덕의 획득 과정에서 도덕 감정을 중시하는 맹자의 도덕적 센티멘탈리즘적 입장은 의(義)를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첫째, 맹자는 사덕의 하나인 의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미움(惡)...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덕의 획득 과정에서 도덕 감정을 중시하는 맹자의 도덕적 센티멘탈리즘적 입장은 의(義)를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첫째, 맹자는 사덕의 하나인 의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미움(惡)...
덕의 획득 과정에서 도덕 감정을 중시하는 맹자의 도덕적 센티멘탈리즘적 입장은 의(義)를 정당화하는 과정에서 잘 나타난다. 첫째, 맹자는 사덕의 하나인 의를 획득하는 과정에서 미움(惡)이나 분노(怒)와 같은 부정적 도덕 감정이 요구된다고 본다. 왜냐하면 의로운 행위를 하기 위해서는 불의에 대해 비판해야 하는데, 부정적 도덕 감정이 그러한 역할을 담당하기 때문이다. 둘째, 도덕적 미움이 나쁜 품성을 가진 타인의 인격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라면, 도덕적 분노는 타인의 나쁜 행위에 대한 부정적 감정이다. 맹자는 도덕적 미움과 분노를 통해 상대의 불의를 비판함으로써 대장부의 큰 용기(大勇) 및 호연지기를 기를 수 있다고 본다. 셋째, 맹자의 도덕 감정은 타고난 직관에서 그 단초를 찾을 수 있다. 맹자는 도덕 감정을 가능케 하는 타고난 직관을 양능(良能)이나 양지(良知)라고 부르며, 해제지동(孩提之童)과 적자(赤子)의 마음에 이미 그러한 능력이 갖추어져 있다고 말한다. 사단에서 보듯이, 맹자가 제시한 타고난 직관으로서 도덕 감정은 신체를 통해서 즉흥적으로 드러나는 정동(情動, affect)에서도 확인 가능하다. 넷째, 맹자는 타고난 도덕적 직관으로서 정동이 사려(思), 뜻(志), 권(權) 등과 같은 후천적 의식 활동을 통해 더욱 분명한 형태의 도덕감정으로 고양된다고 본다. 타고난 도덕 감정은 후천적 사려를 통해 분명한 형태로 붙잡아 보존할 수 있지만(操存), 그렇지 않고 방치할 경우에는 잃게 된다. 마지막으로, 도덕적 미움과 분노의 감정이 인(仁)의 덕목을 해치게 될 경우에는 적절하게 제약되어야 한다. 이러한 맹자의 입장은 인이 다른 덕들을 포괄한다는 인포사덕설(仁包四德說)로서 정리할 수 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essay, I clarify the role of negative moral emotions to attain the virtue of righteousness by analyzing Mengzi’s moral sentimentalism, which states that our moral cognition can be traced back to inborn emotions of the four sprouts (si duan ...
In this essay, I clarify the role of negative moral emotions to attain the virtue of righteousness by analyzing Mengzi’s moral sentimentalism, which states that our moral cognition can be traced back to inborn emotions of the four sprouts (si duan 四端). For Mengzi, the negative moral emotions of shame and hate, which are among the four sprouts, imply the virtue of righteousness. The negative moral emotion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of righteous knowledge and practice. The virtuous cognition can be confirmed with moral emotion so long as the negative moral emotion implies righteousness. While righteousness can be practiced with the negative emotion, benevolence ensures the affirmative emotion of love and gratitude. In case of a collision between righteousness and benevolence, the practice of negative emotion should be limited to harmonize with benevolence because the latter is considered more valuable than the former. Mengzi thinks that righteousness is a virtue to be coordinated with benevolence so that we can maximize the goodness of life. Consequently, the negative moral emotion of hate and resentment should be practiced within the limitation of unified virtues.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2 이상선, "맹자의 신체개념과 호연지기(浩然之氣)" 한국동서철학회 (64) : 103-127, 2012
3 정용환,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새한철학회 66 (66): 135-164, 2011
4 김현선, "맹자에서 감정의 문제" 철학연구소 20 : 71-107, 2010
5 뚜 웨이밍,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 1999
6 정용환, "도덕 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맹자의 고자 의외설 비판" 새한철학회 69 (69): 485-509, 2012
7 朱熹, "經書(大學章句․論語集注․孟子集注․中庸章句)"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8 전병욱, "仁과 恕: 욕망의 호혜적 공감능력-孟子의 욕망관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41) : 1-34, 2010
9 서대원, "『孟子』革命論 考察 ― 그 구조와 함의 ―" 한국동양철학회 (35) : 265-298, 2011
10 Ben-Ze’ev, Aaron, "The Subtlety of Emotions" MIT Press 2001
1 칸트, "실천이성비판" 아카넷 2002
2 이상선, "맹자의 신체개념과 호연지기(浩然之氣)" 한국동서철학회 (64) : 103-127, 2012
3 정용환, "맹자의 도덕 감정론에서 부끄러움의 의미" 새한철학회 66 (66): 135-164, 2011
4 김현선, "맹자에서 감정의 문제" 철학연구소 20 : 71-107, 2010
5 뚜 웨이밍, "뚜 웨이밍의 유학 강의" 청계 1999
6 정용환, "도덕 지식의 주관적 정당화 조건: 맹자의 고자 의외설 비판" 새한철학회 69 (69): 485-509, 2012
7 朱熹, "經書(大學章句․論語集注․孟子集注․中庸章句)"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71
8 전병욱, "仁과 恕: 욕망의 호혜적 공감능력-孟子의 욕망관을 중심으로-" 철학연구소 (41) : 1-34, 2010
9 서대원, "『孟子』革命論 考察 ― 그 구조와 함의 ―" 한국동양철학회 (35) : 265-298, 2011
10 Ben-Ze’ev, Aaron, "The Subtlety of Emotions" MIT Press 2001
11 Slote, Michael, "The Ethics of Care and Empathy" Routledge 2007
12 Prinz, Jesse J., "The Emotional Construction of Morals" Oxford University Press 2007
13 Prinz, Jesse J, "The Emotional Basis of Moral Judgments" 9 (9): 2006
14 Nichols, Shaun, "Sentimental Rules"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15 Liu, Xiusheng, "Menzian Internalism, In Essays on the Moral Philosophy of Mengzi" Hackett 101-131, 2002
16 Perkins, Franklin, "Mencius, Emotion and Autonomy" 29 : 2002
칸트, 〈교수취임논문〉에서의 사유 활동과 구상력(KrV A100)의 필연성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6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4-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 ![]() |
2002-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75 | 0.75 | 0.68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68 | 0.68 | 1.432 | 0.3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