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복합현실 게임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4853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모습과 그 게임의 형태는 미디어의 발전과 많은 관련이 있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재조명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 비디오 게임이 가져오는 현실성의 경계를 엷게 하고 확장하였다. 이렇게 플레이 공간의 경계를 현실로 확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미디어와 게임의 연관성에 맞춰 활용하였을 때, 현실성이 강조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실의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게임 장르인 복합현실 게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접목하여 새로운 게임의 형태를 유추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복합현실 게임에서 유저가 어떻게 공간과 상호작용하는지, 상호작용과정에서 어떻게 액션을 발현하고 실재감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플레이어의 경험은 다양한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확장된 현실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번역하기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모습과 그 게임의 형태는 미디어의 발전과 많은 관련이 있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재조명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 비디오 게임이 가져오는 현실성의 경계...

      플레이어가 게임을 하는 모습과 그 게임의 형태는 미디어의 발전과 많은 관련이 있다.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재조명받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기존 비디오 게임이 가져오는 현실성의 경계를 엷게 하고 확장하였다. 이렇게 플레이 공간의 경계를 현실로 확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미디어와 게임의 연관성에 맞춰 활용하였을 때, 현실성이 강조되는 다양한 형태의 게임을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현실의 공간과 상호작용하는 게임 장르인 복합현실 게임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접목하여 새로운 게임의 형태를 유추하였으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복합현실 게임에서 유저가 어떻게 공간과 상호작용하는지, 상호작용과정에서 어떻게 액션을 발현하고 실재감을 경험하는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한 플레이어의 경험은 다양한 공간과의 상호작용을 가능하게 하여 더욱 확장된 현실적 경험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Shape of playing games and form of games are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in the media. Wearable devices are revisi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y make lighter and expand the boundaries of virtual and real worlds of traditional video games. We can say that the narrative of the game with a non-linear structures can be referred to the story that emerge in the interaction of space and the player, so it can be able to create various forms of games that are unprecedented if space of playing games is adjusted to relevance between media and game. This paper describes how wearable device interact and analyze for expression of the story via grafting to mixed reality game that interactive with real space. Player’s 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wearable was found to provide more extended experience by enabling the interaction with the various spaces that was not previously existed.
      번역하기

      Shape of playing games and form of games are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in the media. Wearable devices are revisi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y make lighter and expand the boundaries of virtual and real worlds of t...

      Shape of playing games and form of games are closely related with development in the media. Wearable devices are revisited wit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at the same time they make lighter and expand the boundaries of virtual and real worlds of traditional video games. We can say that the narrative of the game with a non-linear structures can be referred to the story that emerge in the interaction of space and the player, so it can be able to create various forms of games that are unprecedented if space of playing games is adjusted to relevance between media and game. This paper describes how wearable device interact and analyze for expression of the story via grafting to mixed reality game that interactive with real space. Player’s 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wearable was found to provide more extended experience by enabling the interaction with the various spaces that was not previously exist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게임
      • 2.1 게임에서의 적용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 Abstract
      • 국문초록
      • 1. 서론
      • 2.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게임
      • 2.1 게임에서의 적용을 위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역할
      • 2.2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게임과 경계
      • 2.3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 게임과 접근성과의 관계
      • 3. 복합현실 게임
      • 4.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게임과 복합현실게임
      • 4.1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게임과 빅게임
      • 4.2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게임과 대체현실 게임(ARG)
      • 4.3 웨어러블 디바이스 기반의 게임과 증강현실 게임(AR Games)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준희,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75-384, 2003

      2 이준희, "게임디자인을 위한 형식적 요소로서의 ‘경계’ 연구" 한국게임학회 10 (10): 3-10, 2010

      3 Kim, DaeKeon, "Wearable Device Trends and Implication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3

      4 김영희, "Stir It On!; A Wearable Technology Art of Expressing Social Interaction in Public Spac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07-417, 2010

      5 Mistry, Pranav, "SixthSense: a wearable gestural interface" ACM 11-, 2009

      6 Salen Katie,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GCO Science Publishing Co. 2010

      7 Korhonen, Hannu, "Playability heuristics for mobile multi-player games" ACM 28-35, 2007

      8 Huizinga, Johan,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mt in Culture" Beacon Press 1955

      9 Juul, Jesper,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Viz&Biz Publications Co 2014

      10 Cheok, Adrian David, "Game-city: A ubiquitous large area multi-interface mixed reality game space for wearable computers" 156-157, 2002

      1 이준희, "인터렉티브 스토리텔링의 구조적 디자인" 한국디자인학회 16 (16): 375-384, 2003

      2 이준희, "게임디자인을 위한 형식적 요소로서의 ‘경계’ 연구" 한국게임학회 10 (10): 3-10, 2010

      3 Kim, DaeKeon, "Wearable Device Trends and Implications" Korea Information Society Development Institute 2013

      4 김영희, "Stir It On!; A Wearable Technology Art of Expressing Social Interaction in Public Space"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10 (10): 407-417, 2010

      5 Mistry, Pranav, "SixthSense: a wearable gestural interface" ACM 11-, 2009

      6 Salen Katie, "Rules of play: Game design fundamentals" GCO Science Publishing Co. 2010

      7 Korhonen, Hannu, "Playability heuristics for mobile multi-player games" ACM 28-35, 2007

      8 Huizinga, Johan,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mt in Culture" Beacon Press 1955

      9 Juul, Jesper,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lds" Viz&Biz Publications Co 2014

      10 Cheok, Adrian David, "Game-city: A ubiquitous large area multi-interface mixed reality game space for wearable computers" 156-157, 2002

      11 Tracy Fullerton, "Game Design Workshop: A Playcentric Approach to Creating Innovative Games(2/E)" WIKIBOOKS 2012

      12 Choi, SeoYun, "DOES FLOW EXPERIENCE MATTER?"

      13 Lantz, Frank, "Big games and the porous border between the real and the mediated"

      14 Starner, Thad, "Augmented reality through wearable computing" 6 (6): 386-398, 1997

      15 Mann, Steve, "An historical account of the'WearComp'and'WearCam'inventions developed for applications in'Personal Imaging'. Wearable Computers 1997. Digest of Papers." 66-73, 1997

      16 Bertelsmeyer, Christian, "A new approach on wearable game design and its evaluation" ACM 27-, 2006

      17 Kang, SuRyeon,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Wearable Computers in Ubiquitous Environment: Designing Context-Aware Interaction in Theme Parks" 987-989,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08 학회명변경 영문명 : Korea Society Of Image Art And Media -> The Korean Society Of Media & Art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5 0.35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3 0.32 0.515 0.1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