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버섯으로 네트워크 형성하기:1970년대 한국균학회의 학문 정체성 형성 = Forming a network with mushrooms: Formation of academic identity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in the 1970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37393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its own new Society identity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e emergence of new sci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studied abroad since the 1960s has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Various academic groups were created, as a new academic communication space. Why did the young researchers want to create a new academic organization under the special theme of mycology? A society founded by young researchers had to have a different identity from existing societies. In order to highlight such uniqueness, researchers from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emphasize mushrooms as a research subject newly included as fungi in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recruited researchers from outside the academic world into the academic society. As a result, even though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was established to cover the entire study of fungi, researches on fungi and yeast were excluded from research topics in this journals, and focused on mushrooms-oriented research. This was an academic achievement made in the academic space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is paper illuminates the uniqu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ushroom research space for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emerging society.
      번역하기

      This paper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its own new Society identity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e emergence of new scientists and engineers who ha...

      This paper examine the process of establishment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its own new Society identity by analyzing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e emergence of new scientists and engineers who have studied abroad since the 1960s has also brought about changes in the Korean science and technology community. Various academic groups were created, as a new academic communication space. Why did the young researchers want to create a new academic organization under the special theme of mycology? A society founded by young researchers had to have a different identity from existing societies. In order to highlight such uniqueness, researchers from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emphasize mushrooms as a research subject newly included as fungi in the biological classification system. And it recruited researchers from outside the academic world into the academic society. As a result, even though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was established to cover the entire study of fungi, researches on fungi and yeast were excluded from research topics in this journals, and focused on mushrooms-oriented research. This was an academic achievement made in the academic space of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This paper illuminates the unique process of the formation of the mushroom research space for the Korean Society of Mycology and the establishment of the academic identity of the emerging society.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균학회의 창립 과정과 󰡔한국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해 신생학회가 학문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신생학회의 창립과 학술지 발간을 단순히 학문의 분화 단계로 보기보다는, 고유한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1960년대 이후 해외 유학을 경험한 신진 과학기술자들의 등장은 국내 과학기술계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학술단체가 만들어졌고, 새로운 학문 소통 공간으로 창출되었다. 왜 신진연구자들은 균학이라는 주제로 새로운 학술단체를 만들고자 했는가? 그리고 신생학회는 기존 학회와 무엇이 달랐는가? 신진연구자들이 창립한 학회는 기존 학회와 다른 독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그러한 독자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국균학회의 연구자들은 생물분류체계에서 균류로 새롭게 포함된 버섯을 연구 대상으로 부각시켰다. 그리고 버섯을 매개로 학계 밖 연구자들을 학회 안으로 포섭했다. 그 결과, 한국균학회는 균류 연구 전체를 포괄하기 위해 창립되었지만 정작 학술지에서 곰팡이, 효모 연구는 연구 주제에서 배제되었고, 버섯 중심의 연구가 부각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균학회라는 학술 공간에서 만들어진 학술적 성과였다. 한국균학회는 버섯 연구 공간의 형성이자, 신생학회의 학문 정체성이 확립되는 독특한 과정을 보이고 있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한국균학회의 창립 과정과 󰡔한국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해 신생학회가 학문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신생학회의 창립과 학술지 발간을 단순히 ...

      본 논문은 한국균학회의 창립 과정과 󰡔한국균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해 신생학회가 학문 정체성을 확립해가는 과정을 살펴볼 것이다. 신생학회의 창립과 학술지 발간을 단순히 학문의 분화 단계로 보기보다는, 고유한 학문적 정체성이 확립되어가는 과정으로 파악하고자 한다. 1960년대 이후 해외 유학을 경험한 신진 과학기술자들의 등장은 국내 과학기술계에도 변화를 가져왔다. 다양한 학술단체가 만들어졌고, 새로운 학문 소통 공간으로 창출되었다. 왜 신진연구자들은 균학이라는 주제로 새로운 학술단체를 만들고자 했는가? 그리고 신생학회는 기존 학회와 무엇이 달랐는가? 신진연구자들이 창립한 학회는 기존 학회와 다른 독자성을 가지고 있어야 했다. 그러한 독자성을 부각하기 위해 한국균학회의 연구자들은 생물분류체계에서 균류로 새롭게 포함된 버섯을 연구 대상으로 부각시켰다. 그리고 버섯을 매개로 학계 밖 연구자들을 학회 안으로 포섭했다. 그 결과, 한국균학회는 균류 연구 전체를 포괄하기 위해 창립되었지만 정작 학술지에서 곰팡이, 효모 연구는 연구 주제에서 배제되었고, 버섯 중심의 연구가 부각되는 모습이 나타났다. 이는 한국균학회라는 학술 공간에서 만들어진 학술적 성과였다. 한국균학회는 버섯 연구 공간의 형성이자, 신생학회의 학문 정체성이 확립되는 독특한 과정을 보이고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균학회, 10 (10): 1982

      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0 (10): 1982

      3 한국미생물학회, 20 (20): 1982

      4 KIP, "女性農博第1号金三純女史の論文が世界20ケ国の核学者か引張ダコ"

      5 한국균학회, "회무보고" 1 (1): 46-, 1973

      6 매일경제, "활발한 양송이 수출"

      7 김환석, "한국의 과학자 사회: 역사, 구조, 사회화" 궁리 2010

      8 한국산업미생물학회,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년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9 서정훈,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년사" 1-4, 1993

      10 김삼순, "한국산버섯도감" 영풍출판사 1990

      1 한국균학회, 10 (10): 1982

      2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 10 (10): 1982

      3 한국미생물학회, 20 (20): 1982

      4 KIP, "女性農博第1号金三純女史の論文が世界20ケ国の核学者か引張ダコ"

      5 한국균학회, "회무보고" 1 (1): 46-, 1973

      6 매일경제, "활발한 양송이 수출"

      7 김환석, "한국의 과학자 사회: 역사, 구조, 사회화" 궁리 2010

      8 한국산업미생물학회,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년사" 한국산업미생물학회 1993

      9 서정훈, "한국산업미생물학회 20년사" 1-4, 1993

      10 김삼순, "한국산버섯도감" 영풍출판사 1990

      11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의 주요사업실적" 10 (10): 143-, 1982

      12 정학성, "한국균학회 창립 30주년 기념 특강" 14 (14): 4-, 2002

      13 한국균학회, "한국균학회 창립 25년사, 1972-1997" 한국균학회 1997

      14 김삼순, "한국균학회 설립 25년사" 한국균학회 4-5, 1997

      15 김광포, "한국균학회 발기 20년사 요약(Ⅱ)" 4 (4): 13-17, 1992

      16 김광포, "한국균학회 발기 20년사 요약(1)" 3 (3): 28-31, 1991

      17 이지열, "한국균심목록" 1 (1): 35-43, 1973

      18 유창현, "한국 버섯산업의 발전사" 1 (1): 1-8, 2003

      19 김영식, "한국 근대과학 형성과정 자료" 서울대학교 출판부 2004

      20 강미화, "한국 과학자사회와 정부의 관계 변화 : 1960~70년대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2015

      21 김삼순, "학회와 나: 한국균학회 편, 버섯을 주제로 한 균식계몽보급" 8 (8): 51-, 1975

      22 김삼순, "학회발전을 기원하는 마음" 4 (4): 1-, 1992

      23 한국일보, "첫 여류농학박사"

      24 데이비드 쾀멘, "진화를 묻다" 프리렉 2020

      25 김삼순, "적극적 후진양성 통해 세계 제일 버섯 선진국 만들어야" 32-36, 1999

      26 매일경제, "자유중국에 산업시찰단 파견"

      27 임업연구원, "임업 연구 성과집(1)" 임업연구원 1997

      28 김삼순, "일본의 식용버섯 실태조사" 87-97, 1974

      29 인암홍순우교수추모위원회, "인암자연논집" 인암홍순우교수추모사업위원회 1990

      30 이지열, "인도히로하루 선생 추모 글" 15 (15): 104-106, 2003

      31 조원대, "응용미생물과의 연구현황 및 방향" 2007

      32 이지열, "원색 한국버섯도감" 배문각 1959

      33 김삼순, "원로와의 대담―우리나라 여성농학박사 1호 김삼순 박사" 26 (26): 80-82, 1993

      34 한국농촌경제연구원, "양송이산업의 육성방향" 한국농촌경제연구원 1983

      35 경향신문, "양송이 증산수출 6개년 계획 수립"

      36 경향신문, "양송이 재배술 교육, 12월까지 전국순회"

      37 매일경제, "양송이 재배 기술교육 지도"

      38 농업경제연구원, "양송이 생산과 수출전망" 농업경제연구원 1977

      39 이영록, "앞서 가신 회원의 발자취" 대한민국학술원 499-502, 2004

      40 "수출진흥"

      41 김삼순, "송이버섯발생림의 환경해석에 관한 연구" 62-87, 1974

      42 김삼순, "성지 김삼순 박사 회고록" 1 (1): 3-6, 1989

      43 서울여자대학, "서울여대 20년사" 서울여자대학출판부 1985

      44 한국생물과학협회, "생물학사전" 한국생물과학협회 2004

      45 조선일보, "사과 브랜디에서 수면용 안대까지"

      46 이지열, "버섯생활백과" 경원미디어 2007

      47 유영복 ; 공원식 ; 오민지 ; 오연이 ; 신평균 ; 장갑열, "버섯 산업의 발달 동향" 한국버섯학회 14 (14): 142-154, 2016

      48 매일경제, "박재영 박사에 산업훈장 수여"

      49 "박용환과의 인터뷰"

      50 인암홍순우교수추모위원회, "미생물학의 디딤돌" 인암홍순우교수추모사업위원회 1990

      51 동아일보, "도자기, 양송이 수출에 힘쓰라, 박대통령 지시"

      52 농촌진흥청, "농촌진흥 40년사" 농촌진흥청 2002

      53 김삼순, "농산물 폐물을 이용한 농후사료 제조에관한 연구" 1 (1): 15-23, 1973

      54 김삼순, "나의 걸어온 길" 대한민국학술원 495-526, 1983

      55 정후섭, "김삼순 명예 회장님을 추모함" 30 (30): 3-4, 2002

      56 "기록물 생산기관 변천정보"

      57 김삼순, "균학회 창립 20년의 회고" 4 (4): 1-2, 1992

      58 선유정 ; 김근배, "균학자 김삼순 연구활동의 과학사적 접근" 한국균학회 50 (50): 75-92, 2022

      59 印東弘玄, "균학이란 무엇인가?" 1 (1): 35-38, 1973

      60 J. W. Deacon, "균학개론" 월드사이언스 1998

      61 이지열, "균학 버섯 재배" 대광문화사 1989

      62 김성근, "교양으로 읽는 서양과학사" 안티쿠스 2016

      63 이근영, "과학유공자에 최초의 여성 농학박사 김삼순 등 8명"

      64 과학기술부, "과학기술연감"

      65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과총 20년사"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1987

      66 선유정 ; 김근배, "The Trajectory of Oyster Mushroom Research in South Korea: KIM Sam Soon Opened a Breakthrough in Cultivation Technology" The Korean History of Science Society 44 (44): 35-64, 2022

      67 Robert Harding Whittaker, "New Concepts of Kingdomes of organism" 163 : 150-161, 1969

      68 김삼순, "Chicory의 연화에 관한 연구" (3) : 36-40, 1978

      69 최병두, "Actor-network theory and topological concepts of space" 한국공간환경학회 25 (25): 126-174, 2015

      70 조선일보, "3단계 농업정책 수립"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