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점찰선악업보경』의 구성과 점찰법회의 전승 = The Composition of Jeomchal Sutra and The History of Jeomchal Buddhist Mas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Jeomchal Buddhist Mass based on the Jeomchal Sutra(Sutra on the Divination of the Effect of Good and Evil) were popular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Silla, Goryeo, and Japan. However, each country, and each period, had a different way. In this articl...

      Jeomchal Buddhist Mass based on the Jeomchal Sutra(Sutra on the Divination of the Effect of Good and Evil) were popular not only in China but also in Silla, Goryeo, and Japan. However, each country, and each period, had a different way. In this article, we compared the contents of the Jeomchal Sutra with the Jeomchal Buddhist Mass in China and Korea. In doing so, the Commission tried to explain why the Mass was historically popular and why it could be implemented today.
      The Sutra consists of two volumes and was written in China around the 6th century. The one volume described the way of divination in detail, and the last volume described the faith for those who wanted to move on to the Great Vehicle.
      The Jeomchal Method was to look at the former karma, karma's strength and weakness, and characteristic of karmic result. It was also called the Wooden Dice Method because it used wooden dice. Though it took the form of divination, but it was for the purpose of precept and repentance.
      The Mass was popular in China, and was also banned. It was introduced in the 7th century in Silla and had its own form in the middle of the 8th century by Jinpyo. He used 189 wooden tags to predict the karmic result, but in the Sutra, six dice were used. During the Goryeo Dynasty, the Jeomchal Buddhist Mass was characterized as a go to Pure Land or a memorial service, but essentially emphasized repentance for the evil.
      As such, there had been many variants in the Jeomchal Buddhist Mass. The transformation proceeded in a way that sought an easier way. Thus, the Jeomchal Method had long been popular in many places, and may even be implemented in a new way for people of now a day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점찰경』에 근거한 점찰법회는 중국뿐 아니라 신라와 고려, 일본에서도 유행하였다. 다만 각 나라, 각 시기마다 그 방식은 달랐다. 이 글에서는 『점찰경』의 내용과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점찰경』에 근거한 점찰법회는 중국뿐 아니라 신라와 고려, 일본에서도 유행하였다. 다만 각 나라, 각 시기마다 그 방식은 달랐다. 이 글에서는 『점찰경』의 내용과 중국과 우리나라에서 시행된 점찰법회를 비교해 보았다. 이를 통해 점찰법회가 역사적으로 유행할 수 있었던 이유와 오늘날 시행될 수 있는 근거를 찾아 보았다.
      『점찰경』은 상·하 2권으로 구성되었으며, 6세기 경 중국에서 찬술된 경전이다. 상권에서는 점찰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였고, 하권에서는 대승으로 나아가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필요한 신심(信心)에 대해 서술 하였다. 즉 방편과 사상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것이다. 이 경의 가장 큰 특징인 점찰법은 과거의 업, 그 업의 강약, 그리고 과보차별을 살펴보기 위한 것이다. ‘점(占)’이라는 형식을 사용하지만 그 목적은 자신의 ‘업’을 관찰해 참회, 수계로 나아가도록 하는데 있다.
      일찍이 중국에서는 선악(善惡)을 관찰하는 형식으로 광저우, 산둥 등지에서 유행하였으며 『점찰경』의 유포가 금지되기도 했다. 신라에서는 7세기 진평왕대 실시되기 시작했으나 그 형식을 명확하게 알 수 있는 것은 8세기 중·후반에 활동한 진표의 점찰법회이다. 특히 과보를 관찰하는 방식으로 『점찰경』에서는 6개의 목륜을 사용하지만, 진표는 189개의 간자(簡子)를 사용하였다. 이후 그의 제자들에 의해 여러 지역에 전파되어 신라만의 점찰법회를 확립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정토왕생이나 위령제의 성격을 띠고 있었으나 본질적으로 악업에 대한 참회를 강조한 것이었다.
      이처럼 점찰법은 여러 변형이 이루어졌다. 그 변형은 보다 쉬운 방법을 모색하는 방향으로 진행되었다. 그러므로 점찰법회는 여러 곳에서 오랫동안 유행할 수 있었으며, 나아가 오늘날 중생을 위해 시대에 맞는 새로운 방식으로 시행될 수도 있는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歷代三寶紀"

      2 홍윤식, "한국불교사의 연구" 교문사 1988

      3 최복희, "진표의 망신참과 탑참법" 한국역사민속학회 (54) : 105-134, 2018

      4 박미선, "점찰경의 성립과 그 사상" 32 : 2007

      5 최연식, "원광의 생애와 사상" 12 : 1995

      6 김두진, "원광의 계참회신앙과 그 의미" 2 : 2005

      7 박광연, "원광(圓光)의 점찰법회(占察法會) 시행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43) : 111-140, 2002

      8 김상현,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1

      9 신종원, "신라사상의 재조명" 1991

      10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 민족사 1994

      1 "歷代三寶紀"

      2 홍윤식, "한국불교사의 연구" 교문사 1988

      3 최복희, "진표의 망신참과 탑참법" 한국역사민속학회 (54) : 105-134, 2018

      4 박미선, "점찰경의 성립과 그 사상" 32 : 2007

      5 최연식, "원광의 생애와 사상" 12 : 1995

      6 김두진, "원광의 계참회신앙과 그 의미" 2 : 2005

      7 박광연, "원광(圓光)의 점찰법회(占察法會) 시행과 그 의미" 한국역사연구회 (43) : 111-140, 2002

      8 김상현, "신라화엄사상사연구" 민족사 1991

      9 신종원, "신라사상의 재조명" 1991

      10 김영미, "신라불교사상사연구" 민족사 1994

      11 김혜완, "신라 하대의 미륵신앙" 8 : 1992

      12 채인환, "신라 진표율사 연구 (1)(2)(3)" 23-25 : 1986

      13 김영태, "신라 점찰법회와 진표의 교법연구" 9 : 1972

      14 박미선, "신라 점찰법회와 신라인의 업·윤회인식" 혜안 2013

      15 박미선, "신라 원광법사의 여래장사상과 교화활동" 11 : 1998

      16 金鎭烈, "불교경전의 성립연구" 불교시대사 1995

      17 라정숙, "고려시대 지장신앙" 한국사학회 (80) : 31-70, 2005

      18 라정숙, "고려시대 占察法會의 설행과 의미" 한국불교연구원 (46) : 209-242, 2017

      19 박광연, "眞表의 占察法會와 密敎 수용" 한국사상사학회 (26) : 1-32, 2006

      20 박미선, "眞表 占察法會의 成立과 性格" 한국고대사학회 (49) : 223-256, 2008

      21 "東文選"

      22 大塚千紗子, "日本靈異記と占察善惡業報經" 2016

      23 敖英, "新羅的占察法會-兼與中土的占察法會比較" 14 : 2015

      24 박미선, "新羅 占察法會와 密敎" 국학연구원 (155) : 1-30, 2011

      25 박미선, "圓光의 占察法會와 三階敎" 한국사상사학회 (24) : 167-195, 2005

      26 師 茂樹, "占察經の成立と受容-なぜ占いが必要とされたのか" 77 : 2011

      27 阿川正貫, "占察善惡業報經にみる大乘戒の中國的受容" 39 : 1994

      28 "占察善惡業報經"

      29 陈明, "占察善恶业报经的流传研究" (1) : 1999

      30 望月信亨, "佛敎經典成立史論" 法藏館 1977

      31 "三國遺事"

      32 "三國史記"

      33 遠藤純祐, "『占察善惡業報經』の信仰" 13 : 200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6 0.56 0.4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3 0.41 0.987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