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임진․정유재란기 약탈된 출판문화재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plundered publishing cultural assets taken by the Japanese Invasion in 1592~1597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96229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임진․정유재란기 약탈된 조선의 출판문화재에 대한 연구이다. 약탈된 금속활자 20만 자와 수천 권의 도서 중 현재 일본 공기관에 소장돼 있는 목록을 꾸려봄으로써 우리의 출판문화재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조선의 출판문화재는 도쿠가와 막부의 문치주의를 이루는 통치근간이 되어 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로써 우리 출판문화재에 내재된 우수한 가치를 되새겨보는 한편, 이들 약탈본을 외교적 노력으로 되돌려받을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임진․정유재란기 약탈된 조선의 출판문화재에 대한 연구이다. 약탈된 금속활자 20만 자와 수천 권의 도서 중 현재 일본 공기관에 소장돼 있는 목록을 꾸려봄으로써 우리의 출판...

      본 연구는 임진․정유재란기 약탈된 조선의 출판문화재에 대한 연구이다. 약탈된 금속활자 20만 자와 수천 권의 도서 중 현재 일본 공기관에 소장돼 있는 목록을 꾸려봄으로써 우리의 출판문화재에 대한 의미를 되새겨보고자 한다. 조선의 출판문화재는 도쿠가와 막부의 문치주의를 이루는 통치근간이 되어 문화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이로써 우리 출판문화재에 내재된 우수한 가치를 되새겨보는 한편, 이들 약탈본을 외교적 노력으로 되돌려받을 수 있도록, 관련 연구가 이어져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천혜봉, "한국의 금속활자본" 범우사 2003

      2 김승일, "출판문화교류를 통해 본 한중관계의 전통적 성격에 대한 일고찰" 103-116, 1995

      3 김성은, "책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안 : 역사학과 사회학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3 (43): 33-56, 2017

      4 이재준, "조선시대 내사본 연구" 중앙대학교 2016

      5 조원래, "정유재란" 범우사 2018

      6 박제광, "정유재란" 범우사 446-472, 2018

      7 이형석, "임진전란사, 하"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74

      8 박재광, "임진왜란 후 조ㆍ일간 국교재개 과정 연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17-147, 2012

      9 하우봉, "임진왜란 후 조․일간의 문물교류" 동국대 20 : 123-141, 2001

      10 조재곤, "임진왜란 시기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 6 : 30-31, 2002

      1 천혜봉, "한국의 금속활자본" 범우사 2003

      2 김승일, "출판문화교류를 통해 본 한중관계의 전통적 성격에 대한 일고찰" 103-116, 1995

      3 김성은, "책에 대한 학제적 연구의 필요성과 방안 : 역사학과 사회학을 중심으로" 한국출판학회 43 (43): 33-56, 2017

      4 이재준, "조선시대 내사본 연구" 중앙대학교 2016

      5 조원래, "정유재란" 범우사 2018

      6 박제광, "정유재란" 범우사 446-472, 2018

      7 이형석, "임진전란사, 하" 임진전란사간행위원회 1974

      8 박재광, "임진왜란 후 조ㆍ일간 국교재개 과정 연구"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4) : 117-147, 2012

      9 하우봉, "임진왜란 후 조․일간의 문물교류" 동국대 20 : 123-141, 2001

      10 조재곤, "임진왜란 시기 조선과 명의 문화교류" 6 : 30-31, 2002

      11 천혜봉, "일본 봉좌문고 한국전적" 지식산업사 2003

      12 김승일, "도쿠가와(德川) 막부시기, 일본의 조선성리학 수용과 그 의의에 대한 일 시각" 한국사학회 (100) : 637-670, 2010

      13 조원래, "남도의 백성이 지킨 나라" 순천대학교 박물관 2016

      14 천혜봉, "국외 소재 한국 고문헌 수집성과와 과제"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1-10, 2011

      15 北島万次, "豊臣秀吉の朝鮮侵略" 吉川弘文館 1995

      16 吉田光邦, "ゃきもの" NHKブクス 132-, 1982

      17 하우봉, "18세기 일본사상의 전개양상과 성격" 역사학회 (213) : 155-179,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재인증) KCI등재
      2019-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7 0.57 0.5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1 0.79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