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화학교육 홈페이지의 화학 Q&A 게시판에 등록된 학생과 교사 질문 분석 = Analysis of Students' and Teachers' Questions Posted on Chemistry Q&A Board in a Chemistry Education Homepag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102912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화학을 배우고 가르칠 때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교육 홈페이지 인터넷 화학 Q&A 게시판에 학생과 교사가 올린 질문을 분석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질문은 내용과 동기 측면에서 서...

      화학을 배우고 가르칠 때의 어려움을 파악하기 위하여, 화학교육 홈페이지 인터넷 화학 Q&A 게시판에 학생과 교사가 올린 질문을 분석하였다. 학생과 교사의 질문은 내용과 동기 측면에서 서로 다른 경향을 보였다. 화학I에서 학생들은 '물' 영역에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고 교사는 '생활 속의 화합물' 영역에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다. 화학II에서 학생들은 '기체, 액체, 고체'에, 교사는 '화학 반응과 에너지'가 가장 많은 질문을 하였다. 화학 관련 질문을 하는 동기로 학생들은 불분명한 화학 개념과 문제 해결에 도움을 받기를 원하였고, 교사는 정보 탐색이나 실험에 관련된 질문을 많이 하였다. 화학 Q&A 게시판은 화학을 배우고 가르칠 때 필요한 정보를 주고받는 장이 되고 있었다. 화학 교육에 Q&A 게시판을 활용하는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posted on the chemistry Q&A board by students and teachers in a chemistry education homep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eaching chemistry. The different tendencies were found in the cont...

      This study analyzed the questions posted on the chemistry Q&A board by students and teachers in a chemistry education homepage,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in learning and teaching chemistry. The different tendencies were found in the contents and the motivations of questions by students and teachers. In Chemistry I, students raised many questions in the 'Water' unit, while teachers raised many ones in the 'Chemical compound in our life' unit. In Chemistry II, students asked many questions in the 'Gas, liquid, solid' unit, while teachers did in 'Chemical reaction and energy' unit. Students' motivations of questioning were 'Explanation of unclear concept', and 'Problem solving', while teachers' motivations were 'Searching information', and 'Question in experiment'. The Q&A board provided a field in exchanging informations needed in learning and teaching chemistry. Education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on the use of Q&A board in chemistry educat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de Jesus, H. P, 25 : 1015-, 2003

      2 Colbert, J. T, 6 : 42-, 2007

      3 Hofstein, A, 42 : 791-, 2005

      4 Harper K. A.;, 40 : 776-, 2003

      5 Yerdelen-Damar, S, 40 : 223-, 2010

      6 Baram-Tsabari, A., 93 : 131-, 2009

      7 Lee, T. H., 24 : 36-, 1997

      8 Nakiboglu, C, 9 : 1047-, 2011

      9 Kim, S. K, 19 : 560-, 1999

      10 노태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 질문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주단위 보고서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85-392, 2006

      1 de Jesus, H. P, 25 : 1015-, 2003

      2 Colbert, J. T, 6 : 42-, 2007

      3 Hofstein, A, 42 : 791-, 2005

      4 Harper K. A.;, 40 : 776-, 2003

      5 Yerdelen-Damar, S, 40 : 223-, 2010

      6 Baram-Tsabari, A., 93 : 131-, 2009

      7 Lee, T. H., 24 : 36-, 1997

      8 Nakiboglu, C, 9 : 1047-, 2011

      9 Kim, S. K, 19 : 560-, 1999

      10 노태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학생 질문을 촉진하는 방안으로서의주단위 보고서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385-392, 2006

      11 박종윤,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질문과 피드백을 활용한 교사-학생 상호작용 강화 수업 전략의 개발 및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 26 (26): 239-245, 2006

      12 최경희, "중학교 과학 수업에서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 상호작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1039-1048, 2004

      13 허만규, "중학교 과학 교과서의 화학분야 단원에 제시된 질문의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화학회 55 (55): 123-131, 2011

      14 이명숙, "소집단 실험활동에서 나타난 중학생 질문-응답의 유형과 빈도" 한국과학교육학회 24 (24): 277-286, 2004

      15 Kim, J. M., "The role of cognitive strategic questioning in the changes of students' conceptions about heat and temperature" Seoul National University 1995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21 0.21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8 0.14 0.364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