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최 현배의 ‘비판 학문’을 새김 = A Discussion on Choe Hyeon-Bae’s ‘Critical Learning’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3904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May 2023, I delivered the Oesol Memorial Lec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2022 by the Korean Institute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o honor Oesol Choi Hyeon-bae (1894-1970)...

      In May 2023, I delivered the Oesol Memorial Lecture which was established in 2022 by the Korean Institute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and the Korean Association of Humanities and the Social Sciences to honor Oesol Choi Hyeon-bae (1894-1970), a pioneer in Korean studies. Looking back on how I encountered and valued Choi’s thoughts, in this lecture I summarized what I have argued over the years: that we should go beyond the conventional framing of him as a 'man of Hangeul-Korean language' who preserved and propagated the language, and that Choi should be regarded as a man of thought making his mark through his invaluable books including Joseon-minjok kaengsaeng-ui Do (The Way of Renewal of the Joseon Nation) (1926) and Narasarang-ui Gil (Road to Love the Country) (1958). I take a fresh look at his thought and show him as a man of critical learning. First, Choi, following the work of Joo Si-gyeong (the foremost leader of the Korean language movement) who joined Seo Jae-pil's Dongnip-sinmun (The Independent Newspaper) movement (1895-1899), advocated transforming the ‘reform from below’ into ‘critical learning.’ Along with this, Choi promoted the critique ‘from the inside’ against the lethargic life stuck in the framework of the existing order, and, taking in Pestalozzi's universal view of humanity that he encountered at university, rejuvenated it to an active life. Reflecting on Choi’s intellectual spirit, who persistently practiced his critique during Japanese colonial rule, and also during the nation-building era after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I examine our knowledge society today in Korea.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겨레 학문의 선구자 외솔 최 현배(1894-1970)를 기리고자 하여 2022년 (사)한국인문사회과학원과 한국인문사회과학회가 만든 ‘외솔 기림 강연’의 두 번째 강연자로 2023년 봄 학술대회...

      이 글은 겨레 학문의 선구자 외솔 최 현배(1894-1970)를 기리고자 하여 2022년 (사)한국인문사회과학원과 한국인문사회과학회가 만든 ‘외솔 기림 강연’의 두 번째 강연자로 2023년 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원고이다. 여기서, 나는 어떻게 그의 생각을 만나 그의 생각을 귀하게 여겨 새김질하게 되었는지를 돌이켜 나의 삶 한 자락을 적는다. 이 길에서, 나는 우리 말글을 다지고 지켜온 ‘한글의 사람’으로 외솔을 바라보는 생각의 틀을 넘어서서, 「조선 민족 갱생의 도」(1926)와 「나라사랑의 길」(1958)을 비롯한 그의 값진 저작을 들어 외솔을 우리 지성사에 한 획을 긋는 ‘생각의 사람’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는 논지를 내세워왔다. 이 글은 사상가 외솔의 정신을 새삼 살펴 그가 연 ‘비판 학문’을 들추어낸다. 먼저, 우리 말글 연구와 운동을 이끈 주 시경의 뒤를 이어 이 일을 이끌어온 외솔은 주 시경이 참여한 서 재필의 <독립신문> 운동이 내세운 ‘아래로부터’의 개혁을 비판 학문으로 옮겨놓았다는 점을 밝힌다. 이와 이어, 외솔은 공부 길에서 만난 페스탈로치의 ‘보편 인간관’에 힘입어 현존 질서의 틀에 박힌 무기력한 삶에 맞서 활기 넘치는 삶으로 바꾸어야 한다는 ‘안으로부터’의 비판을 학문 정신으로 삼았다는 점을 드러낸다. 왜인의 지배에 맞섬과 해방된 다음 새 나라의 일굼에서도 한결같이 지켜온 외솔의 비판 학문을 새기며 이 글은 오늘날의 우리 지식 사회를 뜯어보고 우리의 모습을 살핀다.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