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불확실성의 시대, 불안한 한국인 = Uncertain Society, Anxious Peopl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461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xiety prevails when the faith in life is absent. Therefore, it is uncertainty that causes anxiety. Uncertainty as a source of anxiety consists of several conceptual elements. Existential uncertainty, cognitive uncertainty, moral uncertainty and aesthetic uncertainty to name a few.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social anxiety as a source of collective anxiety with emphasis on flexibilization and aging thesis, describe the uniqu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collective anxiety is being aggravated, and explor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possible countermeasures. Recently, it can be said that a flexible life attitude and strategies being required in all aspects of daily life including the world of work. The flexible society is demand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ion more than ever. Thus, flexible society aims at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that have completely different properties than the centralized communication ones that used to operate in a perfect and orderly manner under vertical chain of command structure. However, in the age of flexibilization, where a high degree of freedom is appreciated and applauded, “corrosion of character” and “class disparity” have emerged as critical factors that exacerbate social anxiety. Social unrest caused by flexibilization gave way to social unrest in Korean society. Such tendency is further aggravated by the process of aging. In what ways such social unrest in Korea progressing? Unlike cognitive and normative uncertainty, the uncertainty of the modern society that is mainly derived from institutional flexibility ha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nternalized into a social anxiety in situations where the social transparency is lacking. However, the consequences of social unrest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ocial anxiety is shifted to oneself or to the outside. The most decisive factor determining where the anxiety head toward is trust. In Korean society where the level of social trust is still low, there exists a high probability of anxiety turning into discontent rather than frustration. Also, discontent is more likely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outward anger instead of introverted resignation in Korean society where negative perceptions on social justice prevail. Thus,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the anxiety itself, but the high degree of social distrust and unfairness determining the course of anxiety that characterizes the current social unrest in Korea.
      번역하기

      Anxiety prevails when the faith in life is absent. Therefore, it is uncertainty that causes anxiety. Uncertainty as a source of anxiety consists of several conceptual elements. Existential uncertainty, cognitive uncertainty, moral uncertainty and aest...

      Anxiety prevails when the faith in life is absent. Therefore, it is uncertainty that causes anxiety. Uncertainty as a source of anxiety consists of several conceptual elements. Existential uncertainty, cognitive uncertainty, moral uncertainty and aesthetic uncertainty to name a few. This study seeks to examine the social anxiety as a source of collective anxiety with emphasis on flexibilization and aging thesis, describe the unique characteristics embedded in South Korean society where collective anxiety is being aggravated, and explore the directions and strategies for possible countermeasures. Recently, it can be said that a flexible life attitude and strategies being required in all aspects of daily life including the world of work. The flexible society is demanding individual creativity and innovation more than ever. Thus, flexible society aims at network communication systems that have completely different properties than the centralized communication ones that used to operate in a perfect and orderly manner under vertical chain of command structure. However, in the age of flexibilization, where a high degree of freedom is appreciated and applauded, “corrosion of character” and “class disparity” have emerged as critical factors that exacerbate social anxiety. Social unrest caused by flexibilization gave way to social unrest in Korean society. Such tendency is further aggravated by the process of aging. In what ways such social unrest in Korea progressing? Unlike cognitive and normative uncertainty, the uncertainty of the modern society that is mainly derived from institutional flexibility has a high probability of being internalized into a social anxiety in situations where the social transparency is lacking. However, the consequences of social unrest can vary depending on whether or not the social anxiety is shifted to oneself or to the outside. The most decisive factor determining where the anxiety head toward is trust. In Korean society where the level of social trust is still low, there exists a high probability of anxiety turning into discontent rather than frustration. Also, discontent is more likely to be expressed in the form of outward anger instead of introverted resignation in Korean society where negative perceptions on social justice prevail. Thus, it can be said that it is not the anxiety itself, but the high degree of social distrust and unfairness determining the course of anxiety that characterizes the current social unrest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경제성장에 몰두하던 60~70년대 산업화 시대에는 생계를 위협하던 경제적 빈곤이 지대한 국민적 관심사였고, 권위주의 체제에 저항하던 80~90년대 민주화 시기에는 정치적 억압이 척결해야 할 절박한 시대적 과제였다. 그러나 세계화‧개방화가 촉진되는 금세기의 각축적 생활 현실에서는 사회 불안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불안의 인식적 토대로 간주할 수 있는 불확실성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1) 사회적 불확실성을 유연화 및 고령화 논제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2) 사회 불안을 가중시키는 한국 사회 특유의 현황을 “인간성 파괴” 및 “계급적 단절”이라는 명제하에서 고찰한 후, 3) 불안의 진전 경로와 예상 효과를 주요 매개 조건들을 중심으로 탐지하면서, 4) 고도 불안사회의 대처 방향과 실천 전략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번역하기

      경제성장에 몰두하던 60~70년대 산업화 시대에는 생계를 위협하던 경제적 빈곤이 지대한 국민적 관심사였고, 권위주의 체제에 저항하던 80~90년대 민주화 시기에는 정치적 억압이 척결해야...

      경제성장에 몰두하던 60~70년대 산업화 시대에는 생계를 위협하던 경제적 빈곤이 지대한 국민적 관심사였고, 권위주의 체제에 저항하던 80~90년대 민주화 시기에는 정치적 억압이 척결해야 할 절박한 시대적 과제였다. 그러나 세계화‧개방화가 촉진되는 금세기의 각축적 생활 현실에서는 사회 불안이 새로운 쟁점으로 부각되고 있다. 불안의 인식적 토대로 간주할 수 있는 불확실성은 개인적 수준과 사회적 수준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1) 사회적 불확실성을 유연화 및 고령화 논제를 중심으로 개관하고, 2) 사회 불안을 가중시키는 한국 사회 특유의 현황을 “인간성 파괴” 및 “계급적 단절”이라는 명제하에서 고찰한 후, 3) 불안의 진전 경로와 예상 효과를 주요 매개 조건들을 중심으로 탐지하면서, 4) 고도 불안사회의 대처 방향과 실천 전략을 논의해보고자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오코너(J. O’Conner), "현대자본주의 위기론" 나남 1990

      2 기든스(A. Giddens),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3 파커(S. Parker),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2002

      4 박형준, "현대 노동과정론―자동화에 대한 연구" 백산서당 1991

      5 김문조,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117-144, 2010

      6 김성국,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시민 권력 형성의 과제, In 한국 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1999

      7 김문조, "한국 사회의 양극화" 집문당 2008

      8 김원동, "탈산업사회의 도래" 아카넷 2006

      9 김문조,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347-381, 2010

      10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5-28, 2002

      1 오코너(J. O’Conner), "현대자본주의 위기론" 나남 1990

      2 기든스(A. Giddens), "현대성과 자아정체성" 새물결 1997

      3 파커(S. Parker), "현대사회와 여가" 일신사 2002

      4 박형준, "현대 노동과정론―자동화에 대한 연구" 백산서당 1991

      5 김문조, "한국 정보 문화의 특성과 현황" 한국이론사회학회 (16) : 117-144, 2010

      6 김성국, "한국 시민사회의 구조적 불안정성과 시민 권력 형성의 과제, In 한국 사회의 구조론적 이해" 아르케 1999

      7 김문조, "한국 사회의 양극화" 집문당 2008

      8 김원동, "탈산업사회의 도래" 아카넷 2006

      9 김문조, "정보혁명의 사회제도적 파장: 유연화 논제를 중심으로" 한국이론사회학회 (17) : 347-381, 2010

      10 김문조, "정보격차(Digital Divide)의 이론적·정책적 재고" 한국사회학회 36 (36): 5-28, 2002

      11 엥리슈(G. Englisch), "잡노마드 사회" 문예출판사 2002

      12 드러커(P. Drucker), "자본주의이후의 사회" 한국경제신문 2004

      13 벡(U. Beck), "위험사회" 새물결 1997

      14 세넷(R. Sennett), "신자유주의와인간성의 파괴" 문예출판사 2002

      15 주은우, "시대정신과 오늘의 청년" 37 : 86-117, 2004

      16 박형준, "성찰적 시민사회와 시민운동" 의암출판사 2001

      17 테일러(C. Taylor), "불안한 현대사회" 이학사 2001

      18 엘킨드(D. Alkind), "변화하는 가족: 새로운 가족 유대와 불균형" 이대출판부 1999

      19 김홍중, "마음의 사회학" 문학동네 2009

      20 카스텔(M. Castells), "네트워크 사회의 도래" 한울아카데미 2003

      21 벤야민(W. Benjamin),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시간의 작은 역사" 길 2007

      22 三浦展(Atsushi Miura), "下流社會" 東京大出版會 2005

      23 Amin, A, "Post-Fordism: A Reader" Blackwell 1994

      24 Beck, U., "Individualization: Institutionalized Individualism and its Social and Political Consequences" Sage 2002

      25 Harvey, D., "Flexibility: Threat or Opportunity" 21 (21): 1991

      26 Riley, M, "Age and Structural Lag: Society’s Failure to Provide Meaningful Opportunities in Work, Family, and Leasure" Wiley 1994

      27 김성국, "21세기 한국 사회의 구조적 변동" 민음사 200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97 0.97 1.2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12 1.07 2.101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