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의 관계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대중교통과 보행을 중심으로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bility and social capital : focus on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in Seou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95363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 모빌리티는 주요 이동수단인 대중교통과 보행으로 실현되며, 단순한 이동을 넘어 사회...

      본 연구는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일상 모빌리티는 주요 이동수단인 대중교통과 보행으로 실현되며, 단순한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증진시키고 확장하는데에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사회적 자본의 주요 구성요소이자 그 결과인 신뢰와도 연결되며 특히, 사람들 간의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대인신뢰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시를 대상으로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가 대인신뢰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서울시의 전반적인 사회조사 및 교통 관련 자료를 포함한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코로나19 영향을 받기 전인 2019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방법으로는 종속변수는 대인신뢰도, 독립변수는 대중교통 이용 및 보행환경 만족도이며 사회적 자본 형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경제적 요소와 네트워크, 호혜성, 규범 등을 통제변수로 구성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는 대인신뢰도에 양의 관계로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일상 모빌리티의 만족도가 올라갈수록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발견했다. 대중교통 이용과 보행환경 만족도는 일상 모빌리티가 편리하고 안전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주변 환경과 사회에 대한 더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게 하며 이는 사회와 주변에 대해 안전감과 신뢰를 느낄 수 있는 요소가 될 수 있다. 이러한 만족도의 증진이 타인을 더 신뢰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 준 것으로 해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도시의 일상 모빌리티가 단순한 물리적 공간 이동을 넘어 사회적 관계 및 신뢰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는 대중교통과 보행의 사회적 측면에 새로운 관점을 제시하였으며 향후 일상 모빌리티 향상에 주요 기초 근거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도시계획 및 교통정책 결정자들은 이를 고려하여 보다 만족도 높은 대중교통 및 보행환경을 조성함으로써 지역사회의 사회적 자본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bility and social capital. Daily mobility, primarily realized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xtends beyond mere movement to influence social relations. It is particul...

      This study aims to empirically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mobility and social capital. Daily mobility, primarily realized throug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xtends beyond mere movement to influence social relations. It is particularly linked to trust, a key component and outcome of social capital, especially interpersonal trust based on connections between people. The study focuses on Seoul, examining how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use and walking environments affects interpersonal trust. Utilizing the 2019 Seoul Survey data, before the impact of COVID-19, the study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interpersonal trust as the dependent variable, and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nvironments as independent variables. Socioeconomic factors, networks, reciprocity, and norms were considered as control variables. The analysis revealed that higher satisfaction with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environments positively influences interpersonal trust, suggesting that increased satisfaction in daily mobility positively impacts social capital. This study offers new insights into the social aspects of public transportation and walking, anticipating it to be a foundational basis for future improvements in daily mobilit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제1절 일상 모빌리티(Daily Mobility)에 대한 고찰 4
      • 제1장 서론 1
      •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 제2장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 4
      • 제1절 일상 모빌리티(Daily Mobility)에 대한 고찰 4
      • 1. 모빌리티(Mobility) 4
      • 2. 일상 모빌리티(Daily Mobility) 6
      • 제2절 사회적 자본에 대한 고찰 11
      • 제3절 일상 모빌리티와 사회적 자본 간의 관계 16
      • 제3장 분석의 틀 19
      • 제1절 분석자료와 변수구성 19
      • 1. 서울서베이 도시정책지표조사를 활용한 분석자료 19
      • 2. 변수의 구성 21
      • 제2절 분석 방법 25
      • 1.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 MRA) 25
      • 제4장 분석 결과 27
      • 제1절 기초통계량 27
      • 제2절 대중교통 이용 만족도와 대인신뢰도 관계 분석 결과 33
      • 제3절 보행환경 만족도와 대인신뢰도 관계 분석 결과 36
      • 제5장 결론 39
      • 참고문헌 41
      • 부록 48
      • Abstract 54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