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041938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 학위논문사항

        학위논문(박사)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 한국학과 , 2016. 2

      • 발행연도

        2016

      • 작성언어

        한국어

      • 주제어
      • DDC

        793.3 판사항(22)

      • 발행국(도시)

        서울

      • 기타서명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dance teaching style for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 형태사항

        iv, 77p.: 삽화; 26cm.

      • 일반주기명

        상명대학교 논문은 저작권에 의해 보호받습니다.
        지도교수:박진희
        권말부록수록: 설문지
        참고문헌: p. 72-74

      • UCI식별코드

        I804:11028-000002228647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상명대학교 서울캠퍼스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after developing a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dance teaching style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bined 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ference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factors after developing a preference measurement scale of dance teaching style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combined research method on university students majoring in dance.
      Qual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research tool, this study used unstructured and semistructured questionnaire, and conducted multilateral analysis, reflective subjectivity analysis, discussion and evaluation with experts, literature review, and preceding research analysis among research evaluation methods to secur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Quantitative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Dance majors in S University located in Seoul were selected as the sample group of pilot-test.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For subjects of the real-test, dance majors in K, S, D universitie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 were selected as the sample group. Research objects were selected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among non-probability sampling methods and questionnaire was used as a research tool. To verify credibility and validity of the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verage variance extract(AVE) analysis, and construct reliability(CR) analysis were conducted. Also, this study conducted the one-way ANOVA to verify difference in preference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The deduced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problem are as follows.

      First, primary area of dance teaching style was classified into total 19 teaching styles as demonstration-oriented type, explanation-oriented type after demonstration, cramming type, leading type, dance principle explanation-oriented type, understanding-oriented type,communication-oriented type, customized instruction type, consideration-oriented type, creation-oriented type, direction guidance-oriented type, motivation-oriented type, compliment and reward-oriented type, feedback-oriented type, basic skill-oriented type, transformation and extension-oriented type, mixed teaching-oriented type, strict type, and instruction-oriented type.
      The secondary area of dance teaching style was classified into total 10 teaching styles as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cramming type, dance principle explanation-oriented type, student-oriented type, creation-oriented type, motivation and direction guidance-oriented type, compliment, reward and feedback-oriented type, basic skill-oriented type, mixed teaching-oriented type, and strict type,
      Secondly, total 30 final questions of dance teaching style for 5 factors were deduced as 7 questions for customized instruction type, 6 questions for strict instruction-oriented type, 6 questions for creation-oriented type, 6 questions for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and 5 questions for basic skill-oriented type.
      Thirdly,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award winning caree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amount of practic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nstration and explanation-oriented type and basic skill-oriented type. Difference in preference level of dance teaching style according to the grade leve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creation-oriented type.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를 개발한 후, 특...

      무용전공 대학생들의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 개발


      이 연구는 무용전공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양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여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측정척도를 개발한 후, 특성변인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의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질적연구 참여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법(non-probability sampling)중에서도 편의표본 추출법(convenience sampling)을 사용하였다. 연구도구는 비구조화 된 설문지와 반구조화 된 설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질적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 확보를 위하여 연구평가의 방법 중 다각적 분석법, 반성적 주관성, 전문가와의 토의 및 평가, 문헌고찰 및 선행연구 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양적연구 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법 중에서도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예비조사(pilot-test) 대상자는 서울 소재 S대학 무용전공자를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방법 중에서 편의표본 추출법을 사용하였다. 본 조사(real-test)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 소재 3개의 K, S, D대학 무용전공자를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대상자 선정방법은 비확률 추출방법 중에서 편의표본 추출방법을 사용하였다. 조사도구는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양적연구 결과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 평균분산추출(AVE) 분석과 개념신뢰도(CR)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특성변인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검증을 위하여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근거하여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교수유형 1차 영역에서는 시범 주도형, 시범 후 설명주도형, 주입식 주도형, 리드 주도형, 춤의 원리설명 주도형, 이해 주도형, 소통 주도형, 맞춤 주도형, 배려 주도형, 창작 주도형, 방향제시 주도형, 동기유발 주도형, 칭찬 주도형, 피드백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변용과 확장 주도형, 혼합 교수 주도형, 엄격 주도형, 지시 주도형으로 총 19개의 무용교수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무용교수유형 2차 영역에서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 주입식 리드 주도형, 춤의 원리 이해 주도형, 학생 맞춤 주도형, 창작 주도형, 동기유발 및 방향제시 주도형, 칭찬과 피드백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혼합교수 주도형, 엄격지시 주도형으로 총 10 개의 무용교수유형으로 범주화 되었다.
      둘째, 무용교수유형 최종문항은 학생맞춤 주도형 7문항, 엄격지시 주도형 6문항, 창작 주도형 6문항, 시범과 설명 주도형 6문항, 기본기 주도형 5문항으로 총 5요인 30문항으로 도출 되었다.
      셋째, 수상경력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습량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시범과 설명 주도형과 기본기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른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차이는 창작 주도형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키워드: 무용전공자, 무용교수유형, 선호도, 시범과 설명 주도형, 기본기 주도형, 창작 주도형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표 목차........................................................................ⅰ
      • 그림목차.....................................................................ⅱ
      • 국문초록......................................................................ⅲ
      • 1. 서론......................................................................... 1
      • 표 목차........................................................................ⅰ
      • 그림목차.....................................................................ⅱ
      • 국문초록......................................................................ⅲ
      • 1.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1
      • 1.2 연구목적................................................................ 5
      • 1.3 연구문제................................................................ 5
      • 1.4 연구의 제한점......................................................... 5
      • 1.5 용어의 정의............................................................ 6
      • 1.5.1 무용교수유형.......................................................6
      • 1.5.2 선호도............................................................... 6
      • 1.5.3 시범과 설명 주도형.............................................. 6
      • 1.5.4 학생 맞춤 주도형................................................. 7
      • 1.5.5 엄격지시 주도형.................................................. 7
      • 1.5.6 창작 주도형........................................................7 1.5.7 기본기 주도형...................................................... 7
      • 2. 이론적 배경.............................................................. 8
      • 2.1 무용교수유형......................................................... 8
      • 2.2 선호도................................................................. 10
      • 2.3 무스카 모스턴의 스펙트럼 이론................................ 11
      • 3. 연구방법................................................................ 14
      • 3.1 연구참여자/연구대상자.......................................... 16
      • 3.1.1 질적연구.......................................................... 16
      • 3.1.2 양적연구.......................................................... 17
      • 3.2. 측정과 분석방법................................................... 19
      • 3.2.1 질적연구.......................................................... 19
      • 3.2.2 양적연구.......................................................... 21
      • 3.3. 연구의 타당도와 신뢰도......................................... 22
      • 3.3.1 질적연구.......................................................... 22
      • 3.3.2 양적연구...........................................................24
      • 3.4. 자료처리............................................................ 26
      • 3.4.1 질적연구.......................................................... 26
      • 3.4.2 양적연구.......................................................... 26
      • 4. 연구결과................................................................ 28
      • 4.1 질적연구............................................................. 28
      • 4.2 양적연구.............................................................. 40
      • 4.3 무용전공자의 특성변인에 따른 선호도 차이검증...........60
      • 4.3.1 수상경력에 따른 선호도 차이검증...........................60
      • 4.3.2 연습량에 따른 선호도 차이검증..............................62
      • 4.3.3 학년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검증..............................64
      • 5. 논의.......................................................................65
      • 6. 결론 및 제언............................................................69
      • 참고문헌 ...................................................................72
      • ABSTRACT...............................................................75
      • 부록(설문지)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논문관계도

      1 김혜련, "현대무용전공자들의 개방성", 대한무용학회지 제 70권 1호, 2014

      2 김경식, 이현철, 김영천, "교육연구에서의 통합연구방법", 초등교육연구지 Vol.24,No.1, 1998

      3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 3 판, 서울", 비앤엠북스, 2005

      4 류태호, "체육교사의 수업 방식 및 변화과정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 8,No.1, 2001

      5 강옥기, 성경희, 박영목, 김주훈, 김용환, "교육과정 개정방향 정 립을 위한 연구: KM 91-01",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91

      6 박진희, "한국무용전공자들의 특성변인에 따른 개방성", 대한무용학회지Vol 73,No.4, 2015

      7 최은정, "특기, 적성 교육에 있어 무용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한수연, "무용수업 재미가 수업만족과 무용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송정연, "무용전공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양식 선호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승윤희, "스펙트럼이론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 내용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Vol.12,No.1, 2008

      1 김혜련, "현대무용전공자들의 개방성", 대한무용학회지 제 70권 1호, 2014

      2 김경식, 이현철, 김영천, "교육연구에서의 통합연구방법", 초등교육연구지 Vol.24,No.1, 1998

      3 채서일,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 3 판, 서울", 비앤엠북스, 2005

      4 류태호, "체육교사의 수업 방식 및 변화과정 분석", 한국스포츠교육학회,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Vol 8,No.1, 2001

      5 강옥기, 성경희, 박영목, 김주훈, 김용환, "교육과정 개정방향 정 립을 위한 연구: KM 91-01",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서, 1991

      6 박진희, "한국무용전공자들의 특성변인에 따른 개방성", 대한무용학회지Vol 73,No.4, 2015

      7 최은정, "특기, 적성 교육에 있어 무용의 선호도에 관한 연구", 신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6

      8 한수연, "무용수업 재미가 수업만족과 무용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숙명 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9 송정연, "무용전공자의 행동유형에 따른 학습양식 선호도의 차이",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0

      10 승윤희, "스펙트럼이론을 적용한 음악교수,학습 스펙트럼 내용 개발", 교과교육학연구 Vol.12,No.1, 2008

      11 이영미, "중,고등학교 여학생들의 무용수업에 관한 관심도와 만족도연구",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2 조지은, 김선응(Kim Seon-Eung), "교사의 무용교수행동유형이 학생의 학습참여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과학회,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11

      13 허정민, "mosston의 체육교육 스타일이 중학생 체육수업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4 오현주, "학생들이 선호하는 무용교사의 교수행동과 교사의 실제행동유형분석",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15 한승민, "무용수행자가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과 무용수행자의 심리와의 관계", 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2

      16 김연진, "지도자의 지도행동 유형이 무용전공학생의 수업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성균관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9

      17 김민정,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행동이 학생의 학습몰입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8 강해성, "예술고등학교 무용교사의 교수유형에 따른 학생의 기대와 만족도 조사연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19 백민경, 유진, "「교수행동유형이 대학무용전공자의 무용몰입과 수업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 한국체육학회지 Vol.48, No.5, 2009

      20 이윤경, "대학교양무용의 교수유형이 흥미도, 친밀감 및 무용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1

      21 김혜련, "무용교수행동유형에 따른 예술고등학교 무용전공자의 학습몰 입도 및 만족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22 이민혜, "고등학교 무용수업 즐거움요인과 교사 선호도가 무용수업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 부산외국어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정용각, "고등학교 학생의 신체적 자기효능감이 체육수업 선호도와 체육성적에 미치는 영향", 釜山外國語大學校, 외대논총학술지 Vol.19, No.5, 1999

      24 이재우, "성인 학습자의 학습양식이 교수방법 선호도와 교육 성취도및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사이버대학교 교육정보대학원, 2014

      25 김혜정, 박혜은, "무용전공 대학생들이 지각한 무용교수행동유형이 지도자 신뢰 및 무용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무용과학회지.Vol 22. 1-18, 201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