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을 활용한 복합유적공간 조성 방안 연구: 창원특례시 성산패총을 중심으로 = Study on the Creation of a Complex Relic Space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ocusing on the Seongsan Shell Mound in Changwon Special C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973923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이 가지는 특성과 공간 구성 요소를 고찰하여 창원특례시 의 대표 역사문화자원인 성산패총(사적 제240호)이 복합유적공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특성과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역사문화자원이 가지는 본래 가치를 더욱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유의미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역사문화자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에 대한 실용적 측면의 국내 선행 연구 내용과 보존적 측면의 국제기구(UNESCO 및 ICOMOS) 규약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 특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복합 유적 공간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와 역사문화자원의 특성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역사문화자원이 갖추어야 할 특성과 역사 문화 공간 요소의 기준에 성산패총이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SWOT 분석과 공간 세부 분석을 진행하여 특성을 종합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성산패총이 역사 유적으로서의 가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보완점을 파악하고, 복합유적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성 방안을 공간 구성 요소별로 제시하였다. 성산패총은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진정성, 장소성, 맥락성, 시간성, 가변성, 복합성,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가 체계적으로 구축될 때 고고학적 특성을 보존함과 동시에 해당 유적 공간의 가치를 지역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복합유적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다.
      번역하기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이 가지는 특성과 공간 구성 요소를 고찰하여 창원특례시 의 대표 역사문화자원인 성산패총(사적 제240호)이 복합유적공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특성과 조성 방안을 마...

      본 연구는 역사문화자원이 가지는 특성과 공간 구성 요소를 고찰하여 창원특례시 의 대표 역사문화자원인 성산패총(사적 제240호)이 복합유적공간으로서 갖추어야 할 특성과 조성 방안을 마련하고, 역사문화자원이 가지는 본래 가치를 더욱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준과 유의미한 자원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역사문화자원의 개념을 정립하고,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에 대한 실용적 측면의 국내 선행 연구 내용과 보존적 측면의 국제기구(UNESCO 및 ICOMOS) 규약 내용을 분석하여 핵심 특성을 제시하였다. 둘째, 복합 유적 공간의 구성 요소(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와 역사문화자원의 특성 간에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셋째, 역사문화자원이 갖추어야 할 특성과 역사 문화 공간 요소의 기준에 성산패총이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SWOT 분석과 공간 세부 분석을 진행하여 특성을 종합 평가하였다. 이를 통해 성산패총이 역사 유적으로서의 가치를 재확인함과 동시에 보완점을 파악하고, 복합유적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조성 방안을 공간 구성 요소별로 제시하였다. 성산패총은 역사문화자원의 특성(진정성, 장소성, 맥락성, 시간성, 가변성, 복합성,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휴먼웨어가 체계적으로 구축될 때 고고학적 특성을 보존함과 동시에 해당 유적 공간의 가치를 지역민들과 공유할 수 있는 복합유적공간으로서의 기능과 역할을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n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re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plans that Seongsan Shell Mound (Historic Site, No. 240), a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Changwon Special City, should have as a complex site space, and proposes a standard that can more objectively judge the original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a method that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source.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as established, and the core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domestic previous research on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ESCO and ICOMOS) on the preservation aspec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hardware, software, humanware) of the complex relic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as analyzed. Thir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Seongsan Shell Mound meets the characteristics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hould have and the criteria for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elements, a SWOT analysis and detailed spati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the value of Seongsan Shell Mound as a historical relic was re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areas for improvement were identified, and a development pla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complex relic space was presented for each spatial component. Seongsan Shell Mound can function and play a role as a complex relic space that preserves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sharing the value of the relic space with local residents when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that suppor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uthenticity, Sense of Place, Contextuality, Temporality, Changeability, complexity, and sustainability)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번역하기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n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re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plans that Seongsan Shell Mound (Historic Site, No. 240), a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spatial component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prepares the characteristics and creation plans that Seongsan Shell Mound (Historic Site, No. 240), a representative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 of Changwon Special City, should have as a complex site space, and proposes a standard that can more objectively judge the original value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a method that can be used as a meaningful resource. As a research method, first, the concept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as established, and the core characteristics were presented by analyzing the contents of domestic previous research on the practical aspect of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nd the contents of the regulation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UNESCO and ICOMOS) on the preservation aspect.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ponents (hardware, software, humanware) of the complex relic space and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was analyzed. Third, in order to determine whether Seongsan Shell Mound meets the characteristics that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should have and the criteria for historical and cultural space elements, a SWOT analysis and detailed spatial analysis were conducted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characteristics. Through this, the value of Seongsan Shell Mound as a historical relic was reconfirmed, and at the same time, the areas for improvement were identified, and a development plan for performing the function as a complex relic space was presented for each spatial component. Seongsan Shell Mound can function and play a role as a complex relic space that preserves archaeological characteristics while sharing the value of the relic space with local residents when hardware, software, and humanware that support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authenticity, Sense of Place, Contextuality, Temporality, Changeability, complexity, and sustainability) are systematically establish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