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고구려 文字, 言語 자료의 현황과 과제 = The Status and Topics for Further Research Regarding Data on Koguryo’s Letters and Langu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907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고구려의 문자 자료는 크게는 후대의 史書 편찬을 통하여 전해지는 문헌자료와 고구려 당대의 문자 자료인 金石文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구려 금석문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비문(...

      고구려의 문자 자료는 크게는 후대의 史書 편찬을 통하여 전해지는 문헌자료와 고구려 당대의 문자 자료인 金石文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고구려 금석문 자료는 그리 많지 않다. 비문(광개토왕비, 중원고구려비), 고분 묵서명(안악3호분, 덕흥리고분, 모두루총 묘지), 불상 명문, 와당 전 명문, 축성과 관련된 석각명, 토기명문 등 다양한 계통의 명문 자료가 발견되었다. 이들 금석문은 시기적으로 4세기 중엽에서 6세기말까지의 자료이다.
      고구려 금석문이 제법 다양한 유형으로 남아있다는 점은 고구려 문자 자료의 범주를 파악하는 데에는 도움이 되지만, 한편으로는 각 금석문이 서로 연관되거나 내용을 상호 보완해주는 성격의 자료가 드물기 때문에, 개별적인 성격의 금석문 자료를 통해 일정한 역사적 사실을 추정해내는 데에는 자료의 제약이 적지 않다. 따라서 금석문을 이용한 연구의 방향이나 범주도 매우 제한적이다.
      다수의 금석문 자료가 전해지지만 고구려의 문자 생활이나 한문학의 수준을 이해하는 주된 자료는 광개토왕비에 한정되다고 해도 과언은 아니다. 그리고 그동안 주로 역사 연구 자료로서만 활용되었을 뿐 한문학 자료로 주목되지 못한 점은 이해의 폭을 축소시킨 결과가 되었다. 광개토왕비문과 고구려본기 등에서 찾아지는 고구려 한문학 자료를 적극적으로 이용하려는 학문적 접근이 필요하다.
      현재 고구려의 문자 자료를 반영하고 있는 史書로는 『삼국사기』 고구려 본기와 열전(온달전 등), 그리고 이규보의 〈동명왕편〉에 인용된 〈구삼국사〉, 『삼국유사』의 일부 기사가 있다. 따라서 이들 史書 기사에서 가능한한 고구려 당대의 문자 기록 혹은 문장을 최대한 복원하려는 시도가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거꾸로 현재의 史書 기사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과정에서 일어났을 문장의 변개 가능성에 대해 탐색해보는 작업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삼국사기』 고구려본기는 ‘古記’ 기사를 인용하여 편찬하고 있다. 그러나 산재된 여러 古記 자료를 재구성하였다기 보다는 편찬의 주된 전거 자료가 된 ‘原典’이 있으며 이를 중심으로 나머지 古記와 『자치통감』 등 중국측 史書의 기사를 보완하여 편찬한 것이다. 이때 삼국사기 편찬자들이 주요 전거자료로 삼은 ‘원전’은 〈구삼국사〉는 아니고, 이와는 다른 아마도 고려초에 편찬된 또다른 삼국사 史書로 추정된다.
      이 ‘원전’에는 이미 『후한서』 등 중국 사서의 기사가 인용되어 있는데, 이를 보면 원문장의 변개가 거의 없이 원문을 인용하고 있다. 이 ‘원전’에는 국내 고구려 전승 자료도 역시 원문에 가깝게 반영되어 있을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지리지〉 미상지분조를 통해서 추적해보면 ‘원전’ 기사의 일부를 재구성하였음이 확인된다.
      하지만 현 고구려본기나 열전의 기사는 고구려 당대의 문자 자료를 어느정도 충실히 반영한 결과로 보아도 좋을 것이다. 그러한 점에서 제법 풍부한 기술 내용을 갖고 있는 기사들을 고구려 한문학이나 문자자료의 성격을 파악하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지 여부에 대해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필요하다.
      고구려 언어를 추적하는 중요 자료는 『삼국사기』 지리지 권35 신라조와 권37 고구려조에 보이는 고구려 지명 관련 자료이다. 이들 자료를 통하여 고구려어를 추적하기 위해서는 각 지명의 고구려계 異名이나 신라가 개명한 지명들이 어떻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Data available for the research of Koguryo’s letters include an Epigraph(金石文) as well as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nd series of Biographies(列傳) in 『Samguk-Saki(三國史記)』. A Epigraph(金石文), while not in abundant, are h...

      Data available for the research of Koguryo’s letters include an Epigraph(金石文) as well as Koguryo-Bongi(高句麗本紀) and series of Biographies(列傳) in 『Samguk-Saki(三國史記)』. A Epigraph(金石文), while not in abundant, are highly valuable in that they are original records. A review of the editorial process for the articles of Koguryo-Bongi and Biographies(列傳) reveals that they properly reflect original data. Efforts for discovering data on Koguryo’s letters are necessary.
      The data of Research data on Koguryo’s language are names of a place in 『Samguk-Saki』 Gographical-Gi(志). Research on Koguryo’s language should in the future be performed in parallel tracks of spoken language and written languag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 文字 자료의 현황과 과제
      • Ⅲ. 고구려 언어 자료의 현황과 과제
      • Ⅳ. 맺음말
      • 국문초록
      • Ⅰ. 머리말
      • Ⅱ. 고구려 文字 자료의 현황과 과제
      • Ⅲ. 고구려 언어 자료의 현황과 과제
      • Ⅳ.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태식,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조의 사료적 검토"

      2 신동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인용자료에 관한 일고"

      3 이강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분주 재론"

      4 신동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분주의 연구"

      5 이기문, "고구려의 언어와 특징"

      6 김성규, "고구려어 연구에 대한 반성" 가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9 : 1994

      7 임기환,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8 佐立春人, "高句麗新大王2年の赦書について"

      9 末松保和, "舊三國史와 三國史記"

      10 鄭求福 外, "三國史記의 原典 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1 김태식, "삼국사기 지리지 고구려조의 사료적 검토"

      2 신동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인용자료에 관한 일고"

      3 이강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의 분주 재론"

      4 신동하,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분주의 연구"

      5 이기문, "고구려의 언어와 특징"

      6 김성규, "고구려어 연구에 대한 반성" 가톨릭대 인문과학연구소 9 : 1994

      7 임기환, "고구려본기 전거 자료의 계통과 성격"

      8 佐立春人, "高句麗新大王2年の赦書について"

      9 末松保和, "舊三國史와 三國史記"

      10 鄭求福 外, "三國史記의 原典 檢討" 韓國精神文化硏究院 1995

      11 高寬敏, "三國史記の原典的硏究" 雄山閣 1996

      12 井上秀雄, "三國史記の原典をもとめて"

      13 井上秀雄, "三國史記 地理志の史料批判"

      14 李康來, "三國史記 典據論" 民族社 1997

      15 三品彰英, "“三國史記” 高句麗本紀の原典批判」"

      16 田中俊明, "“三國史記” 中國史書 引用記事의 再檢討"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7-21 학회명변경 영문명 : Http://Www.Daedonghanmunhak.Co.Kr -> http://www.daedonghanmun.or.kr/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1 0.71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1 0.61 1.492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