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들의 낚시 참여활동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 A Study on the Effect of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ies on Anger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5584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y on their anger and aggressiveness. The research subject include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and Gyeongnam, and investigated difference in anger and aggressivenes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fishi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of anger and aggressivenes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shing activit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from inexperienced group in fishing showed higher anger suppression,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physical attack, and anger than the experienced group. Secondly,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fishing, the inexperienced group and experienced group of less than 2 years showed higher anger suppression and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than the experienced group of more than 2 years, and physical attack and anger were higher for the inexperienced group than the experienced group of more than 2 years. Thirdly, for correlation between anger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y, it was identified that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adjustment,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physical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ger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adjustme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above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e you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shing activities of it was research tha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seen that a positive effect on the aggression and anger.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 the anger and aggression of youth in the simple compariso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is subsequent study, should research is carried out for the previous and emotional changes after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the youth of fishing activities.
      번역하기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y on their anger and aggressiveness. The research subject include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and Gyeongnam, and investigated difference in anger a...

      This study was intend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y on their anger and aggressiveness. The research subject included middle school students from Busan and Gyeongnam, and investigated difference in anger and aggressiveness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 in fishing. The results of correlation of anger and aggressiveness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fishing activity are as follows. First, adolescents from inexperienced group in fishing showed higher anger suppression,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physical attack, and anger than the experienced group. Secondly, depending on the participation experience in fishing, the inexperienced group and experienced group of less than 2 years showed higher anger suppression and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than the experienced group of more than 2 years, and physical attack and anger were higher for the inexperienced group than the experienced group of more than 2 years. Thirdly, for correlation between anger and aggression of adolescents who are participating in fishing activity, it was identified that hostility towards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adjustment,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physical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ger has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adjustment, nega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and anger suppression, and verbal aggression has positive relationship with anger expression. Through the above conclusion, participation in the youth junior high school students of the fishing activities of it was research tha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seen that a positive effect on the aggression and anger. However, there is a limit to explain the anger and aggression of youth in the simple compariso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This subsequent study, should research is carried out for the previous and emotional changes after participation participation in the youth of fishing activitie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낚시 참여활동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부산, 경남 소재 중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낚시경험 유무와 낚시경력에 따른 분노 및 공격성의 차이 그리고 낚시활동 참여 학생들의 분노와 공격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낚시참여유무에 따라 분노의 분노억제와 공격성의 적대감, 신체적공격, 분노감에서 무경험집단이 유경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낚시참여경력에 따라 분노의 분노억제와 공격성의 적대감 무경험과 2년미만 집단이 2년이상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신체적공격과 분노감은 무경험집단이 2년이상 집단보다 더 높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낚시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분노와 공격성간의 상관관계는 공격성의 적대감은 분노의 분노조절,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신체적공격성은 분노의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분노감은 분노의 분노조절과 부적상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언어적공격성은 분노의 분노표출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청소년인 중학생들의 낚시활동 참여가 분노와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였다. 그러나 참가자와 비참가자 단순비교로 청소년들의 분노와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낚시활동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번역하기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낚시 참여활동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부산, 경남 소재 중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낚시경험 유무와 낚시경력에 따른 분노 및 공격성의 차...

      이 연구는 청소년들의 낚시 참여활동이 분노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부산, 경남 소재 중학생 49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낚시경험 유무와 낚시경력에 따른 분노 및 공격성의 차이 그리고 낚시활동 참여 학생들의 분노와 공격성간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의 낚시참여유무에 따라 분노의 분노억제와 공격성의 적대감, 신체적공격, 분노감에서 무경험집단이 유경험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낚시참여경력에 따라 분노의 분노억제와 공격성의 적대감 무경험과 2년미만 집단이 2년이상 집단보다 더 높게 나타났으며, 공격성의 신체적공격과 분노감은 무경험집단이 2년이상 집단보다 더 높게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낚시활동에 참여하는 청소년의 분노와 공격성간의 상관관계는 공격성의 적대감은 분노의 분노조절,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신체적공격성은 분노의 분노표출,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분노감은 분노의 분노조절과 부적상관, 분노표출과 분노억제와 정적상관, 언어적공격성은 분노의 분노표출과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통해 청소년인 중학생들의 낚시활동 참여가 분노와 공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는 의미있는 연구였다. 그러나 참가자와 비참가자 단순비교로 청소년들의 분노와 공격성을 설명하는데 한계점이 있었다. 이에 후속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낚시활동 참여 전과 참여 후의 정서적 변화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겸구, "한국판STEXI척도개발" 2 (2): 60-78, 1997

      2 김성옥, "학원과 클럽 축구 선수들의 스트레스, 자기존중감 공격성, 사회성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103-118, 2007

      3 김경숙,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체육의 연계현황 및 발전" 대경북스 2004

      4 이건우, "체육계열 수험생의 입시스트레스와 탈진, 분노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507-519, 2011

      5 정원아, "청소년의 분노 수준과 분노 표현 양식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남행웅, "청소년의 방과 후 자율체육활동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35-45, 2010

      7 채유경, "청소년 분노 표현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8 김동경,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동기와 학교생활적응 및 교육성취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011-1027, 2011

      9 소원석, "정서지능이 청소년의 공격성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서수균,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809-826, 2002

      1 전겸구, "한국판STEXI척도개발" 2 (2): 60-78, 1997

      2 김성옥, "학원과 클럽 축구 선수들의 스트레스, 자기존중감 공격성, 사회성의 관계"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103-118, 2007

      3 김경숙, "학교체육과 지역사회 체육의 연계현황 및 발전" 대경북스 2004

      4 이건우, "체육계열 수험생의 입시스트레스와 탈진, 분노 및 우울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507-519, 2011

      5 정원아, "청소년의 분노 수준과 분노 표현 양식에 따른 우울 및 공격성"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6 남행웅, "청소년의 방과 후 자율체육활동과 분노표현양식의 관계" 한국운동재활학회 6 (6): 35-45, 2010

      7 채유경, "청소년 분노 표현방식의 모델 및 조절효과 검증"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1

      8 김동경, "중학생의 방과 후 체육활동 참여동기와 학교생활적응 및 교육성취의 관계" 한국체육과학회 20 (20): 1011-1027, 2011

      9 소원석, "정서지능이 청소년의 공격성과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10 서수균, "자존감 및 자기애 성향과 공격성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809-826, 2002

      11 김석일, "여가스포츠 참여자의 상향비교가 상태분노와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50 (50): 225-237, 2011

      12 정인석, "신청소년심리학" 대왕사 1988

      13 이현옥, "스포츠의 공격성에 대한 사회생물학적 고찰"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0

      14 유광욱, "스포츠 참여에 따른 학교폭력과 기분상태" 한국스포츠심리학회 18 (18): 93-108, 2007

      15 심동천, "스포츠 참가자 청소년의 비행에 미치는 영향"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6 김계욱, "스포츠 수행과 공격성" 22 (22): 275-293, 1998

      17 임종호, "생활체육 참가자의 분노표현 양식이 대인관계 성향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21 (21): 529-542, 2012

      18 채화정, "비행청소년의 스포츠 프로그램 중재가 자아통제력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9 김성일, "방과후 체육활동 참가 중학생의 몰입경험과 자존감 및 공격성의 관계" 한국스포츠학회 10 (10): 135-148, 2012

      20 이상대, "방과 후 체육활동이 직업전문학교 문제학생들의 정신건강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코칭능력개발원 9 (9): 137-145, 2007

      21 김은숙, "방과 후 스포츠활동 참여가 남자 중학생들의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운동학회 16 (16): 53-61, 2014

      22 김동철, "남자 중학생의 스포츠활동 양상에 따른 언어적·신체적 공격성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23 김선아, "교과 외 체육활동이 중학생의 분노 및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미간행" 이화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24 정태연, "공격성 지각에 대한 대인관계적 분석: 가해집단과 피해집단을 중심으로" 13 (13): 79-98, 2000

      25 지삼업, "고등학생의 해양스포츠 활동과 사회성 발달에관한 연구" 한국수산해양교육학회 18 (18): 329-340, 2006

      26 김인형, "고등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가 운동지속의사에 미치는 영향" 교과교육연구소 14 (14): 379-396, 2010

      27 Buss, A. H., "The Aggressin Questionnare" 63 (63): 452-459, 1992

      28 "KOISIS 국가통계포털의 학교폭력 처분결과"

      29 Elleson, A., "Human Relations" Perntice Hall Inc 1982

      30 Spielberger, C. D., "Health psychology: Individual differences and stress" Springer-Verlag 89-108, 1985

      31 Ornstein, P. H., "Conceptualization and treatment of rage in self psychology" 55 : 275-282, 1999

      32 Deffenbacher, J. L., "Cognitive-behavioral conceptualization amd treatment of anger" 55 : 295-309, 199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34 2.47 2.766 0.5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