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사회공간적 범주화와 ‘양반다움’의 문화정치적 구성: 현대 청도 종족에 대한 민족지적 연구 = Socio-Spatial Categorization and Cultural Political Construction of Yangbanness An Ethnographic Study of the Modern Lineages of Cheongd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37507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청도 양반 종족원이 문화적 정체성을 두고 경합하면서 어떻게 행정경계와 다르게 사회공간적 범주화를 실천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서 필자는 집과 ...

      이 논문의 목적은 오늘날 청도 양반 종족원이 문화적 정체성을 두고 경합하면서 어떻게 행정경계와 다르게 사회공간적 범주화를 실천하였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아울러서 필자는 집과 마을, 군의 하위지역, 도의 접경 지역에서 그들이 창출한 여러 가지 사회적 공간의제 형태와 문화적 경계를 해석하고자 하였다.
      먼저, 양반 가문의 후손이 청도를 분획한 ‘산동’과 ‘산서’ 지역에 대한 사회공간적 표상은 문화적 맥락에서 ‘양반다움’을 드러내는 정치적 행동과 관련될 뿐만 아니라 사회적 거리가 공간적 거리로 전환됨을 보여준다. 청도의 지리적 상이성을 토대로 한 종족집단의 정치적 지배력에 대한 경합은 산동과 산서의 분절된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특히 산서 지역에서는 서원이나 재실의 수가 놀랄 만하게 증가하는데 이것은 신양반이 정치적 권력과 경제적 능력을 확보하여 지역 엘리트로서 사회적 우위를 유지하기 위한 문화적 실천을 하는 데서 비롯한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더불어서 종족촌의 사회공간적 범주의 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영토적 장소로서 중심된 마을은 ‘큰집’과 ‘작은 집’의 관계로 배열되어 있다. 사회적 범주로서의 집은 종족으로 영속되고 있다. 분파된 종족집단은 군 경계를 넘어 위치하고 있다. 특히 양가와 생가 사이에 재산상속 문제와 관련된 파양(罷養)이나 재양자 지정, 입양 이후 형성된 파(派) 갈림으로 인해 마을의 사회적 공간도 구분된다. 둘째, 입가자에게는 사회적 구심력이, 출가자에게는 사회적 원심력이 작용하였다. 1970년대 이후 마을 사람들의 통혼권은 산서 지역에서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셋째, 묘소공간은 가까운 친척과 먼 친척의 관계망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 묘소공간은 산록 아래에서 위로 올라가면서 입촌한 선조로부터 아랫세대의 후손을 매장하는 역장의 방식으로 조성되어 있다. 두 문중이 한 산소를 두고 벌인 묘시비로 인해 마을과 미시 지역, 그리고 접경 지역을 넘어서 사회적 위계를 두고 다투는 권력장이 형성되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today’s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n Cheongdo practice socio-spatial categorization which differs from that of offic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hen contesting for cultural identity. By looking more clos...

      This paper aims to understand how today’s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n Cheongdo practice socio-spatial categorization which differs from that of official administrative boundaries when contesting for cultural identity. By looking more closely at the diverse forms of social spaces they created through established cultural boundaries in villages, county subregions, and provincial border regions, it is possible to understand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on these descendants' cultural identity. Initially, the socio-spatial representation of the Sandong and Sanseo regions, which were separated by the descendants of the yangban lineages, is one example of how the cultural influence of yangbanness has manifested in a political manner, resulting in the transformation of a social distance into a spatial distance in Cheongdo. The contestation between lineage groups over the political domination of physical territory has continued to influence the production of divided social spaces between Sandong and Sanseo. Particularly in the case of the Sanseo region, the number of Confucian academies, shrines has increased remarkably; which came about as a result of new elites’ social practices which focused on the maintenance of their social superiority through the enforcement of political and economic power during the era.
      In addition to these finding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o-spatial categories in Sinchon as a lineage village are as follows. Firstly, their main village consisted of a territorial place that included both a big house and a little house, which reveals how the house society, as a social unit, continued to perpetuate the concept of lineage. The segmented lineage groups are located across county boundaries, and the residents’ social space has been divided between the adoptive family and the adopted family, in accordance with the dissolution of adoption in relation to the succession of property, the designation of the re-adopter, and the division of family branch formed after adoption. Secondly, the social centripetal force which acts on women who marry into family, and the social centrifugal force’s effects on the women who marry out of the family. Since the 1970s, the marriage spheres of villagers have enlarged from the Sanseo region to across the country. Thirdly, the tomb spaces are arranged by networks of near kin and distant kin, and they are constructed in the manner of an upside-down burial, in which the descendants of the lower generation from the ancestors who entered the village are arranged from the bottom of the mountain to the top. The tomb lawsuits between the two lineages over the same graveyard created power fields which resulted in the quarreling over social hierarchy beyond their village, micro-region and border region.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최병두, "현대사회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3

      2 청도향교, "향안정명록(鄕案正名錄)"

      3 박성용, "통혼권의 공간동학적 의미" 28 : 377-405, 1995

      4 정승모, "통혼권과 지역 사회체계연구" 15 : 121-137, 1983

      5 청도향교, "청도향교지" 대구출판사 2018

      6 청도향교, "청도향교중건등록(淸道鄕校重建謄錄)"

      7 왕한석, "집의 이름과 친족관계에 대한 명칭" 28 (28): 223-244, 1995

      8 박성용, "지역 사회의 문화지도; 청도의 서원·재실·정자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7 : 125-159, 2000

      9 밀직부사공파 신안종중, "지산서원지" 대보사 2005

      10 박성용, "지명의 정치학 -청도 김씨 종족집단과 ‘청도면’ 지명 명명 사례연구-" 역사문화학회 21 (21): 7-39, 2018

      1 최병두, "현대사회지리학" 한울아카데미 2003

      2 청도향교, "향안정명록(鄕案正名錄)"

      3 박성용, "통혼권의 공간동학적 의미" 28 : 377-405, 1995

      4 정승모, "통혼권과 지역 사회체계연구" 15 : 121-137, 1983

      5 청도향교, "청도향교지" 대구출판사 2018

      6 청도향교, "청도향교중건등록(淸道鄕校重建謄錄)"

      7 왕한석, "집의 이름과 친족관계에 대한 명칭" 28 (28): 223-244, 1995

      8 박성용, "지역 사회의 문화지도; 청도의 서원·재실·정자를 중심으로" 국립민속박물관 7 : 125-159, 2000

      9 밀직부사공파 신안종중, "지산서원지" 대보사 2005

      10 박성용, "지명의 정치학 -청도 김씨 종족집단과 ‘청도면’ 지명 명명 사례연구-" 역사문화학회 21 (21): 7-39, 2018

      11 도이힐러, 마르티나, "조상의 눈 아래에서: 한국의친족, 신분 그리고 지역성" 너머북스 2018

      12 청도향교, "정명구록(正名舊錄)"

      13 전경수, "전통적 생활양식 연구(하)" 한국학중앙연구원(한국정신문화연구원) 157-209, 1984

      14 송도영, "일상 공간행위와 재현을 통한 도시경관의 문화정치: 파리 20구 벨빌 지역 이주민 커뮤니티의 사례" 비교문화연구소 14 (14): 151-184, 2008

      15 정은주, "이주 공간 연구와 이주민 행위주체성(agency) 담론에 대한 비판적 검토" 비교문화연구소 23 (23): 145-185, 2017

      16 조강희, "영남지방 양반가문의 혼인관계" 경인문화사 2006

      17 박성용, "양반 종족촌락의 지명에 나타난 사회적 공간의 위계와 구별짓기 -청도 신촌의 사례-" 국립민속박물관 (45) : 55-90, 2019

      18 김택규, "씨족부락의 구조연구" 일조각 1982

      19 김성우, "밀성박씨 소고공파의 청도 정착과 종족활동" 91 : 185-221, 2001

      20 김광억, "문화의 정치와 지역 사회의 권력구조: 안동과 안동 김씨" 서울대학교 출판문화원 2012

      21 박성용, "묘지의 공간구성과 사회관계의 배열- 신촌의 사례 -" 비교문화연구소 8 (8): 29-60, 2002

      22 이종국, "마을지명 유래지" 청도문화원 1996

      23 박성용, "농업생산, 교환, 그리고 사회적 공간" 23 : 63-84, 1991

      24 조명래, "공간으로 사회읽기: 개념, 쟁점과 대안" 한울 아카데미 2013

      25 경상북도, "경북향교지" 삼광출판사 1991

      26 Evans–Prichard, E. E., "The Nuer: A Description of the Modes of Livelihood and Political Institutions of a Nilotic People" Oxford University Press 1971

      27 Low, Setha M., "The Anthropology of Space and Place: Locating culture" Blackwell 2003

      28 Pellow, Deborah, "Setting Boundaries: The Anthropology of Spatial and Social Organization" Bergin and Garvey 1996

      29 Chombart de Lauwe, P.H., "Paris et l’agglomération parisienne:l’espace social dans une grande cité, vol. 1" PUF 19-26, 1952

      30 Rouse, Roger, "Mexican Migration and the Social Space of Postmodernism" 1 (1): 8-23, 1991

      31 Feuchtwang, Stephan, "Making Place: State Projects, Globalisation and Local Reponses in China" UCL Press 2004

      32 Bourdieu, Pierre, "La Distinction" Minuit 1979

      33 Hassoun, Jean–Pierre, "Hmong du Laos en France: Changement social, initiatives et adaptations" PUF 1997

      34 Lévi–Strauss, Claude, "Dictionnaire de l’ethnologie et de l’anthropologie" PUF 1991

      35 Gupta, A., "Culture, Power, Place: Explorations in Critical Anthropology" Duke Univerisity Press 1997

      36 Roose, H., "Culture of Distinction or Culture of Openness? Using a Social Space Approach to Analyze the Social Structuring of Lifestyles" 40 : 401-513, 2012

      37 Delle, J. A., "An Archaeology of Social Space" Plenum Press 1998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8 0.78 0.9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6 0.86 1.47 0.1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