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5916750

      • 저자
      • 발행사항

        청주 : 충북대학교, 2021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충북대학교 , 교육학가 교육심리 및 상담전공 , 2021. 8

      • 발행연도

        2021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KDC

        372.61 판사항(5)

      • 발행국(도시)

        충청북도

      • 기타서명

        Narrative Inquiry About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Educational Counseling Major in Graduate School

      • 형태사항

        xii, 270p. : 삽화, 표 ; 26cm

      • 일반주기명

        충북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됩니다
        지도교수:이종연
        참고문헌 : p. 254-270

      • UCI식별코드

        I804:43009-000000055843

      • 소장기관
        • 충북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자인 나는 자전적 내러티...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기 위하여 내러티브 탐구를 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먼저 연구자인 나는 자전적 내러티브를 통해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면서 대학원에서 교육상담 전공을 선택하게 된 동기와 교육상담을 공부하면서 겪게 되는 다양한 경험을 진술하고, 이 경험들이 초등학교 교사로 재직하는 데 미친 영향에 대해 개인적인 서사를 구성하였다. 다음으로 이러한 연구자의 경험이 대학원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하는 다른 초등학교 교사들에게도 나타나는 현상인지에 대한 궁금증에서 비롯된 세 가지 연구퍼즐을 구성하였다. 세 개의 연구퍼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어떻게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을 선택하고, 석사학위를 마치고 박사학위 과정까지 수학하는 경험을 지속하는 것인가?; 둘째, 교육상담 전공 경험은 초등학교 교사에게 개인적 삶의 3차원적 내러티브 공간에서 어떻게 조망되고, 어떤 의미를 형성하는가?; 셋째, 초등학교 교사에게 교육상담 전공 경험은 그들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쳤으며, 나아가 사회적 관계나 교사의 전문성 발달 측면에서 어떤 의미가 있는가?
      이러한 퍼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의 이론적 배경에서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교사가 되는 과정의 자격과정과 교사가 된 후의 전문성 발달 및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교사론적 측면에서 이상적 교사의 자질에 대한 선행연구이론을 탐색하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고 그 한계가 무엇인지를 밝히며, 본 연구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5가지 이유로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방법을 실시하였다. 첫째, 내러티브 탐구의 특성은 본 연구의 연구퍼즐에 대한 궁금증을 해결하는 데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둘째, 수집된 자료의 해석과 분석을 통해 의미를 도출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는 적합한 연구방법이 될 수 있다. 셋째, 연구자인 나와 연구참여자의 상호작용을 통해 자료가 수집되고 해석되는 과정에서 내러티브 탐구는 협력적 관계를 형성하도록 함으로써 공동의 연구 결과물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기존의 연구, 선행연구 및 시대적 변화와 관련하여 교육상담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에 대한 이해와 의미를 도출하는 데 있어서, 내러티브 탐구는 새로운 시각에서 교육상담을 전공한 초등학교 교사의 경험을 바라보도록 도울 것이다. 다섯째, 도출된 경험의 의미로부터 교사의 교육전문성으로 연장하여 의미를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설계된 내러티브 탐구 연구절차는 7단계(자서전적 내러티브 기술, 연구퍼즐 구성, 연구참여자 선정 및 관계 형성, 현장텍스트 수집, 연구텍스트 변환 및 분석, 분석자료 교류 및 검토, 연구 결론 도출)로 진행되었다.
      본 연구의 진행을 위해, 초등학교 교사이면서 교육상담 석사와 박사과정을 수료하거나 졸업한 3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이들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해 면담하여 수집한 자료를 ‘Ⅳ장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이야기’로 현장텍스트로 기술하였다. 면담을 통해 수집된 현장텍스트 자료를 토대로 연구제목, 연구목적, 연구퍼즐을 다시 검토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연구자는 현장텍스트를 내러티브 탐구의 세 가지 축인 시간성, 공간(장소)성, 사회성을 기준으로 연구텍스트로 변환하기 위한 중간텍스트로 가공하였다. 연구자는 시간의 순으로 텍스트를 재기술하고, 공간(장소)성과 사회성이 드러나는 이야기들을 중요한 사건으로 채택한 후, 세 연구참여자인 A, B, C선생님의 이야기를 시간 순으로 정리하여, 연구퍼즐의 궁금증을 해소하기 위한 그들의 경험의 이야기를 담아낼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기술된 세 연구참여자의 내러티브는 ‘Ⅴ장 논의’에서 연구자에 의해 본격적으로 해석되고 분석되었다. 현장텍스트로부터 재구성된 중간텍스트인 Ⅳ장의 내용을 다양한 근거자료를 토대로 해석하고 분석하여 연구텍스트를 제시하였다. 먼저, 세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는 내러티브의 세 가지 축의 관점에서 잘 진술되고 있는지 재고찰하였다. 이후 연구퍼즐의 관점과 선행연구 및 이론의 관점에 기초하여 해석하고 분석하였다. 연구퍼즐의 관점에서 연구의 목적과 주제에의 적합성을 파악하고, 연구의 시작지점에서 발생한 궁금증에 대한 답변을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특히,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들의 내러티브를 선행 연구들, 교사론 및 교육학, 심리상담 이론과 연계하여 해석하고 분석함으로써, 연구의 객관성과 신뢰성을 확보하려고 노력하였고,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구체적으로 찾고자 하였다.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의미를 세 가지 차원에서 ‘개인적 의미’, ‘실제적 의미’, ‘사회적 의미’로 분류하여 도출하였다. 첫 번째 차원인 ‘개인적 의미’는 3가지(①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와 성장, ②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③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로 도출되고, 이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두 번째 차원인 ‘실제적 의미’는 5가지(①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②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③배움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④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⑤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로 도출되고, 이 연구의 실제적 정당성에 대해 기술하였다. 세 번째 차원인 ‘사회적 의미’는 2가지(①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에 대한 시사점, ②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수에 대한 시사점)로 도출된 후 사회적 정당성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교육상담 석사와 박사과정 전체의 경험을 다룬 국내 연구가 없는 상황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살아 온 이야기를 바탕으로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을 내러티브 탐구로 실시한 점, 세 연구참여자의 삶을 통해 초등학교 교사의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동기와 시작, 전공을 하는 과정과 전공 이후의 삶에 대해 구체적 사례를 통해 의미를 발견하고자 한 점에서 중요한 의의가 있다. 이 연구는 초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수행되었는데, 앞으로 중등학교 교사를 대상을 확대해 같은 연구방법으로 해보거나, 내러티브 탐구 외의 다른 질적연구 방법를 통한 연구,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의 향후의 삶에 대한 지속적 연구의 필요성을 후속연구로 제안하였다. 또한, 교육학에서의 내러티브 탐구가 더욱 확장되어 교육현장의 다양한 이야기를 학술적으로 들려주며 많은 논의가 진행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연구를 마쳤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I as a researcher first expressly stated, throu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duct narrative inquiry to understand in-dep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To accomplish this purpose, in this study I as a researcher first expressly stated, through an autobiographical narrative, the motivation for selecting the education counseling major in a graduate school while ser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 various experiences going through while studying the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and the overall impact these experiences had on serving as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and thereby my personal narrative of influence was constructed. Next, three research puzzles were constructed out of my curiosity about whether such experiences of mine is a common phenomenon that other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who major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The three research puzzles are as follows: First, how do elementary school teachers select to major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and continue to major in Ph.D. course after obtaining master's degrees?; Second, how d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look a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and what do the experiences mean to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the three-dimensional narrative space of their personal lives?; And third, what did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mpact on their lives, and what did their experiences impact to their social relationships or professional development?
      To solve these puzzles,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the qualification process to be an elementary school teacher in Korea and in-service training programs for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explored. Next, previous educational theories concerning the qualities of the ideal teacher were carefully examined, the previous research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f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were reviewed, and the limitations of the studies were raised, and the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This study was conducted using narrative inquiry for the following five compelling reasons. First, the nature of narrative inquiry are expected to help satisfy the curiosity about the research puzzle of this study. Second, narrative inquiry can be an appropriate research method to elicit meaning through interpretation and analyses of the collected data. Third, in the process of data collection and interpret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I as a researcher and research participants, narrative inquiry allowed to produce collaborative research findings through building and sharing the experiences in the relationships. Fourth, in extracting the meanings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connection with previous research studies about teacher education and educational counseling maior, narrative exploration will help explore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from a new perspective. Fifth, the meaning can be understood by extending the meaning of the elicited experience to suggestions for the teacher's educational expertise. The narrative inquiry research procedure designed in this study was conducted in 7 steps(autobiographical narrative description, research puzzle composition, research participant selection and relationship formation, field text collection, research text conversion and analyses, exchange and review of th data analyzed, and research conclusions).
      In this study, thre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have completed or graduated from both the master's and doctoral courses in educational counseling were selected as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 data collected by interviewing them about their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were reconstructed in 'Chapter IV'. Through the process of reviewing research titles, research objectives, and research puzzles based on field text data collected through interviews, the researchers processed field text as an intermediate text to be converted into research text based on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temporality, place, and sociality. The researchers re-described the text in chronological order, adopting stories that reveal place and sociality as significant events, and structured the stories of three research participants, A, B, and C, in chronological order to capture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to solve research puzzles.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scribed in this wa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earnestly by researchers in ‘Chapter V, Discussions’. The contents of Chapter IV as an intermediate text reconstructed from field texts,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various corroborative evidence to present a research text. First of all, the narratives of the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considered as to whether they were well stated in terms of the three dimensional narrative inquiry space. Afterwards, they were interpreted and analyz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research puzzle and the perspective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ies. From the standpoint of the research puzzle, I left no avenue unexplored to understand the suitability of the purpose and topic of the study, and to find answers to the puzzles which was brought up at the beginning of the study. In particular, I endeavored to decipher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By interpreting and analyzing the narratives of research participants in connection with previous studies, teacher theory and pedagogy, and psychological counseling theory, efforts were made to secur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of the research, an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ir experiences in detail.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education counseling major experience was elicited by categorizing them into ‘personal meaning', ‘practical meaning', and ’social meaning' in three dimensions. The first dimension, ‘personal meaning', is derived as three(① healing and growth through self-exploration and self-understanding, ②Moving on to a new learning, career, or task, ③rethinking the relationship, living together), and the personal justification for the study was adequately described. The second dimension of ‘practical meaning’ is derived as five (①teachers who practice educational consideration and respect, ②teachers who reflect on themselves, ③teachers who realize learning communities, ④teachers who practice creative living guidance, ⑤teachers who co-exist through true encounter), and was described what practical justifications do these meanings have in this study. The third dimension, ‘social meaning’, was derived from two (① implications for graduate school education counseling major, ② implications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then the social justification was described.
      This study takes on a special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this study as a narrative inquiry were conducted o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s on majoring in education counseling in graduate based on the stories of the participants, while there were no domestic previous studies that addressed their entire experience on majoring in the master's and doctoral programs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order to explore the meaning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sonal underlying motivations to start to study for majoring in educational counseling in graduate school, their experiences on taking the courses and the changes in their lives going through the experiences of participants through narrative inquiry about their specific personal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further studies are suggested that the research participants will be expanded to secondary school teachers using the same research method, or research through other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other than narrative inquiry, and a follow-up study was proposed the necessity of continuous research on the future life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Finally, this study was put an end in the hope that more studies using narrative inquiry would be conducted in education field so that various stories in the educational field could be unfold and discussed academicall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 내러티브의 시작 1
      • 1) 교육상담 박사과정을 수료하며 1
      • 2) 교육상담 전공 과정에서 살아가기 3
      • 3) 교육상담 전공을 통한 나의 삶의 변화 5
      • Ⅰ. 서론 1
      • 1. 내러티브의 시작 1
      • 1) 교육상담 박사과정을 수료하며 1
      • 2) 교육상담 전공 과정에서 살아가기 3
      • 3) 교육상담 전공을 통한 나의 삶의 변화 5
      • 2. 연구의 필요성 19
      • 3. 연구퍼즐 23
      • Ⅱ. 이론적 배경 26
      • 1. 초등학교 교사되기 26
      • 1) 초등학교 교사의 자격 과정 26
      • 2) 초등학교 교사의 전문성 발달 27
      • 3) 초등학교 교사의 역할 29
      • 2. 이상적 초등학교 교사의 자질 30
      • 1) Schön의 반성적 실천가(reflective-practitioner)인 교사 31
      • 2) Rorty의 불확실성을 넘어서는 교사 33
      • 3) Noddings의 배려를 인식하는 교사 36
      • 4) Manen의 교육학적으로 사려 깊은 교사 38
      • 5) Adler의 배움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40
      • 3.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 44
      • 1) 교육상담의 개념 46
      • 2) 교육상담의 성격 47
      • 3)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 개관 50
      • 4. 내러티브 탐구 55
      • 1) 내러티브 탐구의 개념과 성격 55
      • 2) 내러티브 탐구의 절차 60
      • 3) 내러티브 탐구의 한계 62
      • Ⅲ. 연구방법 64
      • 1. 내러티브 탐구의 설계 64
      • 2. 내러티브 탐구의 실행 68
      • 1) 자서전적 내러티브 기술 69
      • 2) 연구퍼즐 구성 70
      • 3) 연구참여자 선정 및 관계 형성 70
      • 4) 현장텍스트 수집 71
      • 5) 연구텍스트 변환 및 분석 73
      • 6) 분석자료 교류 및 검토 75
      • 7) 연구 결론 도출 76
      • 3. 연구참여자 78
      • 4. 연구의 정당성 80
      • 5. 연구의 윤리성 82
      • Ⅳ.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이야기 84
      • 1. A선생님의 이야기 85
      • 1) 가족들의 암시와 교직생활의 어려움으로부터 85
      • 2) 공부의 행복감을 통해 변화를 이끄는 삶으로 90
      • 3) 나의 성장은 가족, 교직으로 퍼져나가며 93
      • 2. B선생님의 이야기 98
      • 1) 나에게 소중했던 공부와 인연이 함께하며 98
      • 2) 함께하면서, 나의 존재에게로 105
      • 3) 자신의 성장과 성찰은 평생 공부로 이어지며 109
      • 3. C선생님의 이야기 112
      • 1) 운명처럼 만나, 새로운 삶의 출발점에 서서 112
      • 2) 탈출구이자 살아갈 수 있는 힘이 되어 119
      • 3) 교육자이자 학자의 삶으로 124
      • Ⅴ. 논의 133
      • 1.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개인적 의미’ 133
      • 1) 자기탐색과 자기이해를 통한 치유와 성장 133
      • 2) 새로운 배움, 진로, 과업으로 나아가기 145
      • 3) 관계를 다시 바라보고, 함께 살아가며 155
      • 4) 본 연구의 ‘개인적 정당성’ 162
      • 2.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실제적 의미’ 166
      • 1) 교육적 배려와 존중을 실천하는 교사 166
      • 2) 자신을 성찰하는 교사 175
      • 3) 배움공동체를 실현하는 교사 183
      • 4) 창의적 생활지도를 실천하는 교사 197
      • 5) 진정한 만남으로 존재하는 교사 210
      • 6) 본 연구의 ‘실제적 정당성’ 219
      • 3. 교육상담 전공 경험의 ‘사회적 의미’ 227
      • 1) 대학원 교육상담 전공과정에 대한 시사점 228
      • 2) 예비교사 교육과 현직교사 연수에 대한 시사점 233
      • 3) 본 연구의 ‘사회적 정당성’ 240
      • Ⅵ. 결론 244
      • 1. 연구의 의의 244
      • 2. 연구의 제언 248
      • 3. 연구를 끝마치며 249
      • 참고문헌 254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강은교, "숲", 시, 1977

      2 박성희, "진정성", 서울: 학지사, 2011

      3 안도현, "애기똥풀", 시, 1997

      4 백경숙, 홍성훈, 한용기, 최윤희, 전재선, "교육심리학", 파주: 양서원, 2014

      5 권인탁, 최태식, 유평 수, 온기찬, 송재홍, 박승배, 박세훈, 노상우, 김천기, 김인홍, 김근곤, "교육학개론", 파주: 양서원, 2013

      6 강선보, "만남의 교육", 서울: 양서원, 1992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2019

      8 유치환, "생명의 서(書)", 서울: 행문사, 1939

      9 김은주, 하은혜, 최윤경, 이순묵, 박영숙, 박기환, "최신심리평가", 서울 : 하나의학사, 2010

      10 박인우, 허형, 이용남, 이성호, 윤정일, 박철홍, "新敎育의 理解", 서울: 학지사, 2002

      1 강은교, "숲", 시, 1977

      2 박성희, "진정성", 서울: 학지사, 2011

      3 안도현, "애기똥풀", 시, 1997

      4 백경숙, 홍성훈, 한용기, 최윤희, 전재선, "교육심리학", 파주: 양서원, 2014

      5 권인탁, 최태식, 유평 수, 온기찬, 송재홍, 박승배, 박세훈, 노상우, 김천기, 김인홍, 김근곤, "교육학개론", 파주: 양서원, 2013

      6 강선보, "만남의 교육", 서울: 양서원, 1992

      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2019

      8 유치환, "생명의 서(書)", 서울: 행문사, 1939

      9 김은주, 하은혜, 최윤경, 이순묵, 박영숙, 박기환, "최신심리평가", 서울 : 하나의학사, 2010

      10 박인우, 허형, 이용남, 이성호, 윤정일, 박철홍, "新敎育의 理解", 서울: 학지사, 2002

      11 이성진, "교육심리학서설", 서울: 교육과학사, 2003

      12 김미경, "김미경의 드림온", 쌤앤파커서: 서울, 2013

      13 권정현, 박성희, "신사임당과 상담", 서울: 학지사, 2015

      14 강현석, 조동섭, 이희수, 손 은령, 성기선, 박철홍, 박인우, 박병기, 김성열, 김석우, "현대 교육학개론", 서울: 학지사, 2013

      15 박아청, "교육심리학의 이해", 서울: 교육과학사, 2002

      16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2004

      17 교육부, 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분석자료집", Retrieved from https://kess.kedi.re.kr/index, 2012

      18 고미숙, "배려윤리와 배려교육", 한국교육학연구, 10(2), 37-62, 2004

      19 김계현, 천성문, 남상인, 김혜숙, 김창대, 김봉환, 김동일, "학교상담과 생활지도", 서울: 학지사, 2009

      20 김선경, 안도현, "초등교사 소진의 유형", 상담학연구, 2015-16(5), 305-321, 2015

      21 조용환, "질적 연구와 질적 교육.", 교육인류학연구, 7(2), 55-75, 2004

      22 內山喜久雄(우찌야마 기꾸오), "敎育相談學. (김남성 역)", 서울: 교육과학사, 2000

      23 강성우, 황세영, 조용훈, 정정 인, 정재찬, 이혁규, 엄훈, 심영택, 신지혜, 나귀수, 김향정, 김남수, "수업비평의 이론과 실제", 서울: 교육공동체벗, 2014

      24 박지웅, 이준호, "5G와 AI가 만들 새로운 세상", 고양: 갈라북스, 2019

      25 최미정, "교사 창의성의 의미와 과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7(1), 431-447, 2007

      26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에 대한 이해.",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3(1), 5-21, 2015

      27 박인기, "서사(Narrative)의 교육적 작용",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1), 7-34, 2020

      28 박성희, "담임이 이끌어 가는 학급상담", 서울: 학지사, 2006

      29 수영, 전성민, "삶은 속도가 아니라 방향이다", 서울: 루이앤휴잇, 2013

      30 성태제, "현대 기초통계학: 이해와 적용", 서울 : 학지사, 2014

      31 박민정, "「내러티브와 교육학의 만남」",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1(1), 25-50, 2013

      32 김진희, 장미영, 이선희, 유기홍, 박영덕, "수업비평, 교실에서 해답 찾 기", 서울: 교육과학사, 2014

      33 홍정순, "진정성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 치료, 29(1), 129-158, 2017

      34 김경자, 최진영, 장신호, 이경진, "초등학교 교사의 핵심역량 탐색", 한국 교육학연구, 15(3), 103-130, 2009

      35 서경혜, "교사 연구의 새로운 가능성 탐색", 교사교육연구, 58(3), 413-426, 2019

      36 佐藤学(사토마나부), "아이들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박찬영 역), 서 울: 살림터 (원서출판 2010), 2011

      37 김규태, "교사 정체성 이론과 쟁점 및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5(3), 491-521, 2018

      38 최문혁, "교사가 되기 전에는 몰랐습니다만", 서울: 푸른향기, 2020

      39 신혜은, 최경숙, "아동발달에 대한 진화 발달적 관점", 한국아동학회지, 26(5), 185-204, 2005

      40 백승관, "현행 교원양성체제의 구조와 문제점", 연세교육연구, 7(1), 116-117, 1994

      41 박지애, "국내 교사연구 동향에 관한 메타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서울, 2012

      42 Ginott, H. G., "교사와 학생 사이 Between Teacher and Child.", (신홍 민 역) 서울: 양철북. (원서출판 1972)., 2003

      43 도종환,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시, 2007

      44 홍영숙, "‘관계적 탐구’로서의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2019-5(1), 81-107, 2019

      45 이재용, 이종연, "초등교사의 자기성찰에 대한 체험분석", 교원교육, 31(2), 219-241, 2015

      46 김남수, 이현명, 이혁규, 심영택, "교사의 자기연구(Self-Study) 필요성 탐 색", 교육문화연구, 18(2), 5-43, 2012

      47 조화태, "로티의 신실용주의 철학과 교육론 연구", 교육철학, 23, 101-130, 2000

      48 김인규, 조남정, 이미현, "상담전공 학부생의 교육과정 경험 연구", 상담학 연구, 16(3), 303-324, 2015

      49 이정숙, 전숙영, "아동의 대인관계 개선 프로그램의 개발", 한국가정관리 학회지, 19(5), 15-32, 2001

      50 김수동, "홀리스틱 교육에서 배려의 적용 가능성",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12(2), 1-16, 2008

      51 권동택, "교육대학원 교사 재교육 기능 발전 방안", 초등교과교육연구, 2014(20), 1-16, 2014

      52 김필성, "내러티브 탐구 과정의 의미에 대한 고찰",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7(2), 53-71, 2019

      53 최지영, "미래 교사교육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교육심리연구, 29(4), 677-698, 2015

      54 신창호, "배려(caring)의 동양적 의미와 교육적 함의", 한국교육학연구, 7(1-2), 27-43, 2001

      55 최인철, "굿 라이프: 내 삶을 바꾸는 심리학의 지혜", 서울: 21세기북스, 2018

      56 황정훈, "학교폭력 처리과정에 대한 교사경험 분석", 교사교육연구, 53(2), 289-303, 2014

      57 노진아, "교사들의 연구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 학원 석사학위 논문. 서울, 2008

      58 이동윤, "나딩스 교육론의 사상적 배경에 관한 연구", 교육연구논총, 40(3), 83-101, 2019

      59 김재식, "V. Manen의 교육학적 태도의 도덕교육적 함의", 초등도덕교육, 42(1), 27-52, 2013

      60 김순희, "교사의 반성적 수업 실천을 위한 방안 탐색", 한국교원교육연구, 26(2), 101-121, 2009

      61 권현수,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과정의 발전방향", 한국교원교육연구, 24(2), 287-311, 2007

      62 유재봉, 임정연, "배려교육론 연구 : 자유교육론의 대안 탐색", 교육과정평 가연구, 11(2), 1-21, 2008

      63 김성길, "“배움”공동체의 가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미래교육학연구, 17(2), 15-33, 2004

      64 김진한, "교육적 만남의 본질과 진정한 가르침의 의미", 교양교육연구 소 논문집, 1(4), 43-55, 1999

      65 김태선, 한수진, 이지연, "상담전공 교사가 지각한 학교 상담의 어려움", 상담학연구, 2013-14(2), 1309-1326, 2013

      66 조영재, "초등 초임교사 교직적응곤란 영향 요인 분석", 한국초등교육학회, 28(1), 133-157, 2015

      67 곽향림, "교실공동체를 지원하는 구성주의 교사의 위치", 유아교육연구, 28(4), 289-312, 2008

      68 임정완,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교육과정 비교 연구", 영어교과교육, 9(1), 155-178, 2010

      69 강현경, 전안나, 이현주, 김준호, "한득재 회복적 생활교육으로 학급을 운영하다", 서울: 교육과 실천, 2019

      70 김병찬,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운영 현황 분석 연구", 敎育行政學硏 究, 33(1), 25-54, 2015

      71 Ayers, W., "가르친다는 것 To Teach. (홍한별 역) 서울: 양철북", (원 서출판 2010), 2012

      72 서제희, "미술교사의 성장 체험에 관한 자전적 성찰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4

      73 Combs, G., Freedman, J., "이야기 치료 The Social Construction of Prefrred Realities.", (김유숙, 전영주, 정혜정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9), 2009

      74 정광순, "한 교사의 열림교육 체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열린교육연구, 12(1), 1-23, 2004

      75 한일조, "민주사회와 교육에 대한 로티(Richard Rorty)의 비전", 교육철학, 31, 179-194, 2007

      76 서경혜, "교사학습공동체 집단전문성 개발을 위한 한 접근", 서울: 학지사, 2015

      77 채정관, "교원의 석 박사 학위 취득과 교장 전문성의 관계.",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3

      78 이재용, "초등교사의 자기성찰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충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청주, 2016

      79 이정윤, 이경아, "초등학생의 학교적응과 관련된 개인 및 가족요인", 한국 심리학회지 : 상담 및 심리치료, 16(2), 261-276, 2004

      80 이슬기, "초등학생이 인식하는 ‘배려하는 교사’의 특성.",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4

      81 백상수, 오정숙, "특수교육 전공 대학원생의 협력교수에 관한 인식", 특수 교육저널:이론과 실천, 11(3), 583-612, 2010

      82 서유진, "특수교육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및 운영방법 분석", 初等敎育硏 究, 29(2), 273-283, 2018

      83 박성희, "동화로 열어가는 상담이야기: 수용과 공감의 지혜", 서울: 아너북스, 2010

      84 고미숙, "메를로-퐁티의 살 존재론을 통한 배려교육의 이해", 도덕윤리과 교육, 29(1), 151-180, 2009

      85 강지연, 황채운, 유성경, 박지아, "상담전공 대학원 석사과정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10(3), 1359-1382, 2009

      86 염승광, 최지은, "한국 중국 초등학교 교사의 창의적 교수행동 비교", 영재 와 영재교육, 14(1), 305-326, 2015

      87 이주형, 임현주, "체육전공 대학원생의 연구 학습윤리교육 사례연구", 한국 스포츠학회지, 17(2), 551-563, 2019

      88 이종현, "초등교사의 발달 지향적 자기 평가 도구 개발 연구", 한국교원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청주, 2004

      89 김만의, "반성적 실천을 통한 초등교사의 체육수업 개선연구", 초등교육연구 논총, 18(3), 61-88, 2003

      90 김수진, "비자살적 자해의 시작과 중단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숙명여 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6

      91 정순중, "인간관계 개선을 위한 감수성 훈련의 치료요인 연구", 학생생활 상담, 17, 55-70, 1998

      92 김민오, "초등학교 교사의 수업전문성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서울교 육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18

      93 김진희, 최원준, 심준석, "내러티브를 활용한 수업비평: 교사 배움 공동체 사례", 중등교육연구, 58(3), 333-355, 2010

      94 민병성, "도농간 학교교육 격차의 근본 원인과 해소 방안 탐색", 교육연 구, 20(1). 77-97, 2006

      95 구리나, "로티의 철학에 함의된 교육관 고찰: 대화로서의 교육", 도덕교육 연구, 28(1), 133-155, 2016

      96 계희수, 윤은주, "유아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프로젝트 학습경험 연구", 한 국유아교육학회 정기학술대회논문집, 2016(1), 634-644, 2016

      97 김종우, "국내 대학원 실과교육전공 박사과정의 교육과정 분석", 학습자중 심교과교육연구, 17(4), 356-374, 2017

      98 박경애, 방기연,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교사들의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상담학연구, 2007-8(3), 1185-1204, 2007

      99 서상문, "교육에서 내러티브의 가치와 성격에 대한 철학적 탐구", 내러티 브와 교육연구, 1(1), 97-115, 2013

      100 박보현, "대학원 다문화교육전공 교육과정 현황 분석 및 시사점", 國語敎 育學硏究, 47, 225-252, 2013

      101 홍선주,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과정 실행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내러티 브와 교육연구, 8(1), 189-212, 2020

      102 홍영숙, "‘내러티브 탐구’ 이해 및 논문작성 세미나 특강 자료", 충북대학교 연구방법세미나 내러티브탐구 원데이 워크숍, 2019

      103 정광순, "교육적인 것의 의미 고찰 – van Manen의 해명을 중심으로", 통 합교육과정연구, 10(1), 79-100, 2016

      104 한혜준, "뮤지엄교육 전공 초등교사의 사전 사후학습 인식 연구.", 서울 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7

      105 박병기, 최한희, 이종욱, "부모양육방식과 자녀발달특성의 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아동교육, 21(4), 275-296, 2012

      106 김예실, 이희경, "상담 과정에서 상담자의 진정성 경험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상담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32(2), 609-638, 2020

      107 송유진, "보육교사교육원에서의 교수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배재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전, 2013

      108 최유현, "초등 실과교육 전공 대학원 교육과정 연구: 진단과 처방", 科學 敎育論叢, 16, 287-310, 2004

      109 박세원, "교사의 교육활동에서 내러티브 탐구 과정이 가지는 의미", 교육인 류학연구, 10(1), 37-62, 2007

      110 강기수, 현교종,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적 만남’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인격교육, 7(3), 163-187, 2013

      111 한민서, "문화예술교육사들의 예술교육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연구", 문화 예술교육연구, 16(2), 39-66, 2021

      112 강진아, "초등학교 교사 연수 체험에서 드러난 교사 자율성의 구조", 교육 인류학연구, 21(1), 303-340, 2018

      113 주성희,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석사논문의 주제유형 분류 조사", 학습 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 961-976, 2016

      114 박분경, "Richard Rorty 철학에 근거한 영화의 교육적 활용가능성 탐 색.", 경성대학교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부산, 2015

      115 김은정, 이상수, "배려와 존중이 공동체 구축을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개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6), 235-261, 2017

      116 김경순, "상담 전공 여부가 교사의 공감 및 의사소통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10

      117 문성윤, "초등학교 신규교사들의 도덕과 수업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초 등도덕교육, 16(58), 227-255, 2017

      118 이정희, "초등학교 원로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관한 해석학적 탐구", 초등 상담연구, 7(1), 111-133, 2008

      119 강희종, 박정순, 김재춘,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교과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과학연구, 41(1), 65-96, 2010

      120 김미영, "교육행정의 불확실성에 대한 공동체적 대응과 자율성 확보.",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서울, 2007

      121 박은주, "마을교육공등체 참여 교사들의 활동 경험에 대한 의미 탐구", 내러티브와 교육연구, 8(2), 35-58, 2020

      122 최상희, "유치원 교사의 자기성찰지능 및 전문성발달의 경향 및 관계", 영 유아교육:이론과 실천, 3(1), 55-71, 2018

      123 권정현, 김은혜, "초등학생의 자기성찰 신장을 위한 다산 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초등상담교육학회, 18(4), 481-508, 2019

      124 서윤희, "교육과정 재구성 경험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내러티브 탐 구", 학 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1(7), 801-820, 2021

      125 권석만, "현대심리치료와 상담이론 : 마음의 치유와 성장으로 가는 길", 서울: 학지사, 2017

      126 유정애, 진연경, "교육대학원 체육계열전공 재교육과정 분석 및 재구조화 방안", 한국여성체육학회지, 32(1), 17-34, 2018

      127 김명찬, 김옥희, "상담대학원생의 ‘배움 경험’에 대한 협력적 자문화 기술지", 질적탐구, 2017-3(2), 271-297, 2017

      128 岸見一郎(기시미 이치로), "아들러의 심리육아: 아이들을 키우면서 경 험하고 배운 것들.", (김현정 역) 서울: 스타북스 (원서출판 2010), 2019

      129 김재춘, 박정순, "초등학교 초임교사의 생활지도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적 탐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7(1), 95-120, 2010

      130 Du Sautoy.M, "창조력 코드 The Creativity Code: How AI is Learning to Write, Paint and Think.", (박유진 역), 서울: 북라이프 (원서출판 2019), 2020

      131 정인석, "트랜스퍼스널 심리학 동서예지의 통합과 자기초월의 패러다임", 서울: 대왕사, 2009

      132 박영숙, 황은희, 허은정, "교직 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혁 신 이슈와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5(1), 165-188, 2018

      133 강지현, 임은미, 김지현, 김인규, "대학생의 개인상담 성과 및 성과 요인에 대한 합의적 질적 연구", 상담학연구, 21(1), 1-22, 2020

      134 이종향, "아동기 왕따 경험과 그 회복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러티브 탐구.", 한국기독교상담학회지, 30(2), 225-262, 2019

      135 한치원, "초등예비교사, 현장교사 ‘현장실습 강화, 임용시험 개선하라’", 에듀인뉴스. Retrieved from http://www.eduin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15853, 2019

      136 이현정, 정대현, "마르틴 부저의 ‘만남’의 사상을 통해 바라본 숲의 교육적 의미", 문화예술교육연구, 15(3), 93-112, 2020

      137 홍우림, "초등교사를 중심으로 본 교사 전문성의 형성과 발달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서울, 2012

      138 박알뜨리, 이정인, 이신혜, "교사가 인식하는 연구자로서의 교사와 연구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사교육연구. 57(1), 129-143, 2018

      139 박은주, "교사정체성에 관한 철학적 접근: 존재론적 정체성의 시론적 탐 색", 한국교원교육연구, 35(4), 71-94, 2018

      140 박승민, 이미정, "상담수련과정에서 상담자의 자기 발달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상담학연구, 16(1), 1-29, 2015

      141 연부옥, "상담전공교사와 비전공교사간의 초등학교 상담활동 및 인식 비교.",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02

      142 임재연, "학생이 경험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처 관련 교사역량에 관한 연 구",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4(2), 181-208, 2017

      143 김은하, "상담전공 학부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치료적 요인 분석", 한국웰니스학회지, 11(2), 245-256, 2016

      144 정란희, "체육전공담임교사와 일반담임교사의 체육수업만족도에 관한 연구.", 목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목포, 2007

      145 이병진, "초등교육의 재개념화; 기조강연; 초등교육의 재개념화에 대한 요구", 한국초등교육학회, 2004, 5-15, 2004

      146 Bernsen, M., 오연호, "행복한 나라 덴마크의 교사들은 어떻게 가 르치는가: 삶을 위한 수업", 서울: 오마이북, 2020

      147 김진희, 최원준, "현장 실천가 의미: 수업 연구를 위한 교사와 연구자의 내러티브 탐구",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2(2), 1-22, 2005

      148 강병숙,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대학원생의 인식", 교육논총, 33(2), 29-53, 2013

      149 박대원, "리처드 로티의 신실용주의적 실천철학: 자율성과 연대성을 중심으로.",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대구, 2012

      150 김경희, 임은미, "상담전공 대학원생이 수업 중 집단상담에서 경험한 자 기성장의 의미", 상담학연구, 2014-15(1), 195-215, 2014

      151 황혜영, "셀프 연구 방법(Self-study)을 이용한 초등교원 인성교육 연수자 료 개발", 한국초등연구, 26(4), 459-476, 2015

      152 소연희, "초등교사가 지각한 학교조직 환경, 그릿과 핵심역량과의 구조적 관계", 교사교육연구, 58(4), 635-650, 2019

      153 Osteen, J., "믿는 대로 된다 긍정의 힘 Your Best Life Now. (정성묵 역), 서울: 긍정의 힘", (원서출판 2004), 2009

      154 이다랑, "아이마음에 상처 주지 않는 습관: 내 아이를 위한 따뜻한 심 리학 공부", 서울: 길벗, 2019

      155 최은실, "학교행정가, 교사, 학부모의 초등학교 전문상담교사에 대한 역할기대.",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부산, 2005

      156 소연희, "중학교 교사의 정서, 교실목표구조 및 창의적 교수행동의 구조 적 관계", 교사교육연구, 56(4), 436-450, 2019

      157 김기섭, 김우석, "체육학전공 대학원생의 연구과정에서의 윤리적 의사결 정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과학회지, 23(4), 221-236, 2014

      158 박지희, "한 초등학교 교사의 미술 수업 전문성 탐구과정에 대한 자문화기 술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주, 2019

      159 조기범,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학생들이 겪는 입학전후 문제점에 관 한 연구", 디지털융복합연구, 15(11), 603-610, 2017

      160 김수연, "무용전공 체육교사의 표현 영역 가르치기 : 현실적 어려움과 해결 노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19

      161 Moorman, C., "지혜로운 교사는 어떻게 말하는가 Teacher Talk. (윤 미나 역), 서울: 한문화", (원서출판 1989), 2013

      162 이윤정, "초등 의생활영역에서의 창의 인성교육을 위한 교사연수 교육과 정 개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4), 111-126, 2013

      163 김미옥, "사회복지학에서의 죽음에 관한 응시와 성찰 – 질적연구방법의 유용성 -", 한국사회복지질적연구, 9(1), 5-28, 2015

      164 김민정, "초등학교 아동 및 학부모의 생활양상과 신체상이 비만도에 미치 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 21(3), 227-235, 2013

      165 이인, 함지선, "교육대학원 체육전공생들의 진로목표와 진로목표 변화에 대한 의미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20), 1339-1356, 2019

      166 권경숙, 황은희, 박정빈, "유치원 교사의 교수몰입과 교수효능감이 창의적 교수행동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연구, 36(3), 333-355, 2016

      167 이동성, "한 교육대학원 교사교육자의 교수적 갈등과 딜레마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질적탐구, 2016-2(1), 1-31, 2016

      168 이한나, "교육과정 지식을 생성하는 교사의 내러티브적 사고과정 탐구를 위한 제안", 통합교육과정연구, 9(2), 71-92, 2015

      169 박윤정, "직면 경험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직면기술의 조건적인 활용 방 안의 제안", 복음과 상담, 26(1), 93-126, 2018

      170 김철, "Buber와 Bollnow의 인간관과 교육관 – 실존적 만남으로서의 교 육을 중심으로", 교육사상연구, 23(3), 149-171, 2009

      171 이채연, "교육대학원 국어교육 전공 교육과정 편성 현황과 정체성 확립을 위한 제언", 國語敎育學硏究, 19, 127-163, 2004

      172 하미용, "장애자녀를 둔 다문화가정 어머니의 가족생활경험에 관한 내 러티브 탐구.",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청주, 2015

      173 장연집, "죽음에 대한 실존적 불안과 고통 완화를 위한 통합적인 심리적 접근가능성", 심리치료, 5(1), 23-41, 2005

      174 조성민, "교사의 반성적 행동이 교수학적 내용 지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 한 사례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01-220, 2009

      175 Earley, J., "상호작용중심의 집단상담: 대인관계적, 행동지향적, 정신 역동적 접근의 통합 Interactive Group Therapy: Integrating, Interpersonal, Action-Orientated, And Psychodynamic Approaches. (김창대, 신희천, 권경 인, 민경화, 강지현, 김수임, 성윤희, 최은실, 황애경, 김태선 역) 서울: 시그 마프레스(주)", (원서출판 2000), 2004

      176 오중근, "체육수업에서 교사의 배려가 학생의 자기통제력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교육학회지, 22(1), 1-13, 2017

      177 윤재홍, "타자 철학의 관점에서 본 Bollnow의 만남의 교육론: 홀리스틱 교육과 관련해서", 홀리스틱교육연구, 12(3), 55-72, 2008

      178 Manen, M. V., "'가르친다는 것'의 의미 The Tone Of Teaching. (정 광순, 김선영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2), 2012

      179 박선민, 양지웅,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8), 259-284, 2019

      180 Casement, A., "분석심리학의 창시자 칼융 Carl Gustav Jung. (박현 순, 이창인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1), 2007

      181 유경훈, "청소년의 가정 교실 환경과 자기효능감 및 학업성취 간의 관계구 조 모형분석", 청소년시설환경, 7(1), 15-25, 2009

      182 이상현, "교사들의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과정에서의 긍정적 경험에 대한 질적 분석.",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수원, 2010

      183 김병극, "내러티브 탐구의 존재론적, 방법론적, 인식론적 입장과 탐구과정에 대한 이해.", 교육인류학연구, 15(3), 1-28, 2012

      184 차희수, "국내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전공 석사학위 논문의 연구동 향과 실태 분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서울, 2006

      185 김지원, "초등학교 입학 초기 아동의 스트레스 및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학교적응의 관계", 가족과 상담, 2(1), 59-76, 2012

      186 감성원, 장유정, 이성은, "Nel Noddings의 배려이론 관점으로 본 학급 문 화 형성자로서 교사의 상징적 지도력", 열린교육연구, 20(3), 1-17, 2012

      187 박선민, "교육대학원에서 상담을 전공하는 기혼여성의 학업 경험에 관 한 내러티브 탐구.",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대구, 2018

      188 최진호, "음악교육전공 대학원생들의 교육학원원 교과과정 운영체제에 대 한 만족도 조사", 음악교육연구, 38, 149-171, 2010

      189 손현동, 이지원, "상담전공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상담의 어려움 유발변인에 관한 질적 연구", 교원교육, 31(4), 1-25, 2015

      190 김윤정, "음악교육전공 석 박사 학위 논문의 연구동향 분석 : 한국교원 대학교를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청주, 2013

      191 김명찬, 이현진, 이현준, "대학생의 자기성찰이 자기주도학습에 미치는 영 향: 멘토링, 학습전략의 매개효과", 열린교육연구, 27(4), 373-391, 2019

      192 이지원, "상담전공 초등학교 교사가 지각한 학교 상담의 어려움 유발변 인에 관한 질적연구.",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광주, 2015

      193 김미호, 정계숙, 배유나, 박수홍, 박상완, 김효정, "초등교사의 심리적 임 파워먼트와 조직문화가 교육공동체 구현역량에 미치는 영향", 학습자중심교 과교육연구, 19(9), 421-443, 2019

      194 Noddings, N., "21세기 교육과 민주주의 Education and Democracy in the 21st Century. (심성보 역), 서울: 살림터", (원서출판 2013), 2016

      195 Pillemer, K., "내가 알고 있는 걸 당신도 알게 된다면 30 LESSON FOR LIVING. (박여진 역), 서울: 토네이도", (원서출판 2011), 2012

      196 김준형, "부모배경에 따른 교육불평등은 심화되었는가?: OECD 5개 국가의 교육불평등 비교 분석", 교육사회학연구, 28(1), 1-34, 2018

      197 김봉환, 김현숙, "성인들의 죽음수용과 삶의 만족도 간의 관계에 서 자기성찰과 의미추구의 매개효과 검증", 인문사회21, 10(5), 43-58, 2019

      198 박수영, "집단상담 참가자가 경험한 ‘직면’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현실역 동집단상담 중심으로",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4), 623-643, 2016

      199 채선기, "십오통활 집단상담에 참여한 이혼가정 남자중학생의 가정생활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질적탐구, 2017-2, 193-220, 2017

      200 유길환, "우리나라 학교교육조직의 상호의존성, 갈등, 신뢰, 교육의 질 구 조에 대한 모델 개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6(2), 105-132, 2008

      201 김은지, 이희경, "초심상담자의 진정성과 작업동맹의 관계에서 자기초점 적 주의와 공감적 이해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9(5), 191-207, 2018

      202 유미현, 정진철, "대학원에서의 영재교육 전공 여부에 따른 영재교사의 전 문성 인식 및 교수효능감 비교 연구", 영재교육연구, 23(5), 751-769, 2013

      203 이지연, "예비영어교사의 평가 전문성 신장 방안: 자기성찰 기반 평가과 업 개발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교사교육연구, 56(2), 107-123, 2017

      204 최국환, "예비특수교사와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일반교사의 장애인에 대한 태도 및 관련변인 연구", 발달장애연구, 16(4), 1-20, 2012

      205 김수경, 정윤경, "학교폭력 피해 자녀를 둔 초등학생 어머니의 학교폭력 피해 처리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한국조형교육학회, 6(1), 43-63, 2014

      206 김용선, "교육경력과 국어전공 여부에 따른 초등교사의 국어과 듣기 말하 기 평가에 대한 인식과 수행.",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공주, 2014

      207 정현미, "웹기반 학습환경 설계전략으로서 공동체접근 탐색 – 공동체기 반 학습환경설계에 관한 소고", 교육공학연구, 19(1), 161-196, 2003

      208 Aries, P., "아동의 탄생 L’enfant et la vie familiale sous l’ancien regime par philippe Aries. (문지영 역), 서울: 샘물결", (원서출판 1973), 2003

      209 정은성, "음악교수법연구: 피아노 교수학과 교육과정에 대한 피아노교수 학 전공 대학원생의 인식 조사", 음악교수법연구, 16, 183-204, 2015

      210 김용, 서시연, "협력과 연계, 땜질식 변화를 넘어 근본 처방으로-초등교원 양성 교육과정의 과제와 개선 방안-", 한국초등교육, 31(2), 221-238, 2020

      211 권민희, "나는 승현이를 ‘교사’로 만났는가? - van Manen의 사유에 비추 어 바라 본 한 교사의 자전적 성찰", 초등교육학연구, 24(2), 1-20, 2017

      212 이재용, "초등교사의 학교폭력 사안처리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상 처와 상실 속에 교사로 존재하기", 교육인류학연구, 2017-20(3), 67-102, 2017

      213 권정현, "초등학교 교사의 교육심리 및 상담 전공 경험에 대한 자전적 내 러티브 탐구 : 성장과 성찰의 삶",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0(14), 437-462, 2020

      214 곽덕주, "로티의 포스트모던적 교육이상인 자유주의적 아이러니스트 (the liberal ironist) 개념에 대한 재고찰", 교육철학, 25, 1-15, 2001

      215 노경주, "초등교사양성교육에 대한 비판적 성찰: 초등 초임교사에 의해 드러난 쟁점(emic issues)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6(3), 343-372, 2019

      216 신언혁, "관계적 인간으로서 만남을 통한 자아인식과 분별력: 신경숙의 ‘풍 금이 있던 자리’를 중심으로", 한국문예비평연구, 1(35), 49-72, 2011

      217 이영신, "현직 교사의 대학원 경험과 의미에 관한 사례 연구: K대학교 교 육행정 전공 대학원생을 중심으로", 지방교육경영, 23(1), 65-93, 2020

      218 Livingston, G., "너무 일찍 나이들어버린, 너무 늦게 깨달아버린 Too Soon Old Too Late Smart. (노혜숙 역), 서울: 리더스북", (원서출판 2004), 2005

      219 최성광, "박사과정을 수행하는 초등학교 30대 남교사들이 갖는 이 상과 현실의 딜레마에 관한 내러티브 탐구", 교육인류학연구, 2014-17, 197-232, 2014

      220 Noddings, N., "배려와 도덕교육 Educating Moral People: A Caring Alternative to Character Education. (고미숙 역), 파주: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02), 2018

      221 홍영숙, "영어 관념의 유동성과 교사정체성의 다중성: 한 초등영어교과전 담교사의 삶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언어학연구, 19(2), 183-206, 2014

      222 연문희, 장석진, "집단상담: 애착이론에 근거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 생의 대인관계 문제 및 능력에 미치는 효과", 상담학연구, 10(4), 2031-2054, 2009

      223 Carnegie, D., "카네기 인간관계론 HOW TO WIN FRIENDS & INFLUENCE PEOPLE by Dale Carnegie. (최염순 역), 서울: 씨앗을 뿌 리는 사람", (원서출판 1936), 2015

      224 염지숙, "교육연구에서 내러티브 탐구(Narrative Inquiry)의 개념, 절차, 그리고 딜레마 : The Concept, Procedure, and Dilemmas", 교육인류학연구, 6(1), 119-140, 2003

      225 김석례, "교직 전문성은 교사들의 삶을 어떻게 조형하는가 : 초등교사의 자기 개발 경험에 관한 내러티브 연구.", 인하대학교 교육학박사학위논문. 인천, 2016

      226 김민주, 황혜진, 장연집, 이영한, 박보람, "미술심리치료학 전공 석사학위 과정 신입생을 통해서 본 대학원 전공선택 준비과정에 관한 체험 연구", 심 리치료: 다학제적 접근, 16(2), 47-65, 2016

      227 강선보, "실제적 교육관에서 본 교사-학생간의 관계본질에 관한 연구-마 르틴 부버의 [만남]의 사상을 중심으로", 한국교육, 10(1), 5-24, 1983

      228 김하연, "대안적 교사교육 접근으로서 반성적 실천주의가 갖는 함의 탐색 – 교사의 인성교육적 자질을 중심으로", 교육연구, 65(1), 197-225, 2016

      229 Adler, A., "아들러의 인간이해 – 세 가지 키워드로 읽는 아들러 심 리학 Menschenkenntnis. (홍혜경 역), 서울: 을유문화사", (원서출판 1928), 2016

      230 Manen, M. V., "체험연구: 해석학적 현상학의 인간과학 연구방법론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신경림, 안규남 역) 서울: 동녘", (원서출판 1990), 1994

      231 Burns, G. W., "마음에게 들려주는 101가지 이야기 101Healing Stories: Using Metaphors in Therapy. (김춘경, 배선윤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1), 2010

      232 Hill, C. E., "상담의 기술: 탐색-통찰-실행의 과정 Helping Skills: Facilitating Exploration, Insight, and Action. (주은선 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09), 2012

      233 Adler, A., "인생에 지지 않을 용기 Alfred Adler Jinsei Ni Kakumei Ga Okiru 100 No Kotoba. (오구라히로시 해설, 박미정 역), 서울: (주)미래엔", (원서출판 2014), 2014

      234 배상훈, 한송이, "혁신적 학교풍토가 교사의 직무열의와 창의적 직무수행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 중등단계 직업교육기관을 중심으로", 직업교 육연구, 35(3), 70-96, 2016

      235 Mercogliano, C., "길들여지는 아이들 – 내면의 야성을 살리는 길 In Defence of Childhood_Protecting Kids’ Inner Wildness. (오필선 역), 서울: 민들레", (원서출판 2007), 2014

      236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의 이해와 실천 Engaging in Narrative Inquiry. (염지숙, 강현석, 박세원, 조덕주, 조인숙 공역) 서울: 교 육과학사", (원서출판 2013), 2016

      237 임경진, "초등미술교육전공 경험이 초등교사의 미술교육 전문성에 미 치는 영향 :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한국교원대학 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청주, 2013

      238 한인기, "교육대학원 수학교육전공의 강좌 운영 –논문목록집의 활용 및 논문 찾기를 통한 석사 논문 준비의 실제적 도움을 중심으로-", 수학교육프 로시딩, 39, 53-54, 2007

      239 Finkel, D. L., "침묵으로 가르치기: 학생 스스로 생각하고 배우는 핀 켈교수의 새로운 교수법 Teaching With Your Mouth Shut. (문희경 역), 서울: 다산에듀", (원서출판 2000), 2010

      240 주은선, 현수경, "대학생들의 인간관계 향상에 도움이 되는 수업모형 개 발을 위한 예비연구 : 덕성여자대학교 인간관계심리학 교양과목을 중심으로", 學生生活硏究, 21, 23-41, 2005

      241 김경, 유선아, "유선아 석사과정 파견교사들의 파견제도 인식에 대한 단일 사례 연구 –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초등과학교육전공 석사과정을 중심으로", 청 렴과학교육연구논총, 22(2), 1-17, 2016

      242 김장이, 방병노, 박상환, "김장이, 방병노 자기이해, 자기수용, 자기표현이 타인관점수용과 의사소통역량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서울, 경기도의 한국 대학생을 중심으로 -",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6(7), 410-422, 2016

      243 Lemov, D., "최고의 교사는 어떻게 가르치는가: 교실을 리드하고 학 업 성취도를 높이는 52가지 수업 매뉴얼 Teache Like A CHAMPION. (구정화, 박새롬 역), 서울: 해냄", (원서출판 2010), 2013

      244 도승이, 최권, "초등교사가 지각한 직무환경과 교수효과성 간 관계에서 집단적 교사효능감과 개인적 교사효능감의 매개 효과 - 교직경력별 다중집 단분석의 적용", 열린교육연구, 23(4), 233-154, 2015

      245 Tierno, M., "스토리텔링의 비밀: 아리스토텔레스와 영화 Aristotle's Poetics for Screenwriters: Storytelling Secret from the Greatest Mind in Western Civilization. (김윤철 역), 서울: 아우라", (원서출판 2002), 2008

      246 Creswell, J. W., "질적연구방법론 - 다섯 가지 접근 -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Approach, 3rd Edition. (조흥식, 정선욱, 김진숙, 권지성 공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13), 2015

      247 Clandinin, D. J., "내러티브 탐구를 위한 연구방법론 Handbook of Narrative Inquiry. (강현석, 소경희, 박민정, 박세원, 박창언, 염지숙, 이근 호, 장사형, 조덕주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07), 2018

      248 Clandinin, D. J., Connelly, F. M., "내러티브 탐구: 교육에서의 질적 연구의 경험과 사례 Narrative inquiry : experience and story in qualitative research. (소경희, 강현석, 조덕주, 박민정 공역), 서울: 교육과학사", (원서출판 2000), 2016

      249 Erickson, M. H., "천재 정신과 의사의 마술적인 치료사례와 교훈이 담긴 일 화들: 밀턴에릭슨의 심리치유 수업 My Voice Will Go With You: The Teaching Tales of Milton H. Erickson. (문희경 역) 서울: 에크로스", (원서출판 1982), 2015

      250 Beard, A., "앞서가는 아이들은 어떻게 배우는가: 전 세계 학습혁명 현 장을 찾아 나선 글로벌 탐사기 NATURAL BORN LEARNERS: OUR INCREDIBLE CAPACITY TO LEARN AND HOW WE CAN HARNESS IT. (신동숙 역), 서울: 아날러그", (원서출판 2018), 201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