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우수등재

      [한국미술사] 한국미술사 연구(2019~2020년)에 대한 회고와 전망, 그리고 제언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88421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 review of four books and more than four hundred academic papers published during 2019 and 2020 on Korean artworks produced before 1945, reveals the following prospects and expectations.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social, religious, and political...

      A review of four books and more than four hundred academic papers published during 2019 and 2020 on Korean artworks produced before 1945, reveals the following prospects and expectations. The increasing interest in the social, religious, and political meaning and function of art, rather than in art itself, gives rise to the expectation that interdisciplinary research in art history and other academic circles will deepen and the academic status of art history be enhanced. It is also anticipated that growing research on painting and ceramic history in the first half of the twentieth century, including various modern media, will narrow in scope to become more precise. Continued reflection on the perspectives of Korean art history written by previous generations related to the selection of masterpieces, the influence of collections, and the perception of tradition is also predicted. Discussions on Korean art held overseas and Korean art history recorded in North Korea, along with an increasing interest in cultural heritage indicate the potential for multilateral research and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scientific investigat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related database will likely provide comprehensive assistance in understanding the nationality, timing, and level of the artwork. Finally, research that transcends genres should be more actively attemp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들어가는 말
      • II. 회화, 서예
      • III. 도자·공예
      • IV. 불교미술
      • V. 나가는 말
      • I. 들어가는 말
      • II. 회화, 서예
      • III. 도자·공예
      • IV. 불교미술
      • V. 나가는 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관식, "龍珠寺 〈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97) : 14-54, 2020

      2 소현숙, "禮山 四面石佛의 제작 時期와 性格, 그리고 百濟의 對中交涉 -四面像의 형식과 착의법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26) : 71-95, 2019

      3 주수완, "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3) : 71-93, 2019

      4 진정환, "후백제와 태봉 불교석조미술품의 특징과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27) : 125-152, 2020

      5 전지연, "효제문자도 병풍의 장황" 한국민화학회 10 : 28-49, 2019

      6 김수연, "회화와 직조의 결합, 紙織畫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6 (306): 5-38, 2020

      7 한정호, "황룡사 구층탑 창건기 사리장엄구와 경문왕대의 공정" 불교미술사학회 28 : 655-675, 2019

      8 이용윤, "화승 義均의 불화 조성과 사명문중의 불사" 불교미술사학회 28 : 499-522, 2019

      9 박연숙, "현대미술에 적용된 동양화의 공간개념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52) : 217-239, 2019

      10 정주하,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한국서예학회 (34) : 69-85, 2019

      1 강관식, "龍珠寺 〈三世佛會圖〉 연구의 연대 추정과 양식 분석, 작가 비정, 문헌 해석의 검토" 국립중앙박물관 (97) : 14-54, 2020

      2 소현숙, "禮山 四面石佛의 제작 時期와 性格, 그리고 百濟의 對中交涉 -四面像의 형식과 착의법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26) : 71-95, 2019

      3 주수완, "흥천사 명부전 석조 지장보살삼존상 및 시왕상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3) : 71-93, 2019

      4 진정환, "후백제와 태봉 불교석조미술품의 특징과 영향" 동악미술사학회 (27) : 125-152, 2020

      5 전지연, "효제문자도 병풍의 장황" 한국민화학회 10 : 28-49, 2019

      6 김수연, "회화와 직조의 결합, 紙織畫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6 (306): 5-38, 2020

      7 한정호, "황룡사 구층탑 창건기 사리장엄구와 경문왕대의 공정" 불교미술사학회 28 : 655-675, 2019

      8 이용윤, "화승 義均의 불화 조성과 사명문중의 불사" 불교미술사학회 28 : 499-522, 2019

      9 박연숙, "현대미술에 적용된 동양화의 공간개념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52) : 217-239, 2019

      10 정주하, "허목(許穆)의 상고주의(尙古主義)적 고문(古文)인식 고찰" 한국서예학회 (34) : 69-85, 2019

      11 신은제, "해인사 고려대장경 補刻板 연구 - 『대반야바라밀다경』 보각판을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98) : 104-129, 2020

      12 이경화, "해악전신(海嶽傳神): 정선의 1712년 금강산도 제작에 관한 재고"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5) : 100-131, 2020

      13 최엽, "해남 미황사의 근대기 불화" 동악미술사학회 (25) : 53-75, 2019

      14 김진웅, "해거재 홍현주의 현전작품 고찰"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9 : 7-35, 2020

      15 김소연, "해강 김규진 묵죽화와 『해강죽보(海岡竹譜)』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52) : 175-194, 2019

      16 박은경, "한중 보타관음의 불교적 영성과 孫行者 이미지" 석당학술원 (76) : 37-65, 2020

      17 엄승희, "한양도성 출토 근대도자의 특징과 소비 형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0 : 161-192, 2020

      18 정지희, "한성미술품제작소 설립 및 변천과정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233-256, 2019

      19 김윤정, "한반도 유입 중국 磁州窯系 瓷器의 양상과 그 의미"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9) : 41-71, 2020

      20 최영희, "한글소설 방각본 서체의 조형적 특징 연구 -경판본과 완판본을 중심으로-" 한국동양예술학회 (42) : 299-331, 2019

      21 조민주, "한국의 팔경도" 동양미술사학회 8 : 155-160, 2019

      22 박은경, "한국의 사찰벽화 : 시대별 장엄요소와 표현 영역" 불교미술사학회 28 : 371-397, 2019

      23 정은우, "한국의 복장(腹藏), 경전적 의미와 해석" 한국문화연구원 37 : 163-200, 2019

      24 유재빈, "한국미술사, 주제의 확장과 인식의 심화: 2017년~2018년의 한국미술사 연구" 역사학회 (243) : 415-450, 2019

      25 이선용, "한국 복장(腹藏)에 수용된 포자법(布字法)의 전개와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8 : 613-636, 2019

      26 김지혜, "한국 대중미술의 원류-근대 광고 도안의 미술사적 연구-" 한국문화연구원 36 : 181-211, 2019

      27 황빛나, "한국 근대기 신문 연재소설 삽화(2): 김복진·김해득 화(畵) 「제2의 키스(接吻)」" 한국미술연구소 (49) : 317-339, 2019

      28 황빛나, "한국 근대기 신문 연재소설 삽화(1): 김창환 화(畵) 「흑진주」" 한국미술연구소 (48) : 263-274, 2019

      29 장원, "한국 근대 조각에서 김복진의 ‘형성예술’ 의미에 관한 연구 -피들러(K. Fiedler)의 조형예술론과의 영향 관계를 중심으로-" 동서미술문화학회 17 (17): 257-288, 2020

      30 한재원, "한국 고대 신중상의 의미와 효용"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5-35, 2019

      31 장지훈, "학봉 김성일의 서예세계" 한국서예학회 (35) : 117-143, 2019

      32 유홍준, "표암 강세황의 초년 서울 시절의 행적"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9 : 65-82, 2020

      33 이동헌, "통일신라토기와 당도자로 본 나당교류" 신라문화연구소 54 : 149-178, 2019

      34 정현숙, "통일신라 金生의 서예 -<太子寺郞空大師白月栖雲塔碑>에 근거하여-" 한국목간학회 (23) : 215-254, 2019

      35 이순태, "통일신라 <高仙寺誓幢和上碑>의 서체 고찰" 한국서예학회 (37) : 69-86, 2020

      36 성인근, "통의동 출토 내교인(內敎印) 연구" 한국서예학회 (34) : 197-215, 2019

      37 김미경, "통도사의 해장보각(海藏寶閣)과 원당에 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8 : 25-53, 2019

      38 김현중(현주), "통도사성보박물관 소장 선암사 비로암 <신중도>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8 : 569-590, 2019

      39 이선용, "통도사 진영에 표현된 가사의 구성과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9 : 211-242, 2020

      40 장준구, "통도사 대광명전 내벽의 신선도(神仙圖)" 동서미술문화학회 18 (18): 189-208, 2020

      41 김지영, "통계로 보는 해방 전 재일본 조선인 미술유학생"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0) : 241-266, 2020

      42 정진희, "치성광여래도(熾盛光如來圖)에 그려진 신선문자도상(神仙文字圖像) 고찰 - 서울 안양암 금륜전 치성광여래도를 중심으로" 한국민화학회 13 : 138-163, 2020

      43 곽노봉, "최치원의 사산비명과 <진감선사비>의 서예 연구" 한국서예학회 (35) : 5-35, 2019

      44 박은영, "책가도 제작의 다각적 배경" 한국민화학회 10 : 6-27, 2019

      45 유미나, "채색 선인도(彩色仙人圖), 복·록·수를 기원하는 세화(歲畵)"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3) : 169-198, 2019

      46 이승일, "진도 용장성 왕궁지 R지구 一括出土錢에 대한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7) : 67-96, 2020

      47 최엽, "진도 쌍계사 대웅전 내벽화의 제작시기와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8 : 547-568, 2019

      48 한정화, "진도 명량대첩로 해저 출수 특수기종의 생산지 문제"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13) : 49-72, 2020

      49 김형곤, "직지성보박물관 소장 <阿彌陀說法圖>의 畵僧과 線描佛畵 畵風" 불교미술사학회 29 : 181-210, 2020

      50 최선아, "중국 보타산 불긍거관음상(不肯去觀音像)과 고려 중기 보살상 - 봉정사,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의 연원과 관련하여 -"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67-99, 2019

      51 손명희, "조희룡의 임자도 유배시절 회화 창작의 의미와 기능" 한국미술사학회 305 (305): 79-107, 2020

      52 구혜인, "조선후기・대한제국기 선원전 다례(茶禮)와 다기(茶器)"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149-192, 2020

      53 박은순, "조선후기의 선비그림, 유화(儒畵)" 사회평론아카데미 2019

      54 윤진영, "조선후기 金吾契帖의 제작관행과 신경향" 조선시대사학회 (91) : 197-234, 2019

      55 성고운, "조선후기 청화백자 병화(瓶花)도상으로 본 명대의 영향" 한국미술사학회 308 (308): 73-104, 2020

      56 박현주, "조선후기 철화백자와 회화에 나타난 화조문양의 조형성 연구" 한국도자학회 16 (16): 55-73, 2019

      57 서윤정, "조선후기 채색필사본 병풍 <곤여만국전도(坤輿萬國全圖)>와 <곤여전도(坤輿全圖)>의 동물 삽화: 지식과 도상의 전승과 변용"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131-169, 2019

      58 정은주, "조선후기 지도와 기록화를 통해 본 제주" 한국학중앙연구원 43 (43): 65-115, 2020

      59 서윤정, "조선후기 외교 선물로 전해진 청과 서양의 예술과 물질문화: 정조대 후기 사행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3) : 123-150, 2019

      60 서윤정, "조선후기 서화시장을 통해 본 名作의 탄생과 僞作의 유통" 대동문화연구원 (109) : 155-186, 2020

      61 남아름, "조선후기 봉황문(鳳凰紋) 청화백자를 통해 본 분원(分院)의 청화백자 제작과 화본(畫本)" 한국미술사학회 308 (308): 105-143, 2020

      62 류주형, "조선후기 백자필통 연구" 동아시아문물연구소 38 (38): 135-156, 2020

      63 최정민, "조선후기 백자연적의 유행과 조형 특징"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8 : 27-45, 2019

      64 정은우, "조선후기 미황사의 불교조각과 조각승의 활동" 동악미술사학회 (25) : 7-30, 2019

      65 한길중, "조선후기 목각설법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9 : 143-180, 2020

      66 허상호, "조선후기 명문 괘불궤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8 : 757-792, 2019

      67 김민지, "조선후기 관음삼존상 협시에 나타나는 위태천 관련 도상 분석" 한국미술사학회 306 (306): 99-135, 2020

      68 신광희, "조선후기 寺刹 寮舍의 佛畵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8) : 57-82, 2020

      69 윤효정, "조선전기 청화백자에 그려진 어조문(魚藻文)의 특징과 함의" 한국미술연구소 (51) : 45-68, 2020

      70 엄기표, "조선전기 부도(浮屠)의 건립 현황과 미술사적 의의" 불교문화연구원 (86) : 135-168, 2019

      71 김소연, "조선에서 온 카라모노(唐物): 혼가쿠지 소장 〈석가탄생도〉의 일본 내 수용과 확산"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6) : 230-259, 2020

      72 서윤정, "조선에 전래된 구영의 작품과 구영 화풍의 의의"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6) : 36-71, 2020

      73 신선영, "조선시대 형벌 그림의 전개와 의미" 한국민화학회 11 : 34-57, 2019

      74 김은경, "조선시대 유적 출토 明代 자기에 대한 몇 가지 再考" 한국학연구소 (70) : 5-41, 2019

      75 차문성, "조선시대 왕릉 석물의 재료와 제작 방법 변화에 관한 연구 - 신도비와 표석, 상석을 중심으로 -"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56-77, 2019

      76 고연희, "조선시대 모사(摹寫)의 양상과 미술사적 의미" 한국동양예술학회 (43) : 37-66, 2019

      77 박미례, "조선시대 감로탱화 하단(下段) ‘죽음도상’ 유형연구" 온지학회 (61) : 221-268, 2019

      78 유옥경, "조선시대 張翰出處圖 연구:간송미술관 소장 김홍도의 〈동강조어도〉를 중심으로" 미술사연구회 (39) : 163-192, 2020

      79 김귀한, "조선시대 官窯의 명칭과 성격 재검토" 한국미술사학회 308 (308): 145-171, 2020

      80 장주연, "조선미술전람회 공예부의 특질" 미술사연구회 (37) : 7-32, 2019

      81 권혜은, "조선말기 百扇圖의 새로운 제작경향- 독일 로텐바움세계문화예술박물관 소장 〈百扇圖〉와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百扇圖 草本〉을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96) : 239-260, 2019

      82 박진경, "조선 후기 유리거울의 수입과 공예품의 특징"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206-225, 2019

      83 신광희, "조선 후기 완주 화암사의 불화 연구" 한국선학회 (55) : 97-125, 2020

      84 김세린, "조선 후기 연초문화와 철제입사담배합의 양상" 한국미술연구소 (49) : 143-170, 2019

      85 박혜선, "조선 후기 백자 사각병의 연원과 조형 특징" 미술사연구회 (37) : 91-132, 2019

      86 김수진, "조선 후기 민간 사례용(四禮用) 병풍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187-229, 2019

      87 김세린, "조선 중-후기 왕실용 금속제 입사공예품의 제작도구-의궤기록을 중심으로-" 한국문화연구원 37 : 201-250, 2019

      88 김수진, "조선 왕실에서의 왜장병풍 제작과 그 문화사적 의의"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3) : 42-81, 2019

      89 김현권, "조선 서단의 翁方綱 서풍 수용과 상반된 시선 -行書를 중심으로-" 인문과학연구소 55 : 41-76, 2019

      90 신광희, "조선 18세기 현왕도 일례 - 원각사 소장 <현왕도>" 불교미술사학회 28 : 399-420, 2019

      91 유재상, "조선 18세기 전반 조각승(彫刻僧) 진열(進悅)의 불상 연구 - 작풍(作風)의 변화과정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30 : 61-96, 2020

      92 이군무, "조선 18세기 백자청화운룡문대호 연구: 문양의 특징과 용도 구분을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8 : 7-26, 2019

      93 이슬찬, "조선 17세기 청화백자의 제작과 확산"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47-171, 2019

      94 양수정, "조선 17세기 수첩(繡帖)의 문예사적 가치" 한국민화학회 13 : 6-36, 2020

      95 김규림, "조선 17~18세기 백자원호(白磁圓壺)의 조형과 성격" 한국문화연구원 36 : 153-180, 2019

      96 김귀한, "조선 16세기 왕실의 관요 백자 소비 확대와 辛酉貢案"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9) : 73-92, 2020

      97 박정현, "제작 기술로 본 송림사 사리장엄구 제작 시기 연구"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8) : 45-67, 2020

      98 최엽, "정종여의 불교 주제 회화" 미술사학연구회 (53) : 59-82, 2019

      99 김가희, "정선의 《양천십경첩》 연구: 정선의 새로운 자아 표상과 예술 전략" 서울학연구소 (81) : 1-30, 2020

      100 김가희, "정선과 이병연의 우정에 대한 재고: 《경교명승첩(京郊名勝帖)》의 ‘시거화래지약(詩去畵來之約)’을 중심으로"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3) : 6-41, 2019

      101 김수진, "전통과 혁신: 石堂 공방과 20세기 책거리의 도전" 국립중앙박물관 (98) : 200-225, 2020

      102 전상모, "전람회를 통해 본 한국 근·현대의 서예" 한국동양예술학회 (46) : 217-235, 2020

      103 장진성, "전 안견 필 〈설천도〉와 조선 초기 절파 화풍의 수용 양상"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4) : 6-23, 2019

      104 유미나, "장인의 예술에 대한 경의(敬意): 소호 김철순(小好 金哲淳, 1931~2004)의 민화 수집과 민화론" 한국민화학회 13 : 302-325, 2020

      105 권행가, "장선희와 조선여자기예원"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163-189, 2019

      106 조인수, "잠곡 김육의 초상화 세 점에 대하여 -제작과 전승을 중심으로-" 한국실학학회 (37) : 137-168, 2019

      107 김우경, "자수기법 칠보수(七寶繡)에 관한 연원문제 - 칠보(七寶)와 칠보문(七寶紋)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 한복문화학회 23 (23): 69-86, 2020

      108 김수진, "잊힌 왕실 금병풍 : 데이턴미술관 소장 〈금박해학반도도〉의 국적과 제작 배경" (재)한국연구원 (5) : 249-283, 2020

      109 강영주, "임고서원 소장 한두공 제작(1735년) 정몽주 영정 소개" 포은학회 24 : 279-312, 2019

      110 정지희, "일제강점기 은세공상회를 통해 본 종로의 공간성과 형성배경" 서울학연구소 (74) : 33-80, 2019

      111 신선영, "일제강점기 신윤복 풍속화의 浮上과 재평가" 한국미술사학회 301 (301): 67-92, 2019

      112 최경현, "일제강점기 백윤문의 이원적 창작활동" 미술사학연구회 (53) : 179-200, 2019

      113 이용윤, "일제강점기 기록자료로 본 북한의 조선후기 불화 -함경도와 강원도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201-229, 2019

      114 박금희, "일본 화찰(花札)과 조선후기 민화 화조화" 한국민화학회 11 : 6-33, 2019

      115 이선용, "일본 교토 세이간지(誓願寺) 소장 <金織千佛圖>의 진언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73-98, 2019

      116 류정해, "일본 善覺寺(젠가쿠지) 소장 1583년 <제석천도 (帝釋天圖)>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0 : 7-32, 2020

      117 이정은, "일본 16~17세기 세계지도병풍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49) : 113-142, 2019

      118 손환일,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발견 <은제도금금강경판(銀製鍍金金剛經板)>의 제작시기와 제작법" 동양미술사학회 9 : 149-180, 2019

      119 정우택, "이탈리아 기욧소네동양미술관의 고려 수월관음도" 동악미술사학회 (28) : 35-56, 2020

      120 정현숙, "이산해 쓴 <광산이씨승지공이달선비>의 서예사적 가치"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14 : 173-199, 2019

      121 나상철, "유약과 태토 사이의 중간층을 통해 본 高麗와 宋·金代 청자의 제작기술 관계"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131-159, 2020

      122 전효진, "유교적 출처관에 관한 감계화, 조선시대 四皓圖"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73-105, 2019

      123 전호태, "울산 천전리 각석의 가치와 의미" 한국문화연구원 39 : 7-39, 2020

      124 이용진, "울산 영축사지 출토 불교공예품의 제작시기와 성격" 불교미술사학회 28 : 637-654, 2019

      125 김영순, "우암 송시열의 간찰서예" 한국서예학회 (35) : 145-178, 2019

      126 장계수, "온양민속박물관 소장 《소상팔경화조영모도병풍(瀟湘八景花鳥翎毛圖屛風)》 연구 - 제재의 혼용과 조합을 중심으로" 한국민화학회 13 : 274-301, 2020

      127 홍지석, "오지호와 김주경: 생명의 회화와 데포르메 - 『오지호·김주경 二人畵集』(1938)을 중심으로" 인물미술사학 14·15 : 93-115, 2019

      128 김소연, "오원 장승업― 작가적 위상 정립과 평가의 궤적" 대동문화연구원 (109) : 97-122, 2020

      129 최선일, "예산 향천사 목조아미타삼존불좌상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5) : 129-150, 2019

      130 정지수, "영조대 ≪대사례도권(大射禮圖卷)≫ 연구" 동서미술문화학회 18 (18): 165-188, 2020

      131 유재빈, "열전(列傳)에서 교화서로: <<삼강행실도-열녀편>> 판화의 고전 재해석" 진단학회 (135) : 403-431, 2020

      132 김보배, "여말선초 관음보살상 연구 -윤왕좌보살상을 중심으로-" 동양미술사학회 9 : 181-200, 2019

      133 박은순, "에도시대[江戶時代] 朝鮮 繪畵의 收藏과 鑑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0 : 101-131, 2020

      134 오세덕, "양주 회암사지 유구 분석을 통해 본 시기성과 조선시대 사찰에 미친 영향" 불교미술사학회 28 : 101-125, 2019

      135 배진경, "애춘 신명연(1809-1886)의 화훼화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53) : 151-178, 2019

      136 엄기표, "안양 中初寺址와 安養寺址의 유적 유물에 대한 考察" 동악미술사학회 (26) : 33-70, 2019

      137 홍미숙, "안드레아스 에카르트의 고구려 고분 연구와 성과: 강서대묘와 쌍영총을 중심으로" 미술사학연구회 (52) : 59-83, 2019

      138 최효진, "아카이브를 통해서 본 근대기 영국의 한국 도자 수집 - 르 블론드 컬렉션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0) : 299-324, 2020

      139 정주하, "아계(鵝溪) 이산해(李山海)의 초서 고찰" 한국서예학회 (37) : 127-150, 2020

      140 김지혜, "신윤복 <미인도>의 부상" 대동문화연구원 (109) : 71-96, 2020

      141 이명옥, "신안선 출수 청자과형소주자(靑磁瓜形小注子)의 용도에 관한 시론"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54-169, 2019

      142 고연희, "식물 이미지의 정치성(政治性), ‘세한삼우(歲寒三友)’와 ‘매죽(梅竹)’" 미술사학연구회 (55) : 101-124, 2020

      143 최엽, "스위스 소재 파주 보광사 수구암 후불도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48) : 91-112, 2019

      144 유미나, "숨은 명작, 빛을 찾다" 겸재정선미술관 159-176, 2020

      145 윤진영, "숨은 명작, 빛을 찾다" 겸재정선미술관 131-158, 2020

      146 한정희, "숨은 명작, 빛을 찾다" 겸재정선미술관 177-194, 2020

      147 박은순, "숨은 명작, 빛을 찾다" 겸재정선미술관 109-130, 2020

      148 장계수, "순천 선암사 축성전(현 장경각)의 벽화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99-135, 2019

      149 엄기표, "순천 松廣寺 普照國師 甘露塔과 甘露塔碑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사학회 305 (305): 5-38, 2020

      150 이선주, "순정효황후 주칠나전가구의 제작기법적 고찰" 미술사연구회 (36) : 33-50, 2019

      151 김태형, "송광사 감로암 봉안 목조관음보살좌상 복장 조사" 동악미술사학회 (27) : 153-161, 2020

      152 곽노봉, "설씨부인 권선문첩의 진위 고찰" 한국서예학회 (36) : 123-144, 2020

      153 성기열, "석릉(碩陵) 출토 금구자기(金釦瓷器)의 특징과 성분 분석"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150-167, 2020

      154 서지민, "석남사 비로자나불상을 통해 본 통일신라시대 여래형 지권인 비로자나불상의 도상과 신앙" 불교미술사학회 29 : 83-119, 2020

      155 김정남, "서체분석을 통한 蒼巖서예 고찰" 한국서예학회 (37) : 87-126, 2020

      156 정진희, "서울 봉원사 칠성각 「치성광여래도」 도상연구-새로운 치성광여래 도상의 창출-" 서울역사편찬원 (104) : 131-171, 2020

      157 신광희, "서울 奉恩寺 板殿의 佛畵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7) : 35-59, 2020

      158 최은령, "서산 일락사 미타전 불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7 : 17-37, 2019

      159 강희정, "서산 보원사 사리기와 신라 하대의 해상 교류" 신라사학회 (46) : 155-185, 2019

      160 문혜진, "샤머니즘박물관 무신도의 여신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231-261, 2019

      161 유순영, "사군자화훼수목병풍을 통해 본 석정 이정직의 회화" 사단법인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32) : 59-96, 2019

      162 조태건, "불상의 귀 표현으로 본 조선 후기 조각승의 계보별 특징" 미술사연구회 (38) : 133-158, 2020

      163 이윤주, "불상도금 바탕층위의 전통과 근대적 변화 - 눈메움층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205-231, 2019

      164 김계원, "불상과 사진: 도몬켄(土門拳)의 고사순례와 20세기 중반의 일본미술" 일본연구소 11 (11): 194-223, 2019

      165 이윤주, "불상 도금법의 전통 계승과 근대적 변화" 미술사연구회 (36) : 75-96, 2019

      166 최엽, "불교회화 속 삶의 형태와 의미: 윤회, 재생, 그리고 삶의 경계" 한국민화학회 11 : 98-117, 2019

      167 김현중, "불교와 도교의 交涉과 攝受 - 조선후기 神衆圖의 신선 도상 수용을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7) : 89-124, 2020

      168 김은경, "북한의 도자사 연구 동향과 그 의미" 호서사학회 (95) : 149-189, 2020

      169 이승희, "부여 무량사 극락전 아미타삼존후불도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28 : 475-497, 2019

      170 서현주, "부여 능산리 서고분군 출토 금제오각형장식에 대한 고찰" 한국고대학회 (61) : 211-240, 2019

      171 김태은, "부산 녹산동 고려시대 가마터 출토 청자의 특징과 의의" 한국문화연구원 36 : 81-117, 2019

      172 최선일, "보응문성 작 정읍 약수암 소조관음보살좌상 연구" 불교미술사학회 30 : 97-118, 2020

      173 김지하, "보스턴미술관의 한국미술 컬렉션 연구 (1892~1950)" 동양미술사학회 9 : 231-255, 2019

      174 원승현, "보물 제978호 <白紙金泥大方廣佛華嚴經 卷29>의 조성 연대 및 발원자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98) : 78-103, 2020

      175 박성연, "보림사 철조비로자나불좌상 조성 주체와 배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0 : 7-31, 2020

      176 김소연, "별의 시각화: 한반도 천문 전통으로서의 여말선초 별자리도 고찰" 미술사와 시각문화학회 (25) : 34-63, 2020

      177 문명대, "벽암 각성의 조형 활동과 불상 조성"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15-33, 2019

      178 고영섭, "벽암 각성의 생애와 사상 - 李景奭 撰 「華嚴寺 碧巖堂 覺性大師碑文」을 중심으로"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35-73, 2019

      179 윤열수, "베트남 동호판화와 한국민화" 한국민화학회 12 : 6-21, 2020

      180 한정호, "백제 석조의 성격과 미륵신앙" 한국미술사학회 306 (306): 69-97, 2020

      181 BEN WANG, "백제 서예의 대외 교섭" 한국서예학회 (37) : 41-68, 2020

      182 정현숙, "백제 부여목간과 나주목간의 서풍" 한국목간학회 (24) : 87-109, 2020

      183 이송란, "백제 金花 冠飾: 가시화된 세계수"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8 : 45-69, 2019

      184 설경희, "밀양 영남루 현판들의 서예미와 문화적 특성" 한국서예학회 (37) : 5-40, 2020

      185 서윤정, "민화를 보는 또 하나의 시선: 이우환의 민화론과 민화 컬렉션" 한국민화학회 10 : 96-115, 2019

      186 권형인, "민화 봉명조양도(鳳鳴朝陽圖)의 확산과 변용" 한국민화학회 10 : 76-94, 2019

      187 신용철, "미황사 승탑을 통한 조선후기 승탑의 조영체계 고찰" 동악미술사학회 (25) : 101-127, 2019

      188 이수예, "미황사 <괘불화> 모사본 제작과 활용" 동악미술사학회 (25) : 77-99, 2019

      189 한정호, "몽고전란 이후 황룡사 장육상과 구층탑 사리장치의 변화" 신라문화연구소 57 : 329-350, 2020

      190 배원정, "모던의 상징, 한국 근현대 장미화" 한국예술연구소 (26) : 27-52, 2019

      191 최열, "망각 속의 여성: 19~20세기 기생출신 여성화가" 인물미술사학회 14·15 : 333-412, 2019

      192 장남원, "동해시[三陟] 삼화동 고려 고분 출토 도자의 성격" 호서사학회 (95) : 191-226, 2020

      193 홍선표, "동아대학교 석당박물관 소장 《신구공신상회제명도》" 한국미술연구소 (48) : 71-89, 2019

      194 정희균, "도예가 하마다 쇼지(浜田庄司)의 후기 활동과 조선 도자의 조형적 영향 -1934~1978-" 한국도자학회 16 (16): 259-279, 2019

      195 전나나, "덕수궁 중화전 당가 구조와 오봉병의 원형에 대한 고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189-218, 2020

      196 엄승희, "대한제국기 황실에서 사용된 프랑스자기의 유입과 특징 -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9) : 207-243, 2020

      197 정지희, "대한제국기 및 일제강점기 李花紋의 변화와 宮家紋의 등장"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243-270, 2020

      198 양기홍, "당암포 수중유적 출수 청자 생산지 연구" 한국도자학회 17 (17): 39-52, 2020

      199 정지희, "담양 龍華寺 默潭遺物館의 왕실 시주 공예품 연구" 남도문화연구소 (37) : 255-283, 2019

      200 장진성, "단원 김홍도-대중적 오해와 역사적 진실" 사회평론아카데미 2020

      201 김수진, "누가 김정희를 만들었는가― 김정희 명성 형성의 역사" 대동문화연구원 (109) : 123-154, 2020

      202 이규희, "논산 쌍계사의 근대 불화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9) : 33-65, 2021

      203 야나가와 요스케, "녹향회·노장사상·상업미술 - 새 자료를 통해서 본 심영섭의 미술세계" 인물미술사학회 14·15 : 116-129, 2019

      204 조인수, "김홍도의 불교회화 : 이백(李白)의 「승가가(僧伽歌)」 주제를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30 : 33-59, 2020

      205 김윤희, "김해지역 조선 전기 백자 전개양상" 한국중세고고학회 (6) : 41-67, 2019

      206 최공호, "김진갑의 <나전침대> - 사용자와 제작경위" 미술사연구회 (36) : 7-32, 2019

      207 최정주, "김주경의 1929~1938년 평문 연구 - 민족미술 구현을 위한 계몽적 예술론을 중심으로" 인물미술사학회 14·15 : 43-91, 2019

      208 정지희, "기록으로 살펴 본 조선시대 왕실하사 은기의 변화 양상"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4) : 177-216, 2020

      209 이장존, "금탑사 괘불탱과 만연사 괘불탱의 직물 및 채색 안료 특성 비교" 불교미술사학회 28 : 523-546, 2019

      210 이인숙, "근원 김용준(1904-1967)의 기명절지화 연구" 민족문화연구원 (85) : 493-525, 2019

      211 엄승희, "근대전환기 초대 프랑스 駐朝公使 빅토르 콜랭 드 플랑시(Victor Collin de Plancy)의 도자외교"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167-200, 2019

      212 이혜인, "근대기 황해도 백자항아리의 제작배경과 양식적 특징"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7 : 141-166, 2019

      213 유지복, "근대기 서예·전각가 金台錫(1874-1951)의 생애와 예술 활동" 규장각한국학연구원 (89) : 513-555, 2020

      214 김연진, "근대기 불교조각의 특징과 일본 불상의 유입"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171-203, 2019

      215 최경현, "근대 한국 화단에서의 즉석휘호 합작과 변형" 미술사연구회 (36) : 51-74, 2019

      216 이수경, "근대 평양 출신 여성화가 함인숙의 遺作 - 최미리 기증 2건의 6폭병풍을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95) : 247-265, 2019

      217 엄승희, "근대 초기의 貞洞街와 일대 유적 출토 근대도자의 성격과 특징" 사단법인 한국조형디자인협회 22 (22): 103-125, 2019

      218 조은정, "근대 지식인의 교유와 미술 - 고영철, 안중식, 조석진의 영선사(領選使)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269-291, 2019

      219 권형인, "근대 전환기 구추봉도(九雛鳳圖)의 의미와 상징"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247-267, 2019

      220 김윤정, "근대 영국의 한국도자 컬렉션의 형성 과정과 그 의미"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04-123, 2019

      221 배원정, "근대 여성화가 정찬영(1906-1988)의 채색화조화 연구" 미술사학연구회 (53) : 7-33, 2019

      222 최경현, "근대 서화계의 거장 안중식 - 전통의 계승과 도전, 그리고 한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7-32, 2019

      223 최유진, "근대 상업미술가로서의 임군홍" 미술사학연구회 (53) : 201-222, 2019

      224 권행가, "근대 남성의 몸 만들기와 미술해부학적 지식 - 이쾌대의 <미술해부학 노트>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40) : 169-206, 2020

      225 정지희, "근대 공예품에 대한 인식 전환과 유행"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5) : 197-219, 2020

      226 김윤정, "근대 西歐의 시선으로 본 高麗圖經과 고려청자" 고려사학회 (77) : 239-270, 2019

      227 김우경, "근대 刺繡千手觀音菩薩圖의 양상과 조성배경"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9 : 219-242, 2020

      228 김태홍, "근‧현대기에 운영된 청주 봉산리 옹기가마의 양상과 특징" 호서사학회 (96) : 337-383, 2020

      229 고연희, "그림으로 그려진, 한국 고전 시문학" 한국시가학회 49 : 257-286, 2020

      230 주수완, "귀신사(歸信寺)의 불교조각과 조선의 리얼리즘" 한국불교사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 (17) : 97-130, 2020

      231 유재빈, "궁중행사도와 의궤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연향과 채화(綵花)-진화의식과 잠화를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8 : 71-105, 2019

      232 유옥경,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金弘道 <醉後看花圖>의 재검토"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73-198, 2019

      233 문동수,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통신사행렬도>의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95) : 106-141, 2019

      234 김이순, "광통교의 구(舊) 정릉(貞陵) 석물 연구" 한국미술연구소 (49) : 83-112, 2019

      235 이태호, "광서 9년(1883)에 金觀伍가 그린 〈檀君畵像〉의 畫法과 圖像" 명지대학교 문화유산연구소 8 : 139-149, 2019

      236 최선일, "공주 마곡사 명부전 불상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98) : 130-153, 2020

      237 노유니아, "공예라는 전통과 캐논의 성립: 고미술과 미술공예"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128-141, 2020

      238 주수완, "골굴석굴과 공현석굴 제 1굴의 비교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4) : 95-116, 2020

      239 구혜인, "고종 통치기 건축물 용(龍)장식에 내재된 정치성-발톱수와 장식기법을 통하여" 미술사학연구회 (54) : 63-93, 2020

      240 고연희, "고전과 경영, 조선왕실의 그림책 예원합진(藝苑合珍)" 아트북스 2020

      241 장지훈, "고운 최치원의 ‘風流’와 <海雲臺石刻>" 한국동양예술학회 (49) : 37-52, 2020

      242 정진희, "고성 옥천사 연대암 치성광여래도 도상연구 -칠성각부도상을 중심으로-" 동악미술사학회 (27) : 61-88, 2020

      243 이승희, "고려후기 관경16관변상도의 원류와 독자성" 국립중앙박물관 (95) : 14-42, 2019

      244 이희관, "고려청자와 여요자기 사이의 간극- 고려청자로 인식된 두 점의 여요풍 자기에 대한 검토" 석당학술원 (74) : 55-85, 2019

      245 박정민, "고려청자 연구에 있어서 『宣和奉使高麗圖經』의 활용양상과 가치"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47-72, 2019

      246 엄기표, "고려시대 遼 연호 借用 文物의 현황과 특징" 불교미술사학회 28 : 707-756, 2019

      247 사공영애, "고려시대 화훼문화와 화기(花器)" 한국중세고고학회 (5) : 69-101, 2019

      248 김소영, "고려시대 청자화분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99-130, 2019

      249 오영인, "고려시대 원숭이형 청자문방용구에 대한 시론(試論)" 국립민속박물관 (45) : 121-154, 2019

      250 정명희, "고려시대 신앙의례와 불교회화 시론(試論) - ‘대고려918·2018 그 찬란한 도전’ 특별전 출품작을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37-66, 2019

      251 정은우, "고려시대 불교조각 연구와 새로운 관점" 불교미술사학회 27 : 7-16, 2019

      252 김세린, "고려시대 금속공예 선각(線刻)기법의 기술과 유형" 국립문화재연구소 53 (53): 24-41, 2020

      253 신숙, "고려시대 ‘찬란한’ 금속공예: 보스턴미술관 소장 <은제도금 주자와 승반>"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25-145, 2019

      254 박지영, "고려궁성 출토 명문·기호 청자 고찰"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22-141, 2019

      255 홍선표, "고려 후기 강남경 산수화의 대두와 이곽파화풍의 전개" 한국미술연구소 (50) : 253-271, 2020

      256 홍선표, "고려 초기 회화의 조명" 한국미술연구소 (48) : 39-70, 2019

      257 홍선표, "고려 중기의 북송과의 회화 교류" 한국미술연구소 (49) : 53-82, 2019

      258 허선영, "고려 전기 분묘 출토 청동용기의 등장과 전개" 한국중세고고학회 (5) : 125-159, 2019

      259 홍선표, "고려 말기 인물화의 제 양상(1)" 한국미술연구소 (51) : 7-43, 2020

      260 한혜선, "고려 도기 연구" 역락 2019

      261 정수희, "고려 雙龍文鏡의 계보와 용도" 미술사연구회 (36) : 97-132, 2019

      262 정현숙, "고려 <월남사지진각국사비>의 서체와 서풍" 한국서예학회 (35) : 37-67, 2019

      263 왕분, "고구려 서예의 대외교섭" 문화예술콘텐츠연구소 15 : 297-320, 2020

      264 김진순, "고구려 고분벽화 연구 동향과 과제 -한국 학계의 미술사 연구를 중심으로-" 동양미술사학회 9 : 127-148, 2019

      265 최병길, "고구려 각저총 씨름도의 도상해석" 동악미술사학회 (28) : 7-34, 2020

      266 김동하, "경주 사천왕사지 출토 綠釉水波形塼에 대한 검토" 불교미술사학회 28 : 593-612, 2019

      267 김지현, "경주 무장사지 삼층석탑의 조영계획과 동계열의 석탑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7 : 137-184, 2019

      268 신용철, "경주 남산 자연석 기단 석탑에 대한 고찰" 불교미술사학회 28 : 79-100, 2019

      269 황보경, "경기지역 고려시대 고분에 부장된 도·자기의 훼기 습속 고찰" 국립민속박물관 (45) : 155-186, 2019

      270 박정애, "개화기 겸재 정선 회화의 모방과 복제, 유통의 일 단면 : 영국도서관 소장품을 중심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 42 (42): 141-189, 2019

      271 윤현진, "개항기 서구인들의 미인도 수집과 그 의의" 한국민화학회 13 : 164-189, 2020

      272 엄기표, "강진 月南寺址 三層石塔과 塔址에 대한 고찰" 인문학연구소 (55) : 153-201, 2019

      273 이경화, "강세황의 묵죽화와 회화 酬應" 한국실학학회 (38) : 247-284, 2019

      274 성인근, "강세황 전각 연구-『해암인소(海巖印所)』를 중심으로-" 한국서예학회 (36) : 205-230, 2020

      275 강관식, "龍珠寺 〈三世佛會圖〉의 祝願文 解釋과 製作時期 推定" 국립중앙박물관 (96) : 155-180, 2019

      276 신정수, "黃山 金逌根의 硏山圖와 관련 題畫詩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43) : 136-171, 2020

      277 송은석, "麗末鮮初 補陀落迦山 觀音의 信仰과 美術" 불교미술사학회 28 : 249-271, 2019

      278 엄기표, "韓國 近代期 石塔의 建立 現況과 特徵" 한국문화사학회 (54) : 215-256, 2020

      279 나상철, "韓․中 象嵌技法의 種類와 技術的 差異" 호서사학회 (93) : 311-354, 2020

      280 정은우, "陜川 海印寺 希朗大師像의 특징과 제작 의미" 국립중앙박물관 (98) : 54-77, 2020

      281 신광희, "通度寺 應眞殿의 <釋迦說法圖> 연구" 동악미술사학회 (26) : 5-31, 2019

      282 고연희, "謙齋 鄭敾, 그 名聲의 근거 검토" 대동문화연구원 (109) : 7-32, 2020

      283 한상윤, "船遊와 遊山으로 본 鄭遂榮의 《한임강유람도권》 고찰" 국립중앙박물관 (96) : 89-122, 2019

      284 신광희, "美黃寺 羅漢圖의 제작 양상과 특징" 동악미술사학회 (25) : 31-52, 2019

      285 최정범, "羅末麗初期 唐式 帶裝飾具의 終末과 繼承" 중앙문화재연구원 (33) : 59-83, 2020

      286 김홍남, "統一新羅前期 石造建築의 隱藏 硏究 I - 감은사석탑, 불국사 석가탑, 석굴암, 월정교·춘양교를 중심으로 -"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5-37, 2019

      287 김홍남, "統一新羅 前期 石造建築의 隱藏 硏究 II - 국제적 맥락에서 본 한반도 출현 은장의 의미 -"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5-45, 2019

      288 김정희, "碧巖 覺性과 華嚴寺 靈山會掛佛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99-141, 2019

      289 박도화, "碧巖 覺性 발원 順天 松廣寺刊 大方廣佛華嚴經疏 變相圖"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143-171, 2019

      290 박정숙, "石峯 千字文 서체의 서예적 위상 檢證 연구" 한국동양예술학회 (46) : 83-115, 2020

      291 선오, "畵僧 義均의 門中과 畵緣關係" 불교미술사학회 28 : 421-444, 2019

      292 고연희, "申緯의 감각과 申命衍의 色彩" 한국한문학회 (75) : 147-182, 2019

      293 남동신, "甘山寺 阿彌陀佛像과 彌勒菩薩像 造像記의 연구" 국립중앙박물관 (98) : 22-53, 2020

      294 정송이, "甘山寺 石造彌勒菩薩立像과 金志誠의 佛敎信仰"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8 : 173-196, 2019

      295 최정범, "烏山 紙串洞 遺物散布地3 收拾 唐式 帶裝飾具 檢討와 京畿地域에서의 意味 考察"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6) : 69-89, 2019

      296 조인희, "滄江 趙涑(1595-1668)의 문화사적 위상" 동악미술사학회 (27) : 7-34, 2020

      297 이희관, "泰安 대섬 出水 高麗靑瓷의 製作時期 專論" 한국학연구소 (68) : 165-201, 2019

      298 황정연, "沈煥之의 서화취미와 수집― 18세기 京華士族 收藏家의 재발견" 대동문화연구원 (105) : 97-128, 2019

      299 이혜원, "正祖의 奎章閣臣 書齋肖像 요구 : 정조대 서재초상화의 새로운 양상" 규장각한국학연구원 (56) : 217-244, 2020

      300 민길홍, "模寫를 통한 家傳과 傳承, 조선시대 <南池耆老會圖> - 국립제주박물관 소장본을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95) : 230-246, 2019

      301 황정연, "李王職 관료 朴冑彬의 서화수집과 《書牎淸供》" 한국미술사학회 301 (301): 37-66, 2019

      302 김은경, "朝鮮의 淸 琺瑯瓷器 유입경로와 수용태도 연구"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7 : 115-140, 2019

      303 김세영, "朝鮮 後期 華嚴 佛事의 地域的 流行과 僧侶門中 交流 : 송광사 화엄전 불사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40 : 133-160, 2020

      304 김다영, "朝鮮 後期 浮休門中의 佛事와 義謙派 佛畫 - 順天 松廣寺 佛畫 造成 佛事를 중심으로 -" 국립중앙박물관 (98) : 154-175, 2020

      305 박은순, "日本 御用畵師 가노파狩野派와 朝鮮 관련 繪畫"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8 : 225-256, 2019

      306 진정환, "康津 月南寺址 三層石塔 造成時期와 性格" 한국미술사학회 303 (303): 73-98, 2019

      307 제지현, "崔天若이 제작·감독한 조선 왕실 御寶 연구" 한국미술사학회 304 (304): 137-165, 2019

      308 유재빈, "崔北, 奇人 화가의 탄생" 대동문화연구원 (109) : 33-70, 2020

      309 이경화, "太平宰相의 초상 -채제공 초상화의 제작과 함의에 관한 재고" 한국실학학회 (39) : 234-268, 2020

      310 이수미, "十六世紀 實景山水畫 이해의 확장 : 〈鏡浦臺圖〉, 〈叢石亭圖〉를 중심으로" 국립중앙박물관 (96) : 18-53, 2019

      311 김지현, "八部衆像이 浮彫된 경주지역 석탑의 선후관계 고찰 - 동일한 圖像本을 활용한 석탑을 중심으로" 불교미술사학회 29 : 43-81, 2020

      312 강병희, "佛日 普照國師 甘露塔의 조성 시기와 양식적 기원" 한국미술사학회 307 (307): 67-112, 2020

      313 이성훈, "任希壽의 ≪七分傳神帖≫ 연구 −小北 南黨系 인사들의 재현과 그 의미−" 온지학회 (65) : 161-202, 2020

      314 오승환, "三國時代 匙箸의 普及과 食事方式" (사)한국문화유산협회 (34) : 81-114, 2019

      315 성윤길, "『세종실록(世宗實錄)』「 지리지(地理志)」 나주목(羅州牧)의 자기소(磁器所)·도기소(陶器所) 위치 연구"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4-37, 2019

      316 장남원, "『미구회람실기』(1878)의 도자관련 기록 검토" 한국미술연구소 (50) : 273-298, 2020

      317 장희정, "『玉歷寶鈔』 삽도의 勸善的 시각 묘술- 『重刊玉歷至寶鈔』를 중심으로 -" 동악미술사학회 (25) : 151-181, 2019

      318 신수경, "『吳之湖·金周經 二人畵集』을 통해서 본 김주경의 1930년대 작품" 인물미술사학회 14·15 : 9-41, 2019

      319 유재빈, "「무이도가」와 <무이구곡도>의 상호 읽기 -강세황에게 주문한 이익과 남하행의 무이구곡도를 중심으로" 한국사상사학회 (65) : 73-108, 2020

      320 유지복, "《해동명적》을 통해 본 조선 초기 서풍"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48-169, 2019

      321 김동욱, "〈서산 보원사지 오층석탑〉의 양식 특징과 건립 시기" 한국미술사학회 307 (307): 35-66, 2020

      322 황빛나, "‘진경’의 고(古)와 금(今): 근대기 사생과 진경 개념을 둘러싼 혼성과 변용 문제" 한국미술연구소 (48) : 113-134, 2019

      323 김소연, "‘조선후기 회화’의 연구사 -풍속화의 재발견과 단원 김홍도(檀園 金弘道)-" 한국문화연구원 37 : 133-160, 2019

      324 김계원, "‘여자’를 찍는 법 - 20세기 중반 일본의 ‘여성미’ 사진과 누드사진"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191-221, 2019

      325 김경연, "‘보편회화’ 지향의 역사 - 20세기 전반기 동양화 개념의 형성과 변모에 대하여"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33-57, 2019

      326 김명주,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전라도·경상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서예학회 (37) : 323-374, 2020

      327 김명주, "‘頑民不事二君' 석촌 윤용구의 금석문 연구 ―강원도, 경기도,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한국서예학회 (36) : 29-69, 2020

      328 박정민, "‘內子’銘으로 본 조선 전기 분청사기의 同音誤字 명문 사례와 의의" 국립중앙박물관 (97) : 55-68, 2020

      329 김윤정, "Reconsidering Goryeo Art and Its Significance in Academia and Beyond" 한국학중앙연구원 22 (22): 355-364, 2019

      330 박정민, "Recognition and the Research Trend of Goryeo Celadon by North Korea" 한국학연구소 (70) : 43-76, 2019

      331 박영아, "Picturing the Divine Agents of Food Bestowal: The Seven Buddhas in the Sweet-Dew Painting of the Chosŏn Period,1392-1910" 한국미술사학회 307 (307): 5-33, 2020

      332 서윤정, "A New Way of Seeing: Commercial Paintings and Prints from China and European Painting Techniques in Late Chosŏn Court Painting" 한국학연구원 22 (22): 61-87, 2019

      333 송수영, "<보은 법주사 주서무일편 병풍(報恩 法住寺 周書無逸篇 屛風)>의 서사자(書寫者)에 대한 논의 제고" 한국서예학회 (34) : 113-144, 2019

      334 전상모, "20세기 초 전통적 서화관의 근대적 변용" 한국서예학회 (36) : 231-248, 2020

      335 송희경, "20세기 초 문묘와 공자상의 전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109-129, 2019

      336 유미나, "20세기 전반 대중문화의 회화적 형상화 ―전주역사박물관《고사인물도》 병풍과 동아대박물관《고사인물도》 병풍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사교육학회 37 : 167-197, 2019

      337 최경화, "19세기 조선왕실 혼례용 백자의 구성과 특징" 한국문화연구원 39 : 41-92, 2020

      338 김승익,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인의 한국 서화 수집 - 사노시향토박물관(佐野市鄕土博物館) 스나가문고(須永文庫)를 중심으로"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59-85, 2019

      339 강영주, "19세기 말~20세기 전반기 최영장군 신앙과 무신도 연구" 한국민화학회 11 : 58-97, 2019

      340 고연희, "19세기 금강산도의 일면 - 개인소장 ‘금강산도 10폭병풍’ 고찰" 온지학회 (58) : 303-338, 2019

      341 고연희, "19세기 ‘地球’와 ‘世界’에 대한 시각적 인식- 集玉齋 수입서적 地球說略을 중심으로" 한국고지도연구학회 11 (11): 135-154, 2019

      342 정붓샘, "1929년 조선박람회와 요시다 하츠사부로의 조선 조감도" 미술사연구회 (37) : 33-66, 2019

      343 정희정, "1920년대 신문 연재소설 삽화와 모더니티: 인체 표현을 중심으로" 한국미술연구소 (48) : 135-156, 2019

      344 김소연, "1920년대 미술교육과 근대화단의 재편"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구 한국근대미술사학회) (38) : 87-108, 2019

      345 서윤정, "1910-1920년대 식민지 시대의 벽화: 전통과 근대, 공공성과 예술의 담론 사이에서" 인문과학연구소 40 (40): 13-42, 2019

      346 양수정, "18세기 이후 자수(刺繡)와 제작가(製作家)에 관한 제(諸)면모" 미술사학연구회 (54) : 95-123, 2020

      347 이강근, "17세기 碧巖 覺性의 海印寺·華嚴寺 再建에 대한 연구" 한국불교미술사학회 (52) : 75-97, 2019

      348 이용윤, "17세기 淸州 畵僧 信謙의 활동과 괘불도 조성" 미술사연구회 (36) : 133-157, 2019

      349 오다연, "1788년 김응환의 봉명사경과 《海嶽全圖帖》" 국립중앙박물관 (96) : 54-88, 2019

      350 김소연, "1764年 作 長興寺 地藏十王圖 試論" 한국미술사학회 302 (302): 101-123, 2019

      351 김영희, "1730년 의겸(義謙) 작내원정사 목조관음보살좌상 연구 - 조선후기 백의관음신앙의 측면에서" 불교미술사학회 29 : 121-142, 2020

      352 정명희, "1725년 義謙畫派의 송광사 불조전 〈五十三佛圖〉" 국립중앙박물관 (95) : 142-165, 2019

      353 오영인, "15세기 초반 경상도 상주목 일대 화기(花器)의 감조(監造) 배경과 견양(見樣)으로서의 의미" 국립문화재연구소 52 (52): 112-129, 2019

      354 김자현, "15세기 王室發願 佛敎變相版畵의 제작과 흐름" 불교미술사학회 27 : 39-72, 2019

      355 김은경, "15세기 明 暗黑期(1436~1463) 청화백자의 조선 유입과 수용" 석당학술원 (76) : 147-180, 202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0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 (등재유지)
      2015-01-01 평가 우수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05 1.05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4 0.75 1.505 0.5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