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6.25전쟁과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 : 이승만 정부의 인식과 대응을 중심으로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6.25전쟁에 참전하려던 재일동포들에 대해 이승만 정부가 어떻게 대처했는지, 그리고 의용병으로 참전한 그들에게 발생한 문제를 이승만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 살펴보고자 ...

      본 연구는 6.25전쟁에 참전하려던 재일동포들에 대해 이승만 정부가 어떻게 대처했는지, 그리고 의용병으로 참전한 그들에게 발생한 문제를 이승만이 어떻게 해결하려고 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1950년 전쟁 발발 당시 일부 우파 재일동포들은 조국 상실에 대한 위기감으로 참전을 결심했고, 실제로 642명이 의용병으로 참전하게 됐다. 재일동포 의용병 참전에 대해 당시 이승만 정부는 소극적인 태도를 보였다가 국제연합군 요청에 응해 그들의 참전을 허락했다. 그런데 그렇게 참전하게된 의용병은 충분한 대우를 받지 못했을 뿐만 아니라 제대 후 일본에 돌아가지 못하는 상황에 처했다. 결국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 중 265명만이 일본에 돌아가게 됐고, 나머지는 전사 또는 실종되거나 한국에 홀로 남게 되었다. 이승만 정부는 그들이 처한 문제에 대처하려고 시도했으나 냉전구조 아래서 충분하고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했다. 전쟁 중 진행된 샌프란시스코 대일 강화조약의 체결과 식민지에 뿌리를 가진 한일 간의 특수한 관계는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을 둘러싼 문제를 더욱더 복잡하게 만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Korean government dealt with Korean volunteers from Japan in the Korean War, and how President Rhee Syngman’s governmen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d. When the war broke out on 25 June 1950, some right-win...

      This article will examine how the Korean government dealt with Korean volunteers from Japan in the Korean War, and how President Rhee Syngman’s government tried to solve the problems they faced. When the war broke out on 25 June 1950, some right-wing Koreans in Japan decided to participate in the war for fear of losing their nation. 642 people actually joined the war as military volunteers. President Rhee was ambivalent about their participation but allowed them to enlist at the request of United Nations Command. But the Korean volunteers were not treated well and many of them were unable to return to Japan after the war. In the end, only 265 were sent back to Japan; the rest stayed in South Korea while leaving their families in Japan. Rhee’s government attempted to negotiate with the U.S. and Japan in order to deal with the problem of the Korean volunteers, but it did not have enough bargaining power under the structure of the Cold War. The signing of the San Francisco Peace Treaty with Japan during the war and the special relationship between the ROK and Japan, which had its roots in Japanese colonial rule, have further complicated the issue surrounding the Korean volunte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재일동포 의용병의 모집과 참전
      • Ⅲ.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에 대한 이승만 정부의 인식과 대처
      • Ⅳ. 결론
      • 참고문헌
      • Ⅰ. 서론
      • Ⅱ. 재일동포 의용병의 모집과 참전
      • Ⅲ. 재일동포 참전 의용병에 대한 이승만 정부의 인식과 대처
      • Ⅳ.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박갑룡, "호남지역 학도의용군 활약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25-736, 2018

      2 김명섭, "한국전쟁이 냉전체제의 구성에 미친 영향"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15-133, 2003

      3 육군본부, "한국전쟁시 學徒義勇軍" 육군본부 1994

      4 임영언, "한국전쟁 당시 학도의용군 활약과 국가보훈 선양사업 연구" 한국보훈학회 17 (17): 9-34, 2018

      5 국무총리비서실, "단기 4284년 6월 19일, 제71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보고철(제1회-101회)」"

      6 총무처, "단기 4284년 5월 11일, 제59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제1회-129회)」"

      7 총무처, "단기 4284년 3월 27일, 제42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제1회-129회)」"

      8 강노향(姜鷺鄕), "논・픽션 駐日代表部" 東亞PR硏究所出版部 1966

      9 이내주, "나라사랑 국가수호정신" 국가보훈처 2005

      10 국회사무처, "국회임시회의속기록 제10회-제52호, 단기 4284년 3월 27일"

      1 박갑룡, "호남지역 학도의용군 활약에 관한 연구"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9 (9): 725-736, 2018

      2 김명섭, "한국전쟁이 냉전체제의 구성에 미친 영향" 한국국제정치학회 43 (43): 115-133, 2003

      3 육군본부, "한국전쟁시 學徒義勇軍" 육군본부 1994

      4 임영언, "한국전쟁 당시 학도의용군 활약과 국가보훈 선양사업 연구" 한국보훈학회 17 (17): 9-34, 2018

      5 국무총리비서실, "단기 4284년 6월 19일, 제71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보고철(제1회-101회)」"

      6 총무처, "단기 4284년 5월 11일, 제59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제1회-129회)」"

      7 총무처, "단기 4284년 3월 27일, 제42회 국무회의록 「국무회의록(제1회-129회)」"

      8 강노향(姜鷺鄕), "논・픽션 駐日代表部" 東亞PR硏究所出版部 1966

      9 이내주, "나라사랑 국가수호정신" 국가보훈처 2005

      10 국회사무처, "국회임시회의속기록 제10회-제52호, 단기 4284년 3월 27일"

      11 최찬동, "국군 작전지휘권 이양의 법적 문제점" 3 : 2002

      12 김용주(金龍周), "風雪時代 八十年 : 나의 回顧錄" 新紀元社 1984

      13 김현수, "韓日會談에 있어 韓國政府의 在日朝鮮人認識" 한일민족문제학회 (19) : 193-234, 2010

      14 金東祚, "韓日の和解 : 日韓交渉14年の記録" サイマル出版会 1993

      15 국방군사연구소(國防軍史硏究所), "韓國戰爭支援史 : 人事・軍需・民事支援" 國防軍史硏究所 1997

      16 서울신문 특별취재팀, "韓國 外交秘錄" 서울신문사 1984

      17 閔智焄, "韓国政府の在日コリアン政策[1945-1960] : 包摂と排除のはざまで" クレイン 2019

      18 대통령기록관, "韓人 惡質分子 送還 及 其他에 關한 件"

      19 朴慶植, "解放後在日朝鮮人運動史" 三一書房 1989

      20 朴炳憲, "私が歩んだ道" 新幹社 2011

      21 중앙일본사(中央日報社), "民族의 證言 : 韓國戰爭 實錄, 제2권" 乙酉文化社 1972

      22 민단30년사편찬위원회(民團30年史編纂委員會), "民團30年史" 在日本大韓民国居留民團 1977

      23 和田春樹, "朝鮮戦争全史" 岩波書店 2002

      24 笹本征男, "朝鮮戦争と日本" 新幹社 2006

      25 崔徳孝, "朝鮮半島と日本の同時代史: 東アジア地域共生を展望して" 日本経済評論社 2005

      26 李瑜煥, "日本の中の三十八度線 : 民団・朝総連の歴史と現実" 洋々社 1980

      27 김태기, "戰後日本政治と在日朝鮮人問題" 勁草書房 1997

      28 대통령기록관, "居留民 追放에 關한 件"

      29 西村秀樹, "大阪で闘った朝鮮戦争 : 吹田枚方事件の青春群像" 岩波書店 2004

      30 金賛汀, "在日義勇兵帰還せず : 朝鮮戦争秘史" 岩波書店 2007

      31 朴慶植, "在日朝鮮人関係資料集成 : 戦後編, 第3巻" 不二出版 2000

      32 文京洙, "在日朝鮮人問題の起源" クレイン 2007

      33 森田芳夫, "在日朝鮮人処遇の推移と現状" 法務研修所 43 (43): 1955

      34 재일학도의용군동지회(在日學徒義勇軍同志會), "在日同胞 6. 25戰爭 參戰史" 在日學徒義勇軍同志會 2002

      35 大沼保昭, "単一民族社会の神話を超えて : 在日韓国人·朝鮮人と出入国管理体制" 東信堂 1986

      36 대통령기록관, "前參事官 及 韓人共産黨 騷動에 關한 件"

      37 "《동아일보》 1954년 4월 21일, 2면"

      38 "《경향신문》 1954년 10월 31일, 3면"

      39 "《韓日新報》 1950년 7월 16일. 1, 2면"

      40 "‘대통령이 김용주 공사에게 보낸 전문.’ 단기 4283년 7월 16일"

      41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6・25전쟁 학도의용군"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2012

      42 리, 프란체스카 도너(Francesca Donner Rhee), "6・25와 이승만 : 프란체스 카의 난중일기" 기파랑 2010

      43 남상선(南相瑄), "6. 25와 學徒兵 : 3사단학도의용군편" 혜선문화사 1974

      44 손경호, "6 · 25 전쟁기 인천지구 학도의용군의 조직과 활동" 국방부군사편찬연구소 (87) : 25-51, 201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20-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아세아문제연구소 -> 아세아문제연구원
      영문명 : Asiatic Research Center -> Asiatic Research Institute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10-1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亞細亞 硏究 -> 아세아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The Journal of Asiatic Studie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6 0.76 0.6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4 0.56 1.013 0.16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