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오코너(J. O’Conner), "현대자본주의 위기론" 나남 1990
2 기든스(A. Giddens),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3 파커(S. Parker),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2002
4 박형준, "현대 노동과정론―자동화에 대한 연구" 백산서당 1991
5 김문조,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117-144, 2010
6 김성국,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시민 권력 형성의 과제, In 한국 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1999
7 김문조, "한국 사회의 양극화" 집문당 2008
8 김원동, "탈산업사회의 도래" 아카넷 2006
9 김문조,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347-381, 2010
10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5-28, 2002
1 오코너(J. O’Conner), "현대자본주의 위기론" 나남 1990
2 기든스(A. Giddens),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3 파커(S. Parker),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2002
4 박형준, "현대 노동과정론―자동화에 대한 연구" 백산서당 1991
5 김문조,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117-144, 2010
6 김성국,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시민 권력 형성의 과제, In 한국 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1999
7 김문조, "한국 사회의 양극화" 집문당 2008
8 김원동, "탈산업사회의 도래" 아카넷 2006
9 김문조,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347-381, 2010
10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5-28, 2002
11 엥리슈(G. Englisch), "잡노마드 사회" 문예출판사 2002
12 드러커(P. Drucker), "자본주의이후의 사회" 한국경제신문 2004
13 벡(U. Beck), "위험사회" 새물결 1997
14 세넷(R. Sennett), "신자유주의와인간성의 파괴" 문예출판사 2002
15 주은우, "시대정신과 오늘의 청년" 37 : 86-117, 2004
16 박형준,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의암출판사 2001
17 테일러(C. Taylor),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1
18 엘킨드(D. Alkind), "변화하는 가족: 새로운 가족 유대와 불균형" 이대출판부 1999
19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20 카스텔(M. Castells),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한울아카데미 2003
21 벤야민(W. Benjamin),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시간의 작은 역사" 길 2007
22 三浦展(Atsushi Miura), "下流社會" 東京大出版會 2005
23 Amin, A, "Post-Fordism: A Reader" Blackwell 1994
24 Beck, U.,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Sage 2002
25 Harvey, D., "Flexibility: Threat or Opportunity" 21 (21): 1991
26 Riley, M, "Age and Structural Lag: Society’s Failure to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ies in Work, Family, and Leasure" Wiley 1994
27 김성국, "21세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 민음사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