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글로벌리즘과 한국현대미술의 동시대성 = Contemporaneity and the Global Context of Contemporary Korean Art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36306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impact of globalisation and the evolvement of post-colonial theory have created an urgent need to acknowledge and address art produced in the areas beyond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of the present in these are...

      The impact of globalisation and the evolvement of post-colonial theory have created an urgent need to acknowledge and address art produced in the areas beyond North America and Western Europe. The socio-political conditions of the present in these areas vary widely, which result diverse and plural art practice that requires anapproach contextualised and specific, rather than formalist or universal. These formerly marginalised yet emerging centres of contemporary art often have complex and disrupted relationship to the history of modernity, which poses a challenge and ambiguity in understanding their present.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contempornaneity of histories from around the world with a temporal encasing of historical narratives, in order to develop a lateral trajectory that is capable of incorporating the spatial dimension of the contemporary. Ruptures and discordances are inherent in such a trajectory and the very notion of linear history is questioned, envisioning time as a multiplicity.
      In this sense, ‘the contemporary’ itself can be understood as a rupture in periodisation, being a period its distinctive nature undermines the notion of coherent history. The art of the new era, what we call contemporary art, embraces not only the perceptual modes required by art of the previous decades but also socio-political reformation of hegemonic orders. Not merely the art contemporaneous to our time, contemporary art involves new modes of understanding temporal and spatial conditions of the contemporary.
      Perceived as a critical site of multiplicity of geographical expansiveness and historical depth, global contemporary art can promote cultural differentiation and heterogeneity, which were largely absent from modernist discourse. Key shifts include the emergence of new forms of political power and modes of subjectivity that encourages a radical reconsideration of a paradigmatic change without recourse to dominant and pervading discursive models. Cultural difference and inclusivity provide the legitimate potential for global contemporary art, which is carefully distant from a residing sense of neo-colonialism or marginalisation but in anticipation for an alternative system that could realise a more just visibility of the former peripheries of modern art.
      I aim to understand the present not as the end of history but as representation, which bears the contradictions of contemporary experience as well as the ambivalence and unpredictability of the present. My approach is bound with the specific place of Korea and the specific time of the present, but it is not in tended to view contemporary art as a mere reflection of a specific moment. Rather, I am interested in identifying multiple points of historical connection that question linearity and didactic contextualisation. Addressing temporal and spatial paradigms of contemporaneity is particularly crucial in understanding contemporary Korean art, for its trajectory is intertwined and interconnected with the history of art beyond Korea whiles pecific to its own local histor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한국의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미술이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같은 다양한 분야의 특정한 전개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

      한국의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는 데 있어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점은 미술이 역사적,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맥락 같은 다양한 분야의 특정한 전개와 연관되어 있다는 것이다. 한국의 근현대사가 한편으로는 세계의 역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한국만의 특수한 미적, 문화적 성장의 배경에 바탕을 두고 있다는 점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특히 한국 동시대 미술은 신자유주의(neo-liberalism)와 글로벌화(globalisation)라는 광범위한 범주, 세계 전체를 엄청나게 빠른 속도와 범위로 재구성하고 있는 역사적 맥락을 고려할 때 비로소 완전히 이해될 수 있다. 이런 점에서 이 글은 비확정적인(indeterminate) 동시에 특정적인(specific), 또한 세계 전체에 대한 것이면서도(global) 동시에 특정 지역에 대한 것인(local), ‘동시대성’의 맥락 속에서 한국의 동시대 미술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라고 할 수 있겠다.
      글로벌리즘 속의 동시대 미술이 지리적 확장과 역사적 깊이가 지닌 ‘다중성의 비평적 공간(critical site of multiplicity)’이 되면서, 이는 모더니즘의 담론에 부재했던 문화적 차이와 이질성 개념을 강조할 수 있는 대안으로 인식되기도 한다. 중요한 변화의 요소로는 새로운 형태의 정치적 권력의 등장, 새로운 주체성(subjectivity)의 모델 등을 들 수 있고, 이런 요소들은 지배적인 기존 담론 체계에 의존하지 않는 패러다임의 변화 같은 혁신적인 사고를 가능하게 한다. 문화적 차이와 포용성은 신자유주의 감수성 및 주변화로부터 조심스럽게 거리를 유지하는 반면 근대 미술의 주변지였던 영역들이 더욱 정당하게 가시성을 확보할 수 있는 대안적 시스템을 기대할 수 있게 한다.
      한국의 동시대 미술에 대한 담론은 새로운 역사를 창조한다는 문제에 관련되기보다는 ‘역사가 되어 가고 있는(history in becoming)’ 현재에 대한 이해와 결부되어 있다. 이 글을 통해 한국 미술의 특정한 장소성과 현재라는 시간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이런 특수성의 이해가 특정 순간의 단순한 투영(reflection)이 아닌, 단선적이고 교조적인 맥락화를 의문시할 수 있는 다중적인 역사적 연결점(counterpoints)들과 연관된 것임을 밝히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Hanhardt, John, "The Worlds of Nam June Paik"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00

      2 Mitter, Partha, "The Triumph of Modernism: India’s Artists and Avant-Garde, 1922-1947"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 Filipovic, Elena, "The Biennial Reader" Hatje Cantz & Bergen Kunsthall 2010

      4 Aug, Marc, "The Anthology of Contemporaneous World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5 Mitter, "Partha‘Questionnaire on “The Contemporary”" 130 : 3-124, 2009

      6 Hanhardt, John, "Nam June Paik"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1982

      7 Lee, Sook-Kyung, "Nam June Paik" Tate Publishing & Hatje Cantz 2010

      8 Clark, John, "Modern Asian A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9 Berger, Peter L., "Many Globalisations: Cultural Diversity in the Contemporary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 Inaga, Shigemi, "Is Art History Globalizable, In Is Art History Global" Routledge Chapman & Hall 2007

      1 Hanhardt, John, "The Worlds of Nam June Paik" Solomon R. Guggenheim Museum 2000

      2 Mitter, Partha, "The Triumph of Modernism: India’s Artists and Avant-Garde, 1922-1947"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3 Filipovic, Elena, "The Biennial Reader" Hatje Cantz & Bergen Kunsthall 2010

      4 Aug, Marc, "The Anthology of Contemporaneous Worlds" Stanford University Press 1999

      5 Mitter, "Partha‘Questionnaire on “The Contemporary”" 130 : 3-124, 2009

      6 Hanhardt, John, "Nam June Paik" Whitney Museum of American Art 1982

      7 Lee, Sook-Kyung, "Nam June Paik" Tate Publishing & Hatje Cantz 2010

      8 Clark, John, "Modern Asian Art" University of Hawaii Press 1998

      9 Berger, Peter L., "Many Globalisations: Cultural Diversity in the Contemporary World"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0 Inaga, Shigemi, "Is Art History Globalizable, In Is Art History Global" Routledge Chapman & Hall 2007

      11 Canclini, Nestor Garcia, "Hybrid Cultures: Strategies for Entering and Leaving Modernity" University of Minnesota 1995

      12 Hardt, Michael, "Empire,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2000

      13 Appadurai, Arjun, "Disjunctures and Difference in the Global Cultural Economy, In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96

      14 Smith, Terry, "Contemporary Art and Contemporaneity" University of Chicago 32 (32): 681-707, 2006

      15 Elkin, James, "Art and Globalization, University Park" Pennsylvenia State University 2010

      16 Elkins, James, "Art History Global" Routledge Chapman & Hall 2007

      17 Smith, Terry, "Antinomies of Art and Culture: Modernity, Postmodernity, Contemporaneity" Duke University Press 200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12-30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Misulsahakbo(Reviews on the Art History) -> Korean Bulletin of Art History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4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2 1.04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