요공동체적 전통과 노래문화의 현재" 안동대 민속학연구소 19 : 2009
13 홍순일, "도서연안지역 민요공동체의 성격과 민요의 연행양상" 한국민요학회 22 : 377-409, 2008
14 나승만, "노화도 민요 소리꾼들의 생애담 고찰"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5 : 1997
15 김영희, "구전이야기 연행과 공동체" 민속원 2013
과천 찬우물 소리꾼 임정란(林正蘭, 1943~ )과 그 가문의 예술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