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전이하는 유아들을 위하여 초등학교 차원에서 어떠한 전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지, 전이프로그램의 효용성 및 실행상 장애요인에 대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전이하는 유아들을 위하여 초등학교 차원에서 어떠한 전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지, 전이프로그램의 효용성 및 실행상 장애요인에 대하...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육기관에서 초등학교로 전이하는 유아들을 위하여 초등학교 차원에서 어떠한 전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는지, 전이프로그램의 효용성 및 실행상 장애요인에 대하여 현직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은 어떠한 인식을 갖고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과 수도권 초등학교 1학년 담임교사 132명을 연구대상으로 조사연구를 한 결과, 대부분의 초등학교가 형식적으로는 하나 이상의 전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었지만 실효성 있는 전이프로그램을 활용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 초등학교 1학년 교사들은 전이프로그램의 도움을 필요로 하는 학생들이 상당수 존재한다는 점을 인식하고 있고 전이프로그램이 성공적인 전이를 도와주는데 유용할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는 점, 거의 대부분의 교사들이 유아-초등교육간 전이이슈(issue)에 관하여 교사교육을 받아 본 사실이 없다는 점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transition programs in us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understand the 1st grade teachers' perspective on the neces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ition programs. The subjects for thi...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ctual transition programs in use in the elementary schools and to understand the 1st grade teachers' perspective on the necessity and the effectiveness of the transition programs.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32 first grade teachers in Seoul and the capital area. The result was as follows: Most of the teachers were utilizing one or more transition practices for the 1st graders, even though the programs were not tested to be effective. The 1st grade teachers knew that a considerable number of children in his/her classroom were in need of transition programs and also believed that the programs will be helpful for the children to have successful adjustment to formal schooling. Mostof the teachers answered that they did not have any education about the crisis which the children in the transition period encounter and effective transition programs to help the children.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지성애, "학부모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17-248, 2010
3 허혜경, "학교학습준비도 개념의 진화와 효과적인 유아-초등교육 전이"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3-98, 2007
4 전다혜,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21, 2009
5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65-85, 2010
6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07-222, 2007
7 장영숙,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23 (23): 113-142, 2002
8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3-308, 2010
9 황혜정, "유초등연계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25-51, 2009
10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1 김미경, "한국의 장애유아를 위한 유아교육기관과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의 모델개발" 한국비교교육학회 14 (14): 243-266, 2004
2 지성애, "학부모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인식과 현황"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4 (14): 217-248, 2010
3 허혜경, "학교학습준비도 개념의 진화와 효과적인 유아-초등교육 전이" 한국교육개발원 34 (34): 73-98, 2007
4 전다혜, "초등학교로의 전이 지원 프로그램이 장애 유아의 학교 준비도와 어머니의 양육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9 (9): 103-121, 2009
5 김해선, "장애유아의 초등학교 전이과정에 대한 부모 인식 조사"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6 (26): 65-85, 2010
6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의 연구 동향"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207-222, 2007
7 장영숙,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비교 연구" 23 (23): 113-142, 2002
8 지성애,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에 대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실태 비교" 한국유아교육학회 30 (30): 283-308, 2010
9 황혜정, "유초등연계교육에 대한 우리나라와 미국의 유아교사와 초등교사의 인식 비교" 한국열린교육학회 17 (17): 25-51, 2009
10 지성애, "유아의 초등학교준비도에 대한 유아교육기관 교사와 학부모 및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1 (11): 227-249, 2006
11 이경민, "유아의 초등학교 적응을 위한 전이 프로그램의 운영실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311-337, 2006
12 강정원, "보육시설의 초등학교 전이 프로그램 실시 현황 및 교사의 인식"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0 (10): 51-75, 2006
13 홍길회, "만5세아 초등전이프로그램 내용구성에관한 연구" 한국유아교육ㆍ보육복지학회 13 (13): 251-268, 2009
14 Bronfenbrenner, U., "‘Ecology of the family as a Context for human development'" 22 (22): 723-742, 1986
15 Petriwskyj, A., "Trends in construction of transition to school in three western regions, 1990-2004" 13 : 55-69, 2005
16 Einarsdottir, J., "Transition to school practices: Comparison from Iceland and Australia early years" 28 : 47-60, 2008
17 Belsky, J., "Transition to school :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school experiences" 5 (5): 106-119, 1994
18 Love, J. M.,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American schools(Contract No. LC 88089001)" US. Department of Education 1992
19 Athtola, A., "Transition to formal schooling: Do transition practices matter for academic performance?" 26 : 295-302, 2011
20 Pianta, R. C., "Transition to Kindergarten" National Center for Early development & Learning 2 (2): 2002
21 Margetts, K., "Transition of children from preschool and home contexts to grade 1 in two township primary school in South Africa" 21 (21): 39-52, 2013
22 Broström, S., "Transition in the Early Years, Debating Continuity and Progression for Children in Early Education" Routledge Falmer 2002
23 Fabian, H., "Transition in the Early Years" Routledge Falmer 2002
24 Clarke, C., "Transition from preschool to primary school: An overview of the personal experiences of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Singapore" 1 : 15-24, 2003
25 Ramey, S. L., "The transition to school" 76 : 194-199, 1994
26 Pianta, R. C.,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Research, policy, training, and practice" Paul Brookes Publishers 1999
27 Meisels, S. J.,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Brookes 33-66, 1999
28 Graue, E.,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Brookes 109-142, 1999
29 Meisels, S. J., "The five to seven year shift. The age of reason and responsibility"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407-431, 1996
30 Sameroff, A. J., "The five to seven year shift"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6
31 Graue, E., "The answer is readiness-Now what is the question?" 17 : 43-56, 2006
32 Galton, M., "The Impact of School Transition and Transfers on Pupils Progress and Attainment" DfEE 1999
33 Schulting, A. B., "The Effect of School-Based Kindergarten Transition Policies and Practices on Child Academic Outcomes" 41 (41): 860-871, 2005
34 Pianta, R. C., "Successful kindergarten transition: Your guide to connecting children, families, and schools" Paul H. Brookes Publishing Co 2003
35 Dockett, S., "Starting school: Effective transitions" 3 : 2001
36 Meisels, S. J., "Schoolreadiness and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in the era of accountability" Brookes 31-47, 2007
37 Carlton, M. P., "School readiness : The need for a paradigm shift" 28 (28): 338-352, 1999
38 Lewit, E. M., "School readiness" 5 : 128-139, 1995
39 Sameroff, A. J., "Relationship disturbances in early childhood" Basic Books 17-32, 1989
40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Ready Schools" National Education Goals Panel 1998
41 Broström, S., "Problems and barriers in children's learning when they transit from kindergarten to kindergarten class in school" 1 (1): 51-66, 2003
42 LaParo, K., "Predicting children's competence in the early school years : Ameta-analytic review" 70 (70): 443-484, 2000
43 Kim, J., "Predicting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from early assessment scores : A validity generalization study" 12 : 263-280, 2003
44 Rous, B., "Practices that support the transition to public preschool programs : Results from a National Survey" 25 : 17-32, 2010
45 Carida, H. C., "Planning and implementing an educational programme for the smooth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primary school : the Greek project in all-day kindergartens" 22 (22): 77-92, 2011
46 Pianta, R. C., "Parents' observations about their children's transition to kindergarten" 54 (54): 47-52, 1999
47 Seppanen, P. S., "Obserbational study of early childhood programs: Vol. 2. Final report" US Department of Education(ERIC Document Reproduction Service No. ED 366 469) 1993
48 Pianta, R. C., "Mother-child relationships and school outcomes in preschool and kindergarten" 12 : 263-280, 1997
49 Snow, K. L., "Measuring school readiness : Conceptual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17 : 7-41, 2006
50 Vernon-Feagans, L., "Measurement of school readiness" 17 : 1-5, 2006
51 Howes, C., "Maternal, teacher, and child care history correlates of children's relationships with peers" 65 : 264-273, 1994
52 Pianta, R. C., "Kinderten Teachers' Practices Related to the Transition to school : Result of a National Survey" 100 (100): 71-86, 1999
53 LaParo, K., "Kindergarten Teachers' Reported Use of Kindergarten to First Grade Transition Practices" 101 (101): 63-78, 2000
54 Niesel, R., "Informing transitions in the early years. Research, policy and practice" McGraw-Hill, Open University Press 21-32, 2007
55 Broström, S., "Informing transitions in the early years" Open University Press 2007
56 Pianta, R. C., "High-risk children in schools: Constructing sustaining relationships" Routledge 1996
57 Fthenakis, W. E., "Family transition and qu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6 (6): 5-19, 1998
58 Office of Head Start National Center on Parent, Family and Community Engagement, "Family engagement and on going child assessment" National Center on Parent, Family and Community Engagement
59 Chan, W. L., "Expectation for the transition from kindergarten to primary school amost teachers, parents and children" 182 (182): 639-664, 2012
60 Sameroff, A., "Educational implications of developmental transitions" 76 : 188-193, 1994
61 Bredekamp, S., "Developmentally appropriate practice in early childhood programs" National Association for the Education of Young Children 1997
62 Pianta, R. C., "Collaboration in building partnerships between families and schools: The National Center for Early Development and Learning's kindergarten transition interventions" 16 : 117-132, 2001
63 Dockett, S., "Beginning school together: Sharing strengths" Australian Early Childhood Association 2002
64 Rimm-Kaufman, S. E., "An ecological perspective on the transition to kindergarten : A theorical framework to guide emprical research" 21 : 491-511, 2000
65 Alexander, K. L., "Achievement in the first 2 years of school: Patterns and progress" 53 (53): 1998
66 Haines, A. H., "A comparison of preschool and kindergarten teacher expectations for school readiness" 4 : 75-88, 1989
67 김민진, "2006년~2011년까지의 유치원·초등학교 연계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7 (17): 503-523, 2012
예비 유아교사의 성격유형과 감사성향 및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
아버지와 어머니의 부모역할지능이 유아의 성별에 따른 또래유능성과 일상적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사 다문화소양과 다문화교육태도와의 관계: 다문화교육내용과 교수효능감의 매개효과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92 | 1.92 | 2.04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97 | 1.93 | 2.336 | 0.8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