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적 : 급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이 발달함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예후를 예측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CD34 항원은 조혈 전구세포의 표지자...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0273539
부산 :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2003
한국어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 ; CD34 항원 ; CD34 antigen ; AML
부산
24p : 삽도 ; 26cm
지도교수 :임영탁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급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이 발달함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예후를 예측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CD34 항원은 조혈 전구세포의 표지자...
목적 : 급성골수성백혈병에 대한 항암화학요법이 발달함에 따라 치료에 대한 반응이나 예후를 예측하여 치료 방법을 결정하고자 하는 노력이 있어 왔다. CD34 항원은 조혈 전구세포의 표지자로서 급성골수성백혈병의 불량한 예후인자로 알려져 있으나 근래에는 예후와 무관하다는 보고도 있어 논란이 있는 상태이다. 저자들은 소아의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CD34 항원의 발현에 따른 임상적 특징과 생존율 등을 조사하여 CD34 항원이 예후 예측인자로 고려될 수 있는지를 조사하였다.
방법 : 1996년 1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부산대학교 병원 소아과에 입원하여 골수 흡입 및 생검상 급성골수성백혈병으로 확진된 환아 중 관해유도화학요법을 시행받고 1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했던 21례를 대상으로 하였다. CD34 항원을 포함한 면역표현형 검사는 단클론 항체를 이용하여 직접 면역 형광법으로 염색을 하여 유세포기로 분석하였다. CD34 항원 발현 유무에 따라 진단 당시 나이를 포함한 임상적 특징, 진단 당시 백혈구수 등의 검사 소견, 치료 반응 및 생존률을 비교하였다.
결과 : 1) 대상 환아의 69.1%(16/23)에서 CD34 항원이 발현되었으며, CD34 항원 발현 유무에 따른 성별, 진단시 연령, 혈액학적 소견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2) FAB 분류와 염색체 이상은 양군간에 의의있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CD34 항원이 양성인 환자에서 M2 아형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t(8:21)을 보이는 핵형이 43.7%(7/16)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3) CD34 항원 양성군의 완전관해율은 68.7%(11/16), 음성군의 완전관해율은 80%(4/5)로 CD34 항원 음성군에서 완전관해율이 약간 높았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4) CD34 항원 양성군에서는 11명 중 6명이 재발하여 55%의 재발율을 보였으나 음성군에서는 4명 중 1명이 재발하여 25%의 재발율을 보였으나 양군간에 통계학적인 의의는 없었다. 5) CD34 항원 음성군의 완전관해기간은 35.0±8.0개월로서 양성군의 26.8±7.5개월에 비하여 약간 길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6) 양군간에 무질병 생존률 및 전체 생존율은 의의있는 차이가 없었다.
결론 :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에서 CD34 항원은 약 70%의 환아에서 발현되며 CD34 항원 양성 유무는 소아 급성골수성백혈병의 전체 예후와는 큰 관련이 없는 것으로 생각되나 더 많은 증례를 통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ropose : Prognostic factors are useful to choose the most appopriate therapy for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Previous data suggested that CD34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factor in AML. But this still remain controversal. We re...
Propose : Prognostic factors are useful to choose the most appopriate therapy for patients with acute leukemia. Previous data suggested that CD34 expression may be associated with poor prognosis factor in AML. But this still remain controversal. We retrospectiv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CD34 expression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outcome in 21 childhood patients with AML.
Methods : Twenty-one child patients with AML at the Department of Pediatrics in Pusa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between January 1996 and December 2002 were included. Expression of CD34 antigen on the leukemic blasts was analyzed by flow cytometry using indirect immunofluorescence method. Samples were considered positive when more than 20% of cells were labeled. We compared the clinical features, laboratory findings and survival rates of CD34+ AML with those of CD34- AML.
Result : CD34 was positive in 69.1% of patients with AML.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linical characteristics, laboratory finding and survival rate between the CD34+ and CD34- groups. The patients with CD34+ frequently had M2 subtype and cytogenetic abnormality of t(8:21) which is considered as a favorable factor in AML.
Conclusion : This shows that there is no significant clinical and prognostic implication of CD34 expression in childhood AML.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