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공무도하가 배경설화와 무혼굿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825373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금조』와 『고금주』의 내용은 3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백수광부 부부의 이야기로 내부이야기라 할 만하다. 이것은 익사자의 영혼을 진혼하는 무혼굿의 서술이다. 둘째는 외부이야기로...

      『금조』와 『고금주』의 내용은 3부분으로 나뉜다. 첫째는 백수광부 부부의 이야기로 내부이야기라 할 만하다. 이것은 익사자의 영혼을 진혼하는 무혼굿의 서술이다. 둘째는 외부이야기로 곽리자고가 이 굿을 관찰한 내용이며, 셋째는 『금조』와 『고금주』의 기록자가 남긴 해설 부분이다.
      스토리의 표면적인 의미와 제의적 의미를 분석한 결과, 백수광부의 죽음 단락 내용은 그가 어떻게 익사하게 되었는지를 설명하는 부분이다. 이것은 익사자의 죽은 영혼이 이승에 원한을 남기지 않고, 저승에 고이 갈 수 있도록 가족들이 주관하여 행하는 무혼굿과 같다. 여기서 백수광부는 익사자 역할을 하는 무당이며, 익사자가 죽은 과정을 연극적으로 공연하고 있다. 곽리자고는 이러한 무혼굿의 공연 내용을 보고, 남편에 대한 아내의 사랑을 새롭게 인식하였고, 『금조』와 『고금주』의 기록자는 자신의 해설을 덧붙였다고 생각한다.
      무혼굿은 사람이 물속에 빠져 죽었을 때, 죽은자의 영혼을 불러 저승으로 고이 보내고 이승에 원한을 남기지 않게 하려는 의도에서 가족이 행하는 의례(ritural)이다. 따라서 익사사고가 있으면 언제든 이 굿을 할 수 있다. 이처럼 익사자를 위한 굿은 한반도 전 지역에서 행해진다. 중요한 점은 익사자가 죽게 된 연유는 말로 하는 것이 아니라 노래로 한다는 것이다. 즉, 공무도하가 배경설화는 이야기된 것이 아니라, 노래로 불려졌다는 말이다. 이 점이 공무도하가가 전승되는 중요한 요인이다.
      공무도하 노래는 남편이 강을 건너가려 할 때, 아내가 남편의 안전을 기원하며 부른 노래이다. 따라서 이것은 안전을 기원하는 주술성을 지닌 노래이다. 『고금주』에서는 여옥과 여용이라는 여성이 그 노래를 부르고 전승시키고 있는데, 이것으로 보아 공무도하가는 아내가 남편을 위해 부르는 노래로, 주로 ‘여성들이 부르는 민요’로서의 성격을 지닌다. 그 노래가 4억 4구체로 기록된 이유는 기록자인 채옹과 최표가 당시에 유행하던 詩經의 기술 체계에 맞게 정착시킨 것이라 할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eumjo and Gogeumju's content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story of Baeksugwangbu and his wife. And this part can be called 'internal story'. This part is the description of Muhongut which repose of souls of the drowned. The sec...

      Geumjo and Gogeumju's contents is divided into three parts. The first part is the story of Baeksugwangbu and his wife. And this part can be called 'internal story'. This part is the description of Muhongut which repose of souls of the drowned. The second part is the contents of Gwakrijago's observing Muhongut. And this part can be called 'external story'. The third part is the explanation which Geumjo and Gogeumju's recorder left.
      According to my analysis about story's exterior meaning and meaning related to sacrificial rites, the contents of Baeksugwangbu's death is explaining part how he was drowned to death. The contents is Muhongut which is done by family to let soul of the drowned go to the ocher world without leaving any grudge on this world. At this contents, Baeksugwangbu is an exorcist, and he performs publicly the process of death of the drowned. I think that in the 'external story', Gwakrijago watched this performance (Muhongut), and he described his pitiful mind which took place by feeling the love and yearning of wife to husband. And I also think that when Geumjo and Gogeumju's recorder investigated and recorded, he added his thought.
      Muhongut is ritual which is done by family when someone is drowned to death. And this Muhongut intends to call the soul of the dead, and let the soul go to the other world without leaving any grudge on this world. For this reason, when drowning accident happens, Muhongut can be done at any time. Therefore, Muhongut (which is for the drowned) is done in the all parts of Korean peninsula. At the Muhongut, it is important that 'the reason why the drowned is dead' isn't talked, and is sung. That is, the background story of Gongmudohaga wasn't talked, and was sung. This is the important reason why Gongmudohaga has been handed down.
      Gongmudohaga is the song which is sung by wife who prayed husband's safety when husband tried to cross river. Therefore, Gongmudohaga has incantatory property which prays safety. In Gogeumju, girls(Yeook and Yeoyong) sing Gongmudohaga, and hand down it. According to this, Gongmudohaga is song which wife sang for husband, and Gongmudohaga can be said that it is a folk song sung mainly by women. And this Gongmudohaga was recorded as the form of 'four words, four sentents'. This is because recorders(Chaeong and Choepyo) recorded Gongmudohaga as a way of description system of Sigyeong which was widespread in those day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서사문맥의 구조
      • Ⅲ. 공무도하가와 무혼굿
      • Ⅳ. 공무도하가의 성격
      • [국문초록]
      • Ⅰ. 서론
      • Ⅱ. 서사문맥의 구조
      • Ⅲ. 공무도하가와 무혼굿
      • Ⅳ. 공무도하가의 성격
      • Ⅴ.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명혜, "황조가의 의미 및 기능-구지가․공무도하가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11 : 2004

      2 황재순, "한자도래기의 고전시가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79 : 1992

      3 서수생, "한국시가연구" 형설출판사 1974

      4 정병욱, "한국시가문학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7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6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91

      7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8 황루시, "평안도 다리굿" 열화당 1985

      9 현용준, "제주도무속연구" 집문당 1986

      10 현용준, "제주도 무혼굿" 열화당 1985

      1 강명혜, "황조가의 의미 및 기능-구지가․공무도하가와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온지학회 11 : 2004

      2 황재순, "한자도래기의 고전시가에 대하여" 한국어교육학회 79 : 1992

      3 서수생, "한국시가연구" 형설출판사 1974

      4 정병욱, "한국시가문학사"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1967

      5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1982

      6 김태곤, "한국무속연구" 집문당 1991

      7 김학성, "한국고전시가의 연구" 원광대학교출판국 1980

      8 황루시, "평안도 다리굿" 열화당 1985

      9 현용준, "제주도무속연구" 집문당 1986

      10 현용준, "제주도 무혼굿" 열화당 1985

      11 김인회, "수용포 수망굿" 열화당 1985

      12 최신호, "공후인이고" 서울대학교 동아문화연구소 10 : 1971

      13 지준모, "공무도하고정" 국어국문학회 62 : 1973

      14 유경환, "공무도하가에 나타난 물(水)의 상징적 의미와 기능" 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88

      15 유종국, "공무도하가론" 국어문학회 37 : 2002

      16 양재연, "공무도하가-공후인-소고" 국어국문학회 5 : 1953

      17 김영수, "공무도하가 신해석" 한국시가학회 3 : 1998

      18 사재동, "‘공무도하’전승의 문학적 연구" 동아인문학회 1 : 1990

      19 조기영, "<공무도하가>의 주요쟁점과 관련기록의 검토"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12 : 200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5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9 0.64 0.965 0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